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조선 중기 배율 작품을 대상으로 하여 그 창작 배경, 현황과 특징, 작품세계, 의의를 살핀 것이다. 배율은 한시의 체식 중 하나로서 10구 이상의 율시를 가리킨다. 율시보다 긴 편폭 속에 평측과 압운을 엄격히 지켜야 하고 처음과 끝을 제외한 모든 연(聯)에 대장을 맞춰야 한다는 점에서 다른 시체에 비해 창작이 어렵다. 그 때문에 한국 한시사에서 10수 이상의 배율 작품을 남긴 작가는 많지 않다. 그런데 조선 중기에 오면 이전 시기에 비해 배율 창작량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창작이 장편화하는 경향을 보인다. 그 과정에서 차천로, 남용익, 임숙영 등 특정 작가를 중심으로 칠언 배율 창작이 증가하였고, 여러 작가들에 의해 100운 이상의 장편이 지어졌으며, 速作이 크게 늘어났다. 그것은 관료 문인들이 어제배율 창작을 해야 한 점, 두시 배율에 대한 관심이 확대된 점, 문인 간 창작 역량 과시와 경쟁이 이루어진 점을 그 배경으로 들 수 있다. 조선 중기 배율은 관료 문인 간에 공유하는 집단적 성격의 작품과 개인 서정, 영물, 기행 등의 작품이 동시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와 같이 배율 창작의 과시와 경쟁, 그리고 그 과정에서 진행된 창작의 장편화는 조선 중기 한시 창작의 수준을 높여주었다. 또한 관료문학적 성격의 작품 외에 시인의 내면을 진정성 있게 표현한 작품도 증가함으로써 조선 중기 시단은 더욱 풍성해질 수 있었다. 그러나 조선 중기 배율은 작가층, 제재의 협소함이라는 문제를 노출하였고 당시 문단의 분위기는 창작 속도와 작품 길이를 중시한 측면이 있었다. 이런 이유로 인해 배율은 절구, 율시, 고시와의 경쟁에서 밀릴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키워드

조선중기, 배율, 어제배율, 杜詩, 과시와 경쟁, 장편, 속작, 관료 문인, 개인 서정

참고문헌(39)open

  1. [단행본] 南龍翼 / 壺谷集 / 한국고전번역원

  2. [단행본] 朴泰淳 / 東溪集 / 한국고전번역원

  3. [단행본] 朴世堂 / 西溪集 / 한국고전번역원

  4. [단행본] 成汝學 / 鶴泉集 / 한국고전번역원

  5. [단행본] 申翊聖 / 樂全堂集 / 한국고전번역원

  6. [단행본] 申楫 / 河陰集 / 한국고전번역원

  7. [단행본] 申欽 / 象村集 / 한국고전번역원

  8. [단행본] 沈光世 / 休翁集 / 한국고전번역원

  9. [단행본] 柳根 / 西坰集 / 한국고전번역원

  10. [단행본] 尹光啓 / 橘屋拙稿 / 한국고전번역원

  11. [단행본] 李奎報 / 東國李相國全集 / 한국고전번역원

  12. [단행본] 李明漢 / 白洲集 / 한국고전번역원

  13. [단행본] 李敏求 / 東州集 / 한국고전번역원

  14. [단행본] 李民宬 / 敬亭集 / 한국고전번역원

  15. [단행본] 李睟光 / 芝峯集 / 한국고전번역원

  16. [단행본] 李安訥 / 東岳集 / 한국고전번역원

  17. [단행본] 任叔英 / 疎菴集 / 한국고전번역원

  18. [단행본] 張經世 / 沙村集 / 한국고전번역원

  19. [단행본] 張維 / 谿谷集 / 한국고전번역원

  20. [단행본] 正祖 / 弘齋全書 / 한국고전번역원

  21. [단행본] 趙備 / 桂窩集 / 한국고전번역원

  22. [단행본] 趙正萬 / 寤齋集 / 한국고전번역원

  23. [단행본] 趙纘韓 / 谿谷集 / 한국고전번역원

  24. [단행본] 趙希逸 / 竹陰集 / 한국고전번역원

  25. [단행본] 鄭弘溟 / 畸庵集 / 한국고전번역원

  26. [단행본] 車天輅 / 五山集 / 한국고전번역원

  27. [단행본] 南龍翼 / 1993 / 詩話叢林 / 통문관

  28. [기타] 沈守慶 / 遣閑雜錄

  29. [기타] 李瀷 / 星湖僿說 28권 / 「詩文門․回文集句」 참조

  30. [기타] 顧炎武 / 日知錄 / 四庫全書本

  31. [기타] 王世貞 / 藝苑巵言 / 四庫全書本

  32. [기타] 胡震亨 / 唐音癸籤 / 四庫全書本

  33. [단행본] 강민호 / 2014 / 두보 배율 연구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34. [단행본] 김성애 / 1999 / 한국문집총간 해제3 / 민족문화추진회 : 199

  35. [학술지] 심경호 / 2015 / 조선의 科擧와 參考書, 그리고 韻書 / 열상고전연구 (46) : 325 ~ 367

  36. [학술지] 윤재환 / 2011 / <除夜, 放舟行二百里, 紀壯遊述客懷, 得二百韻排>를 통해 본 南龍翼의 二元的 認識世界와 그 意味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59) : 5 ~ 34

  37. [단행본] 이영주 / 2006 / 한국시화에 보이는 두시 / 서울대학교 출판부

  38. [학술지] 장유승 / 2003 / 朝鮮時代 科體詩 硏究 / 한국한시연구 (11) : 12 ~ 449

  39. [학술지] 松浦友久 / 2002 / “七言排律”不盛行的原因: 從對偶表現的本質說起 / 中國文學研究 (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