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우리나라에서는 의료인으로서 의사만이 단독으로 할 수 있는 절대적인 의료행위의 범위가 의료법상 상당히 넓게 규정되어, 의사에게 과중한 업무부담이 가해지는 것이 현실이다. 따라서 간호사 등 다른 의료인에 대하여 전문적 교육의 확대를 통하여 의료안전을 확보하면서 의사가 간호사 등 다른 의료인력과 적절한 업무 분담을 통하여 의료서비스의 범위를 확보하여 질적 의료서비스 영역을 확보해야 한다는 견해가 제시되고 있다. 고령화사회로의 급속한 사회변화에 따른 의료인력의 부족과 그에 따른 의료서비스영역의 확대는 의사의 지도하에 다른 의료인력들의 업무확대에 대한 요구로 이어지고 있다.
의료기관에서 의사의 의료행위에 환자의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필요최소한의 규제가 당연히 필요한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의료행위에 대한 과도한 규제가 오히려 의료의 질적 서비스를 침해하여 환자의 안전을 보장하지 못하거나, 부실치료로 이어진다면 규제가 의료행위에 있어서 사회적 안전망을 해체시키는 결과로 이어질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의료법상 의료행위에 있어서 과도한 규제로 나타나고 있는 법제도상의 문제점을 검토하여 의료행위에 있어서 적정규제를 통한 환자의 의료안전과 질적 의료서비스의 보장을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absolute range of medical practices that only doctors can do in Korea is too wide, and the heavy burden of doctors is the reality. Therefore, it is suggested that the medical practice of doctors should be appropriately shared with other medical staff, such as nurses, to secure the medical safety of other medical staff, while ensuring the medical safety of other medical staff, such as well.
In some cases, adequate regulation is required in medical institutions where discretionary judgment is required to ensure patient safety for medical practice by doctors. Excessive regulations on medical practices may not guarantee patient safety by violating the qualitative service of medical care, or may lead to poor treatment, which may lead to the dissolution of the social safety net of medical practice.
In this paper, we are going to review the legal system"s problems that have emerged as excessive regulations in medical practice under the Medical Law and suggest ways to improve the medical safety and qualitative medical service of patients through proper regulations.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리스크 사회의 안전권
Ⅲ. 의료안전과 법적 대응
Ⅳ. 안전 확보책으로서의 의료행위 규제
Ⅴ. 리스크 관리와 안전권의 보장
Ⅵ.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38)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