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일본의 상륙전부대 운용 경험과 수륙기동단 창설의 함의

The Experience of the Japan’s Amphibious Forces Employment and the Implications of the Establishment for Amphibious Rapid Deployment Brigade

군사
약어 : -
2015 no.97, pp.349 - 394
DOI : 10.29212/mh.2015..97.349
발행기관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178 회 열람

일본이 도서방어작전 및 탈환을 위한 ‘수륙기동단’ 창설을 공식화하여 추진 중에 있다. 아베정권은 일본의 안보불안요소는 도서지방에서 기인하고 있다고 평가하고 이에 대처하기 위한 군사력 건설에 국방정책의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과거 일본군은 명치유신부터 군사 선진국들의 제도를 모방하여 육전대를 창설하여 운용하였다. 일본의 근대화 및 아시아․태평양 전쟁과 함께 운명을 같이 했던 육전대는 일본 해군 및 육군에서 독자적으로 운용하던 상륙작전 부대였다. 육전대는 일본이 세력을 확장시켜 나가는 과정에서 일본의 힘을 투사시키는 수단으로 활용되었다. 최근 수륙기동단 창설 움직임은 일본이 자국의 영토를 방위하기 위한 수단의 확보라는 측면에서 정상적인 행보로 볼 수 있으나 과거 일본의 군국주의에 의해 희생되었던 주변국들은 비판과 함께 우려를 하고 있다. 상륙전 부대는 한 국가가 자국의 영역을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군사력을 투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다분히 공격적이고 주변국에게 위협으로 인식된다. 일본의 수륙기동단 창설은 도서영유권 분쟁과 미․중의 지역내 패권경쟁의 심화 등으로 야기된 동북아 질서의 불안정성을 더욱 가속화시킬 수 있는 촉진제가 될 수 있다. 일본의 수륙기동단 창설은 과거 역사 속에서 이와 유사한 기능을 가진 부대를 운용했던 경험이 있기에 더욱 관심이 요구된다. 상륙전 부대를 운용했던 일본의 경험과 이를 토대로 한 수륙기동단 창설은 다음과 같은 함의를 준다. 첫째, 한국중국․러시아 등 일본과 도서영유권 및 해양관할권 분쟁 중인 국가들을 자극하여 동북아 지역의 불안정성을 증가시킬 것이다. 둘째, 역내 국가들 간의 상륙 및 대상륙작전 전력 건설로 군비경쟁을 가속화시킬 것이다. 셋째, 일본은 과거 세계적 수준의 상륙작전 부대 운용 경험을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어 상륙작전 능력을 단기간에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넷째, 수륙기동단 창설은 일본의 집단적 자위권 행사를 위한 시공간적 범위를 비약적으로 확대시키는 역할을 할 것이다. 다섯째, 과거 경험을 거울삼아 일본 자위대의 합동작전 수행 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여섯째, 한미일 3국 간 군사협력 기회가 증가될 것이다. 일본의 수륙기동단은 과거 상륙전부대 운용 경험에 비추어 볼 때 다기능을 수행할 것이다. 우리는 이에 대한 긍정적인 요인과 부정적인 요인을 면밀히 분석하여 대비해야 할 것이다.

Japan has announced to formalize the creation of the “Amphibious Rapid Deployment Brigade” to defend and retake its island which is considered as a gray zone. Abe regime has put a priority on its military building to have a strong landing forces which based on the assessment that the main factor of its insecurity comes from the matter of disputable Islands. During the Asia-Pacific War, Japan operated the Rikusentai which had imitated the western countries’s amphibious forces. The Rikusentai was respectively managed by the Army and Navy. The roles of the Rikusentai was a forceful projection power to spread Japanese military power. In one side, we can see that the Japan’s announcement of Amphibious Maneuver Group activation is a normal policy as a state, however, the neighboring countries, including Korea criticize and fear that the possibility of Japan’s remilitarization. These feelings of concern originate from their past dreadful experiences. In the past times, Japan had a similar landing forces which had operated as an invasive means to conquer the North-East asian areas. The Japan’s experience of using amphibious operation forces and the trial to build amphibious rapid deployment brigade has a implication as below. First, it can aggravate the unstable status in the region of the North East area especially, between Japan and Sino-Russian relations those are disputing the island problems. Second, it can accelerate the arms race to build up the amphibious and counter amphibious forces between Japan and its neighborhood. Third, Japan can develop its amphibious skills in short time because it has a affluent experiences. Fourth, the creation of amphibious maneuver force can be used as a main means of Japan’s collective self defense power. Fifth, Japan can develop its joint operation capability among the self defense forces. Finally, it will increase the opportunity of military cooperation among ROK-US-Japan. We should estimate the both positive and negative sides of the Japan’s trial to increase its military power. Now we need to cope with this matter strategically.

