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221.99.174
18.221.99.174
close menu
KCI 등재
중등학교에서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in Middle and High School
이형주 ( Lee Hyong Joo ) , 엄준용 ( Uhm Joon Yong )
DOI 10.29318/KER.25.2.9
UCI I410-ECN-0102-2019-300-001392763

본 연구는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사임파워먼트 및 학교장신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학교조직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4개의 변인으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경기도 내의 중ㆍ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은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 신뢰,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학교 현장에서 잘 발휘되면 학교장신뢰와 교사임파워먼트가 높아져 결국 학교조직효과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에서 교사임파워먼트와 학교장신뢰는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매개변수로서 교사임파워먼트는 학교장의 신뢰에 영향을 주지만, 학교장의 신뢰는 교사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개발 및 확산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임파워먼트와 학교장신뢰의 증진을 위한 방안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give a hint of educational change and improvement by revealing that the authentic leadership required in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affects teachers’ empowerment,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ultimately the improvement of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cla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carried out on 80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in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 and AMOS to analyze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and frequency,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evaluation, and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higher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the greater teachers’ empowerment,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e higher teachers’ empowerment and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the mor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Third, if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works well on the site,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teachers’ empowerment are increased, which in turn increas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분석결과
V.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