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재판이론은 재판이 실제로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그리고 재판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관한 이론이다. 따라서 재판이론은 설명적 이론인 동시에 규범적 이론일 필요가 있다. 그런데 전통적인 법학방법론이나 기존의 재판이론은 재판절차에서 이루어지는 법실무를 밀접하게 설명하고 그 규범을 제시하는 데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 재판에서는 당사자들의 주장과 입증, 반박을 통해 결론을 도출하는 과정이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에도 여기에 대한 이론적 탐구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이에 실제 재판과정에서 나타나는 법적 추론을 설명하기 위해 가추의 개념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것을 제안한다. 가추는 미국의 과학자이자 기호학자로서 프래그머티즘의 선구자로 알려진 퍼스가 연역, 귀납, 유추가 아닌 사유방식으로서 실천적인 추론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한 개념이다.
가추는 최선의 설명을 위한 가설의 추론으로 정의되는데, 법적 가추는 최선의 분쟁해결을 위한 사실관계, 법규범, 결론에 대한 가설의 추론이다. 법적 가추는 가설을 매개로 재판절차에 참여하는 당사자들과 법률가들이 사법적 의사결정의 과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모습을 설명할 수 있다. 또한 그 과정에서 상정되는 잠정적 결론도 하나의 가설로서 검증의 대상이 된다는 점을 강조하여 정당화의 과정을 거치도록 요청한다. 나아가 법적 가추의 개념에 의하면, 법적 추론이 도달해야 할 지향점으로서 개연성, 그 중에서도 고도의 개연성이 어떠한 의미인지를 명확하게 밝히고, 개연성의 정도를 높이기 위한 규범을 구체적으로 제시할 수 있다.

The theory of adjudication is a theory concerning how courts actually decide and should decide cases. In this sense, the theory of adjudication is required to be both descriptive and normative. The traditional methodology of jurisprudence or existing theories of adjudication, however, have revealed their limitations in both specifying legal practice in the judicial process and setting norms. This problem stems from lack of theoretical exploration on the process of drawing a conclusion through assertion, verification, and rebuttal by parties though it forms a major part of the judicial process.
Therefore, I suggest the concept of abduction be embraced aggressively in order to explain legal reasoning actually used in the judicial process. Abduction is a conception which Charles Sanders Peirce, known as an established American scientist, semiologist and a pioneer of pragmatism, suggested for the purpose of explaining practical inference based on a method of reasoning differentiated from deduction, induction, and analogy.
Abduction is defined as inference to the best explanation, and legal abduction can be understood as inference on facts, rules, and conclusions to the best dispute resolution. The legal abduction can describe how parties and jurists who take part in the legal proceedings play an active rol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t also underlines that a tentative conclusion postulated in the process should constitute a hypothesis to verify, requiring it to go through justification. Furthermore, the conception of the legal abduction is capable of not only clarifying the meaning of plausibility, especially a high level of plausibility, as the aim of legal reasoning, but also suggesting specific norms to enhance plausibility.

목차

논문요지
Ⅰ. 서론
Ⅱ. 가추와 개연성의 개념
Ⅲ. 법적 가추의 의의
Ⅳ. 법적 추론의 모델들과 법적 가추
Ⅴ. 법적 가추의 추론 모델
Ⅵ. 법적 가추의 결론과 개연성
Ⅶ.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81)

참고문헌 신청

이 논문과 연관된 판례 (17)

  • 대법원 1992. 4. 28. 선고 91다29972 판결

    가. 캐나다 회사가 면제품을 캐나다에서 판매하기 위하여 이를 수입한 점과, 그 밖에 당사자 사이의 매매계약의 체결과정, 계약의 내용 및 목적물 등에 비추어 보면 매도인도 위 회사가 그와 같은 목적으로 면제품을 수입한다는 사정을 알고 있었다고 보기에 어렵지 아니하므로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매도인은 자기의 채무불이행이 있으면 위 회사가 면제품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6. 2. 23. 선고 2005도8645 판결

    [1] 사기죄의 요건으로서의 기망은 널리 재산상의 거래관계에 있어 서로 지켜야 할 신의와 성실의 의무를 저버리는 모든 적극적 또는 소극적 행위를 말하는 것이고, 그 중 소극적 행위로서의 부작위에 의한 기망은 법률상 고지의무 있는 자가 일정한 사실에 관하여 상대방이 착오에 빠져 있음을 알면서도 그 사실을 고지하지 아니함을 말하는 것으로서, 일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7. 5. 30. 선고 97도597 판결

    [1] 폭력행위등처벌에관한법률 제3조 제1항에 있어서 `위험한 물건`이라 함은 흉기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널리 사람의 생명, 신체에 해를 가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일체의 물건을 포함한다고 풀이할 것이므로, 본래 살상용·파괴용으로 만들어진 것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만들어진 칼·가위·유리병·각종공구·자동차 등은 물론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7. 3. 20. 선고 96도1167 전원합의체 판결

    [1] 형법이나 국가보안법 등이 자수에 대하여 형을 감면하는 정도를 그 입법 취지에 따라 달리 정하고 자수의 요건인 자수시기에 관하여도 각각 달리 정하고 있는 점으로 미루어 보면, 어느 죄에 관한 자수의 요건과 효과가 어떠한가 하는 문제는 논리필연적으로 도출되는 문제가 아니라, 그 입법 취지가 자수의 두 가지 측면 즉 범죄를 스스로 뉘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8. 5. 17. 선고 2017도4027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부동산 매매계약에서 계약금만 지급된 단계에서는 어느 당사자나 계약금을 포기하거나 그 배액을 상환함으로써 자유롭게 계약의 구속력에서 벗어날 수 있다. 그러나 중도금이 지급되는 등 계약이 본격적으로 이행되는 단계에 이른 때에는 계약이 취소되거나 해제되지 않는 한 매도인은 매수인에게 부동산의 소유권을 이전해 줄 의무에서 벗어날 수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0. 1. 28. 선고 2009다76133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94. 9. 13. 선고 94도1335 판결