일본 육전대, 아시아ㆍ태평양 전쟁, 집단적 자위권, 도서방어작전, 수륙기동단
rikusentai, asiaㆍpacific war, amphibious operation, collective self-defense right, amphibious maneuver force

  • 1. [기타] 윤희일 / 2015 / 아베의 안보법안은 무기없는 쿠데타 / 경향신문(2015.7.30.) 6면
  • 2. [기타] 임민혁 / 2015 / 中과 갈등 커져 한국에 부담… 對北억지력엔 도움 / 조선일보(2015.9.21.)A2면
  • 3. [단행본] 서승원 / 2013 / 일본은 지금 무엇을 생각하는가? / 삼성경제연구소
  • 4. [인터넷자료] / 일 아베정권 평화헌법 개정할 여력없어
  • 5. [인터넷자료] 최원우 / 일 헌법학자 열에 아홉은 “집단적 자위권 허용은 위헌
  • 6. [기타] 윤정호 / 2015 / 방미 앞둔 아베 안보․경제 미국 뜻 다 들어줬다 / 조선일보(2015.3.30.)A18면
  • 7. [기타] 김수혜 / 2015 / ‘아베 야메로’ 거센 반발속 ...일 ‘집단적 자위권’ 법안 중의원도 통과 / 조선일보(2015.7.17.)A18면
  • 8. [단행본] 外山三郎 / 1978 / 大東亞戰爭と戰史の敎訓 / 原書房
  • 9. [단행본] 戶部良一 / 1984 / 失敗の本質 / ダイヤモンド
  • 10. [단행본] 野村實 / 2002 / 日本海軍の歷史 / 吉川弘文館
  • 11. [보고서] 국방정보본부 / 2014 / 2014본 방위백서 : 231 ~
  • 12. [인터넷자료] 최현수 / 「2015일 방위백서」유사시 타국 영토상륙...수륙기동단 새롭게 편성
  • 13. [학위논문] 최정준 / 2009 / 미국 해병대와 일본 육전대의 조직문화 비교 : 셈페르 피델리스(Semper Fidelis)와 대화혼의 충돌을 중심으로
  • 14. [학술지] Seiho Arima / 1964 / The Western Influence on Japanese Military Science, Shipbuilding, and Navigation / Monumenta Nipponica / 19 (3/4) : 352 ~ 3/4
  • 15. [단행본] 山口喜代松 / 1943 / 日本海軍陸戰隊史 / 大新社 : 51 ~
  • 16. [단행본] David C. Evans / 1997 / KAIGUN: Strategy, Tactics and Technology in the Imperial Japanese Navy,1887~1941 / Naval Institute Press
  • 17. [단행본] Joseph H. Alexander / 1997 / Storm Landings / Naval Institute Press
  • 18. [단행본] 위텐런 / 2014 / 대본영의 참모들 / 나남
  • 19. [단행본] 제프리 틸 / 2011 / 21세기 해양력 / 해양전략연구소 : 359 ~
  • 20. [단행본] 하정열 / 1999 / 일본의 전통과 군사사상 / 팔복원
  • 21. [학술지] Stanley L. Falk / 1961 / Organization and Military Power: The Japanese High Command in World WarII / Political Science Quarterly / 76 (4) : 503 ~ 4
  • 22. [단행본] 藤原彰 / 1994 / 일본군사사 / 시사일본어사 : 169 ~
  • 23. [단행본] Christina W. Beilstein / 1991 / Japanese Naval Vessels at the End of World WarII / Naval Institute Press
  • 24. [단행본] 장인성 / 2007 / 메이지 유신-현대 일본의 출발점 / 살림 : 28 ~
  • 25. [단행본] George Feifer / 2000 / The Battle of Okinawa: TheBlood and The Bomb / The Lyons Press : 33 ~
  • 26. [단행본] 야마다 아키라 / 2014 / 일본 군비확장의 역사 / 어문학사
  • 27. [단행본] 사카이야 다이치 / 2002 / 조직의 성쇠 / 위즈덤 하우스 : 42 ~
  • 28. [단행본] Ruth Benedict / 1989 / The Chrysanthemum and the Sword / Houghton Miffin Company
  • 29. [단행본] Theodore L. Gatchel / 1996 / AtWater's Edge: Defending against the Modern Amphibious Assault / Naval Institute Press
  • 30. [보고서] 국방정보본부 / 2013 / 2013일본방위백서
  • 31. [인터넷자료] / https://namu.wiki/w/%ED%95%B4%EC%83%81%EC%9E%90%EC%9C%84%EB%8C%80
  • 32. [인터넷자료] / http://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3143299&plink=COPYPASTE&cooper=SBSNEWSEND,https://namu.wiki/w/%EC%B9%B4%EA% B0%80
  • 33. [학술지] 정경찬 / 2013 / 이즈모급 헬리콥터 호위함 진수의 의미 / Military Review : 49
  • 34. [인터넷자료] /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4&oid=001&aid=0007050185
  • 35. [기타] 신경진 / 2014 / 준항모․ 이지스함...일본 해군력,중국 앞선 세계 최강급 / 중앙일보,2014년 7월 3일,4면
  • 36. [학술지] Robert Ayson / 2014 / Can a Sino-Japanese War Be Controlled? / Survival / 56 (6) : 135 ~ 6
  • 37. [단행본] Michael S. Chase / 2015 / China's Incomplete Military Transformation / RAND
  • 38. [기타] 유용원 / 2015 / 일본 집단적 자위권의 불편한 眞實 / 조선일보(2015.9.23.)A31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