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국가별 연구개발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기술선진국은 그 규모에서 절대 우위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항공․우주 산업은 높은 연구개발비, 대규모 투자, 장기적인 성과, 높은 부가가치 및파급효과를 갖춘 핵심적 기술 등의 특징으로 단기적인 성과에 민감한 기업보다는 정부의 주도적인 지원 및 육성이 더욱 중요하다. 이에 본 논문은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이 항공․우주 부품제조 기업에 미치는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였다. 167개 항공․우주 부품제조 중소기업의 최근 6개년 (2012-2017) 데이터가 분석에 사용되었다. 기존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선택 편의와 내생성에 기인한 연구개발투자 효과의 과대평가를 방지하기 위하여 성향점수매칭(propensity score matching, PSM) 방법론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일차적으로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하여 기업의 특정 요소가 정부의 연구개발투자 지원을 받을 확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성향점수를 추정하였다.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결과에 따르면 종사자 1인당 임금, 매출액 대비 연구개발비 등 연구개발비가 높을수록, 또한 종사자 1인당 매출액과 총비용 대비 영업비용 등이 낮을수록 정부의 연구개발 보조금을 받을 확률이 유의하게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후 추정된 성향점수를 이용하여 매칭을 실시하여 같은 통제변수를 가진 지원수혜집단과 비수혜집단을 구성해 비교,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이 항공․우주 부품 제조 기업의 경영 성과와 기업 연구개발투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의연구개발 지원을 받은 기업이 연구개발투자 지원을 받지 않은 기업보다 자산 총액, 매출액, 영업이익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아 경영 성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업 자체 연구개발비와 전년대비 연구개발비도 지원을 받은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은것을 확인해, 정부의 지원을 받는 기업일수록 추가적인 연구개발투자를 많이 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정부의 지원을 받는 기업이 기업 자체 연구개발비로 추가적으로 40억여 원 가량을 전년 대비 연구개발비로 7억여 원 가량을 더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공공 연구개발 자금이 기업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고 있다는 주장을 뒷받침하고 있다. 반면 단기차입금 또한 정부의 지원을 받은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를 통해 정부의 지원으로 기업의 자금조달에 보증효과가 발생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항공․우주부품제조 기술개발 사업에서의 정부의 역할을 확인할수 있으며, 특히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 보조금의 기업 자체 연구개발비 투자 유인 효과를 검증할 수있었다. 이에 글로벌 수준의 항공․우주 기술경쟁력 확보, 또 그를 통한 산업구조의 고도화를 위한 정부의 지속적 관심과 적극적인 연구개발 지원 투자의 필요성이 강조된다.

키워드

정부 연구개발 지원, 항공우주부품제조, 파급효과, 기업성과, 성향점수매칭(PSM)

참고문헌(38)open

  1. [보고서] 과학기술정책연구원 / 2016 / 과학기술혁신에 대한 국가연구개발투자의 사회/경제적 영향평가(Impact Assessment)체계 수립 연구

  2. [학술지] 김주일 / 2019 / 직접지원 vs 간접지원: 중소기업 R&D투자 촉진을 위한 정책조합 모색 / 기술혁신연구 27 (1) : 1 ~ 43

  3. [보고서] 김지연 / 2016 / 국내 항공산업 현황과 전망

  4. [학술지] 김원규 / 2017 / 기업규모에 따른 R&D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의 제조업을 중심으로 / 산업혁신연구 33 (1) : 87 ~ 115

  5. [학술지] 김원규 / 2018 / 정부 연구개발투자의 거시경제적 효과에 대한 연구 / 제도와 경제 12 (2) : 93 ~ 122

  6. [학술대회] 김희삼 / 2014 / 패널자료를 이용한 연구방법 / 한국사회정책연합 공동학술대회

  7. [학술지] 문해주 / 2017 / 중소기업에 대한 정부 R&D 지원의 효과성 분석: 원자력 비발전분야 기업을 중심으로 / 생산성논집 31 (4) : 187 ~ 214

  8. [기타] 미래창조과학부 / 2014 / 국가연구개발사업 표준 성과지표(4차)

  9. [기타] 미래창조과학부 / 2017 / 18년도 정부 R&D 투자방향(공공`우주 분야)

  10. [학술지] 박웅 / 2017 / ICT 중소기업의 산·연 R&D협력이 기술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출연연구기관과의 협력을 중심으로 / 벤처창업연구 12 (6) : 139 ~ 150

