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고려와 조선 시대 儒者들의 輓詩를 대비하여 그 특징을 살펴 본 글이다. 일부 연구자의 연구 중 만시가 상투적이고 형식적이라고 한 것이 있었는데, 정말로 고려와 조선의 유자들이 지은 만시가 상투적이고 의례적인가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따라서 고려와 조선시대의 만시를 考究해본 결과, 상투적이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사상의 차이도 드러났다. 고려시대는 도교와 불교적 배경의 만시가 있었으며, 그 사상적 흐름은 조선 초 유자인 서거정의 만시까지 이어져 도교 사상과 불교적 내세관이 반영되었다. 그리고 조선 중기 정철의 만시에도 도교의 신선 사상이 반영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조선 중기 특히 성리학이 이념화된 이후에는 그 이전까지 지녀왔던 도교의 신선 사상이나 불교적 내세관은 儒者의 만시에서 찾아볼 수가 없었다. 儒者들은 부녀자에 대한 만시라고 하여 일부러 기피하지는 않았다. 고려시대나 조선시대에도 자기 주변의 사람들에 대해서는 남녀를 가리지 않고 그들의 죽음을 만시로 애도하였다. 만시는 한 인물이 이 세상을 떠나면 이승에 남은 사람이 그의 일생을 되돌아보고 애도하는 마지막 작품이기에, 작시자는 한 글자도 서툴게 표현하지 않았으며 글도 상투적․형식적으로 마무리하지 않았다. 만시는 이승과 저승, 죽은 자와 산 자를 이어주는 매개체 역할을 하는 것이었기에 진심을 담아 표현하였던 것이다. 그래서 그 인물을 잘 드러내지 못할까 염려했던 부분은 있었다. 그런 차원에서 문장이 뛰어난 유자에게 만시를 대신 지어 줄 것을 부탁했던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철저한 유자들은 한 글자 한 글자에 망자에 대한 칭송과 슬픔을 담고자 노력하였던 것이다. 그런 철저한 유자들의 노력이 만시의 眞想으로 거듭 나게 되었던 것이다.

키워드

輓詩, 유자, 유학, 성리학, 도교, 불교, 부녀자, 애도, 칭송, 眞想

참고문헌(39)open

  1. [단행본] 宋刊本十三經注疏附校勘記 / 1979 / 論語 / 藝文印書舘

  2. [기타] / 孟子

  3. [단행본] / 1979 / 大學․中庸 / 景文社

  4. [단행본] 宋刊本十三經注疏附校勘記 / 1981 / 詩經 / 藝文印書舘

  5. [기타] / 明倫 / 小學

  6. [기타] / 皐陶謨 / 書經

  7. [기타] 白居易 / 白樂天集

  8. [기타] / 任誕 / 世說新語

  9. [기타] / 音樂 / 古今注

  10. [기타] 李奎報 / 東國李相國集

  11. [단행본] 민족문화추진회 / 1980 / 동국이상국집

  12. [기타] / 高麗史 권 제15

  13. [기타] 金富軾 / 東文選 권12권

  14. [기타] 李齊賢 / 櫟翁稗說

  15. [기타] / 益齋亂稿

  16. [기타] 李穡 / 牧隱詩藁 권34

  17. [기타] 鄭夢周 / 東文選 권22권

  18. [기타] 徐居正 / 四佳詩集

  19. [기타] 曺植 / 南冥集

  20. [기타] 李滉 / 退溪先生文集

  21. [기타] 鄭澈 / 松江集

  22. [기타] 李珥 / 栗谷先生全書

  23. [기타] 丁若鏞 / 茶山詩文集

  24. [기타] 金正喜 / 阮堂全集

  25. [단행본] 정요일 / 2009 / 논어강의(天) / 새문사

  26. [단행본] 정요일 / 2010 / 논어강의(地)(人) / 새문사

  27. [학술지] 강석근 / 2006 / 근암 최옥의 輓詩 연구 / 동학연구 (21) : 43 ~ 64

  28. [학술지] 金南基 / 2002 / 金昌業과 金昌翕을 追悼한 趙正萬의 輓詩 / 한국한시연구 10 (10) : 5 ~ 168

  29. [학술지] 朴浚鎬 / 2000 / 輓詩에 대한 一考察-惠寰 李用休의 작품을 위주로 / 東方漢文學 19

  30. [학술지] 安大會 / 1995 / 「韓國 漢詩와 죽음의 문제」-조선후기 輓詩의 예술성과 인간미, / 韓國漢 詩硏究 (3)

  31. [학술지] 하정승 / 2012 / 고려후기 挽詩에 나타난 죽음의 형상화와 미적 특질 -목은 이색의 시를 중심으로- / 동방한문학 (50) : 35 ~ 68

  32. [학술지] 윤재환 / 2013 / 玉洞 李漵의 輓詩를 통해 본 朝鮮朝 輓詩의 一 樣相 / 한민족어문학(구 영남어문학) (65) : 343 ~ 383

  33. [학술지] 이송희 / 2012 / 魯西 尹宣擧의 挽詩 硏究 / 어문연구 74 : 307 ~ 331

  34. [학술지] 李貞和 / 2000 / 退溪 李滉의 輓詩 硏究 / 韓國思想과 文化 9

  35. [학술지] 전재강 / 2010 / 寒岡 挽詩의 성격 연구 / 국어교육연구 (46) : 245 ~ 274

  36. [단행본] 鄭堯一 / 2000 / 漢文學의 硏究와 解釋 / 一潮閣

  37. [학술지] 최윤정 / 2011 / 서계 박세당의 挽詩 연구 — 悼朋詩를 중심으로 — / 동양고전연구 (44) : 79 ~ 106

  38. [단행본] 최재남 / 1997 / 韓國哀悼詩 硏究 / 경남대학교 출판부

  39. [학위논문] 최태호 / 1987 / 鄭松江文學硏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