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19.164.149
18.219.164.149
close menu
KCI 등재
중ㆍ고등학교 국어 학업성취도 기초학력 미달의 요인 및 원격수업 유용성 고찰
Factors influenci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low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and the usefulnes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박성석 ( Park Seongseog ) , 박준홍 ( Park Junhong )
국어교육 177권 75-114(40pages)
DOI 10.29401/KLE.177.3
UCI I410-ECN-0102-2023-700-000584035

본 연구는 국어 기초학력 미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확인하고, 현재와 같은 원격수업 방식이 기초학력 미달인 학생들에게 얼마나 유용하게 인식되는지 진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국어) 평가 및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국어 기초학력 미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중ㆍ고등학교에서 공통적으로 부모와의 소통(-), 수면 시간(+), 책 보유량(-), 운동 시간(+), 자율학습 시간(-), 수업 준비 및 참여도(-), 여가 목적의 IT 활동(-), 국어 가치(-), 국어 흥미(+), 국어 학습 의욕(-)의 10가지가 파악되었다. 이 외에도 중학생은 학습 목적의 IT 활동(+), 진로 성숙도(+), 학습전략(-)의 3가지가, 고등학생은 시사 검색 목적의 IT 활동(+), 국어 자신감(+)의 2가지가 국어 기초학력 미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국어 기초학력 미달인 학생은 기초학력 이상인 학생들에 비해 국어과 원격수업의 모든 유형과 상황에 대해 그 유용성을 더 낮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두 집단이 인식하는 유용성 정도의 차이는 교사가 일방향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기반한 원격수업 상황에서 가장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첫째, 국어 학업 성취도 평가 방식은 향후 컴퓨터나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새로운 시대에 요구되는 국어 능력을 제대로 평가할 수 있도록 변화해야 하며, 둘째, 학력 격차를 줄이기 위해 국어 교사는 더 이상 설명을 하는 역할에 머무르기보다 학생이 자기 주도 학습을 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코치하는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음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low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language. In addition, the degree of usefulness that below-basic-level students feel in online distance learning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m with the above-basic-level students. To this end, the results of the 2020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Korean language) were analyzed. First,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factors influencing low academic achievement are as follows. In middle and high schools, 10 common influencing factors were fou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 sleep duration (+), book retention (-), exercise time (+), independent study hours (-), learning preparation and participation (-), IT activities for leisure (-), value of Korean language (-), interest in Korean language (+), and motivation to learn Korean language (-). In addition, three factors also influenced middle school students: IT activities for learning (+), career maturity (+), and learning strategy (-). A total of two factors also influenced high school students: IT activities for searching current affairs (+) and confidence in Korean language (+).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n the degree of usefulness felt in online distance learning are as follows. In all types and situations of online distance learning, below-basic-level students evaluated the lower usefulness than above-basic-level students. In particular, the gap in perception of usefulness was large in the type and situation of online distance learning based on the teacher's unilateral explanation.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method of academic achievement evaluation in Korean language subject should be improved so that students can evaluate their ability to use digital media. In addition, the role of the teacher should be changed to a guide and coach, not an explanator to decrease the academic achievement gap.

Ⅰ. 서론
Ⅱ. 선행 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제언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