  11. [학술지] 박항식 / 2016 / 연구개발투자 관련 연구의 메타분석 / 질서경제저널 19 (2) : 23 ~ 42

  12. [기타] 산업통상자원부 / 2015 / 2016년도 산업기술혁신사업 안내

  13. [학술대회] 신복균 / 2017 / 항공우주부품개발사업이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 193 ~ 198

  14. [학술대회] 신복균 / 2018 /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성과 영향 요인 연구; 항공우주부품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학술대회 발표집 : 187 ~ 188

  15. [학술지] 신복균 / 2017 / 정부 R&D 지원이 항공제조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5 (2) : 63 ~ 75

  16. [학술지] 신용도 / 2011 / 항공제조산업의 기술파급효과 분석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9 (3) : 65 ~ 75

  17. [학술지] 안승구 / 2017 / 정부의 연구개발 지원이 중견기업의 투자에 미치는 효과 / 기술혁신학회지 20 (3) : 546 ~ 575

  18. [보고서] 오승환 / 2017 / 중소기업 R&D지원의 현황과 성과분석

  19. [학술지] 유경준 / 2010 / 직업훈련의 임금효과 분석: 경제활동 인구조사를 중심으로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32 (2) : 27 ~ 53

  20. [학술지] 윤윤규 / 2011 / 정부 R&D지원이 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효과 분석: 동남권 지역산업진흥사업을 중심으로 / 기술혁신연구 19 (1) : 29 ~ 54

  21. [보고서] 이도형 / 2010 / 국가연구개발사업 유형별 성과평가 논리모형개발에 관한 연구

  22. [보고서] 이병기 / 2004 / 정부의 연구개발 보조가 민간기업의 연구개발 투자에 미치는 효과분석 : 1 ~ 76

  23. [학술지] 이의경 / 2019 / R&D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표준지침에 대한 비판적 고찰 / 한국항공경영학회지 17 (3) : 65 ~ 78

  24. [학술지] 임선집 / 2014 / 국가 연구개발(R&D) 투자의 성과 측정 방법 연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5 (7) : 4148 ~ 4156

  25. [학술지] 장현주 / 2016 / 중소기업 R&D 분야에 대한 정부지원의 효과 분석: 기술적, 경제적, 사회적 성과를 중심으로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6 (4) : 195 ~ 218

  26. [학술지] 정규채 / 2017 / PSM-DID결합모형을 이용한 기술지원사업의 경제적 성과분석에 관한 연구-K출연연구기관이 수행한 부품․소재종합기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 관리회계연구 17 (3) : 281 ~ 305

  27. [학술지] 진승후 / 2019 / 정부 R&D 재정지원사업의 매개 효과 실증 사례 연구: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 국가정책연구 33 (1) : 117 ~ 136

  28. [학술지] 최석준 / 2009 / 성향점수 매칭을 이용한 정부 연구개발 보조금 효과분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0 (1) : 200 ~ 208

  29. [학술지] 최석준 / 2010 / 조세감면이 기업의 R&D혁신성과에 미치는 영향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11 (9) : 3223 ~ 3231

  30. [학술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2017 / 세계 항공기산업 성과 및 전망(2017~2018) / 항공우주산업기술동향 15 (1) : 20 ~ 29

  31. [보고서] 한국항공우주산업진흥협회 / 2006 / 항공우주기술 타산업활용 및 연계방안 연구

  32. [학술지] Busom, I / 2000 / An Empirical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R&D Subsidies / Economics of Innovation and New Technology 9 (2) : 111 ~ 148

  33. [학술지] Lach, S. / 2002 / Do R&D Subsidies Stimulate or Displace Private R&D? Evidence from Israel / Journal of Industrial Economics 50 (4) : 369 ~ 390

  34. [학술지] Marino, M. / 2016 / Additionality or Crowding-out? An Overall Evaluation of Public R&D Subsidy on Private R&D Expenditure / Research Policy 45 (4) : 1715 ~ 1730

  35. [학술지] Niosi, J / 2012 / R&D Support for the Aerospace Industry:A Study of Eight countries and One Region: A Report / The Aerospace Review

  36. [학술지] Rosenbaum, P. R. / 1984 / Reducing Bias in Observational Studies Using Subclassification on the Propensity Score /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79 : 516 ~ 524

  37. [학술지] Rubin, D.B / 1974 / Estimating Casual Effects of Treatements in Randomized and Nonrandomized Studies /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6 (5) : 688 ~ 701

  38. [학술지] Winthrop, M. F. / 2002 / Government R&D expenditures and US technology advancement in the aerospace industry: a case study /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Management 19 (3-4) : 287 ~ 3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