    가. 증거의 증명력은 법관의 자유판단에 맡겨져 있으나 그 판단은 논리와경험칙에 합치하여야 하고, 형사재판에 있어서 유죄로 인정하기 위한 심증형성의 정도는 합리적인 의심을 할 여지가 없을 정도여야 하나, 합리성이 없는 모든 가능한 의심을 배제할 정도에 이를 것까지 요구하는 것은 아니며, 증명력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는 증거를 합리적인 근거가 없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7. 3. 22. 선고 2016다258124 판결

    민사소송절차에서 변론주의 원칙은 권리의 발생·변경·소멸이라는 법률효과 판단의 요건이 되는 주요사실에 관한 주장·증명에 적용된다. 따라서 권리를 소멸시키는 소멸시효 항변은 변론주의 원칙에 따라 당사자의 주장이 있어야만 법원의 판단대상이 된다. 그러나 이 경우 어떤 시효기간이 적용되는지에 관한 주장은 권리의 소멸이라는 법률효과를 발생시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1. 5. 13. 선고 2010다58728 판결

    [1] 처분문서의 진정성립이 인정되면 법원은 기재 내용을 부인할 만한 분명하고도 수긍할 수 있는 반증이 없는 한 원칙적으로 처분문서에 기재되어 있는 문언대로 의사표시의 존재와 내용을 인정하여야 하고, 당사자 사이에 계약 해석을 둘러싸고 이견이 있어 처분문서에 나타난 당사자의 의사해석이 문제되는 경우에는 문언의 내용, 그러한 약정이 이루어진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8. 6. 12. 선고 2007도5389 판결

    차량 급발진으로 인한 사고로 볼 만한 여러 사정들이 있고 운전자의 업무상 과실이 있다는 점에 대하여 증명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무죄를 선고한 원심판결을 유지한 사례.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9. 3. 26. 선고 2008다72578,72585 판결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09. 10. 22. 선고 2009도7436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형사소송 법령의 내용과 그 개정 경위, 공소장일본주의의 기본취지, 우리나라 형사소송법이 당사자주의와 공판중심주의 원칙 및 직접심리주의와 증거재판주의 원칙 등을 채택하고 있다는 점 등을 아울러 살펴보면, 공소장일본주의는 위와 같은 형사소송절차의 원칙을 공소제기의 단계에서부터 실현할 것을 목적으로 하는 제도적 장치로서 우리나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8. 3. 22. 선고 2012다74236 전원합의체 판결

    금액이 다른 채무가 서로 부진정연대 관계에 있을 때 다액채무자가 일부 변제를 하는 경우 변제로 인하여 먼저 소멸하는 부분은 당사자의 의사와 채무 전액의 지급을 확실히 확보하려는 부진정연대채무 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다액채무자가 단독으로 채무를 부담하는 부분으로 보아야 한다. 이러한 법리는 사용자의 손해배상액이 피해자의 과실을 참작하여 과실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8. 11. 1. 선고 2016도10912 전원합의체 판결

    [1] [다수의견] ① 병역법 제88조 제1항은 국방의 의무를 실현하기 위하여 현역입영 또는 소집통지서를 받고도 정당한 사유 없이 이에 응하지 않은 사람을 처벌함으로써 입영기피를 억제하고 병력구성을 확보하기 위한 규정이다. 위 조항에 따르면 정당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는 피고인을 벌할 수 없는데, 여기에서 정당한 사유는 구성요건해당성을 조각하는 사유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9. 4. 3. 선고 2017두52764 판결

    [1]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이하 `감염병예방법’이라 한다) 제71조에 의한 예방접종 피해에 대한 국가의 보상책임은 무과실책임이지만, 질병, 장애 또는 사망(이하 `장애 등’이라 한다)이 예방접종으로 발생하였다는 점이 인정되어야 한다. 여기서 예방접종과 장애 등 사이의 인과관계는 반드시 의학적·자연과학적으로 명백히 증명되

    자세히 보기
  • 대법원 2011. 12. 22. 선고 2011도9721 판결

    [1] 2인 이상이 범죄에 공동가공하는 공범관계에서 공모는 법률상 어떤 정형을 요구하는 것이 아니고 2인 이상이 공모하여 범죄에 공동가공하여 범죄를 실현하려는 의사의 결합만 있으면 되는 것으로서, 비록 전체의 모의과정이 없더라도 수인 사이에 순차적으로 또는 암묵적으로 상통하여 의사의 결합이 이루어지면 공모관계가 성립한다. 그리고 이러한 공모

    자세히 보기
  • 대법원 1984. 10. 23. 선고 84도2001,84감도319 판결

    형법 제144조 특수공무방해죄에 있어서의 " 위험한 물건" 이라 함은 흉기는 아니라고 하더라도 널리 사람의 생명ㆍ신체에 해를 가하는데 사용할 수 있는 일체의 물건을 포함한다고 풀이할 것이므로 본래 살상용ㆍ파괴용으로 만들어진 것 뿐만 아니라 다른 목적으로 만들어진 칼ㆍ가위ㆍ유리병ㆍ각종 공구ㆍ자동차등은 물론, 화학약품 또는

    자세히 보기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