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성 동향 분석
Trend of the Relationship among Multicultural Educatio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실과교육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30권 제1호 (2024.02)바로가기
  • 페이지
    pp.53-72
  • 저자
    김정원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3117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5,5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Recently, the concepts of multicultural education (ME),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GCED), and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 (ESD) have been emerging, but many people in the education field do no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their relationships, causing confusion in their field appli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e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future education by analyzing and present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above concepts and the latest research trends through analysi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literature. Although the concepts of ME, GCED, and ESD each have differences in their starting and stressed points, they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a common goal from an educational perspective to cultivate members of a fair and sustainable society in preparation for an uncertain future, confirming the need for mutual convergence. First, the concept of ME, a region-centered approach, is expanding to GCED in an era where complex global issues are emerging, and in light of the times, it was suggested that combining ME with GCED would result in synergy. In addition, it was emphasized that in order to achieve true sustainable development, a leap from environment-centered ESD must be accompanied by ME (or GCED). Convergence education of ME (or GCED) and ESD reflected in curriculum can develop students into global citizens and ultimately achieve true sustainable development in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n conclusion, ME is an essential content that GCED and ESD have as a common denominator, and needs to be expanded into GCED to meet the needs of the globalization era. If GCED is implemented to reflect environmental, social, and economic aspects, it will ultimately contribute to ESD. In the future, if an integrated educational approach that understands this relationship is implemented in schools, we will be able to develop students into members of a sustainable and fair society, that is, global citizens, and ultimately achieve sustainable development.
한국어
최근 다문화교육(ME), 세계시민교육(GCED), 지속가능발전교육(ESD)의 개념이 대두되고 있으나 교 육계 종사자 다수가 그 관계성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있지 못해 현장 적용에 혼선을 겪고 있다. 이에 최신 국내외 문헌 분석을 통해 위 개념의 관계성 동향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시 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ME, GCED, ESD의 개념은 각각 그 시발점과 강조점에는 차이가 있으나 불확실 한 미래를 대비하여 공정하고 지속가능한 사회 구성원을 양성하고자 하는 교육적 관점에서 공통된 목 표와 밀접한 상관관계를 보이며 상호 융합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먼저 지역 중심 접근이 이뤄졌던 ME은 복잡한 글로벌 이슈가 대두되는 시대적 상황을 맞아 GCED으로 그 개념이 확장되고 있으며 GCED와 융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시너지를 얻을 것으로 제안되고 있었다. 또한 진정한 지속가 능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환경 중심의 ESD에서 도약하여 ME(또는 GCED)이 반드시 수반되어야 함이 강조되고 있었다. ME(또는 GCED)과 ESD의 융합적 교육은 교육과정에 반영됨으로써 학생들을 세계시 민으로 성장시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에서 진정한 지속가능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ME은 GCED 및 ESD가 공통분모로 담고 있는 필수조건으로 세계화 시대의 요구를 담아 GCED로 확장될 필요가 있으며, GCED가 환경, 사회, 경제적 측면을 반영하여 시행된다면 결국 ESD로 기여할 것이다. 향후 이런 관계성을 이해한 융합적 교육 접근이 학교 현장에서 이뤄진다면 우리는 학생들을 지속가능하고 공정한 사회의 구성원, 즉 세계시민으로 성장시켜 궁극적으로 지속가능 발전을 이룰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
2.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개념 비교
Ⅲ. 연구 방법
1. 자료 수집
2. 자료 분석
Ⅳ. 연구 결과
1.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성 분석
2.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의 관계도
3. 다문화교육, 세계시민교육, 지속가능발전교육의 방향성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정원 [ Jeongweon Kim | 서울교육대학교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설립연도
    1989
  • 분야
    사회과학>교육학
  • 소개
    본 학회는 처음 실과 교과서에 참여한 인사를 중심으로 1989년 실과 교육 연구회로 발족하였다가 1990년에 전국 규모의 회원을 갖고 학회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본 학회는 한국의 실과 교육의 학문적 연구 및 현장 교육의 문제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현재는 전국의 관련대학의 교수와 현장 교사가 참여하여 실과의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 있고, 현장의 문제해결에도 기여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실과교육연구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간기
    계간
  • pISSN
    1226-8658
  • 수록기간
    1995~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74 DDC 375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실과교육연구 제30권 제1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