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2022 개정 초등 실과교육과정 성취기준과 지속가능발전목표(SDGs)와의 관련성 분석
Relevance Analysis between SDG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실과교육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30권 제1호 (2024.02)바로가기
  • 페이지
    pp.25-52
  • 저자
    김민성, 이상원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43116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7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DG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to provide basic data so that ESD can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the school field.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research purpose, detailed goals of SDGs were extracted by analyzing previous studie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elementary school practical curriculum. Based on this,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analysis criteria and framework with the contents of the field of practical education, the validity was verified with the CVR index of 0.933. The conclusions obtain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DGs most related to the five areas presented in the 2022 revised elementary practical arts curriculum were "2. End hunger, achieve food security and improved nutrition and promote sustainable agriculture", and the SDGs most related to 39 achievement standards were "12. Ensure sustainable consumption and production patterns". In particular, the SDG 12 goals have a lot to do with achievement standards within the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 area. Second, all of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area of ‘human development and leading life’ were directly related to targets of ‘People’, except for one, and the overall frequency was the highest in the targets related to ‘People’. Third,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area of 'living environment and sustainable choice' showed the frequency of direct relevance to targets related to ‘Planet’ 9 times, and targets related to ‘Prosperity’ 2 times, and were not directly related to ‘People’. Fourth, the achievement standard in the area of ‘technical problem solving and innovation’ had relatively less related to the SDGs targets, and the directly related targets was analyzed as 7.2. Fifth,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area of ‘Sustainable Technology and Convergence’ are relatively balanced with targets of ‘People’, ‘Planet’, and ‘Prosperity’ of the SDGs, and ‘Planet’ showed the highest frequency of direct relevance. Sixth, the area of ‘Digital Society and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is an area linked to the information subject of the secondary curriculum, was indirectly related to SDG 4’s target 4.4, and had less relevance to the SDGs compared to other areas.
한국어
이 연구는 2022 개정 초등 실과교육과정의 성취기준에서 지속가능발전목표(SDGs)를 분석하여 학교 현장에서 ESD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초등 실과교육과정 성취기준을 분석하여 관련 있는 SDGs의 세부목표를 추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분석 준거와 틀을 마련하여 실과교육 영역의 내용과 비교 ‧ 분석한 결과, 타당도는 CVR 지수 0.933으로 타당성이 검증되었다. 이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실과교육과정에 제시된 5개 영역과 가장 많이 관련 있는 SDGs는 ‘2.기아 종식, 식량안보 및 영향 개선과 지속가능 농 업 강화’였으며, 성취기준과 가장 많이 관련 있는 SDGs는 ‘12.지속가능한 소비와 생산 양식의 보장’이 다. 특히 SDG 12는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영역 내의 성취기준과 많은 관련이 있다. 둘째, ‘인간 발달과 주도적 삶’ 영역의 성취기준은 한 개를 제외하고 ‘인류(People)’와 관련된 세부목표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으며, 전체 빈도수도 가장 많았다. 셋째, ‘생활환경과 지속가능한 선택’ 영역의 성취기준은 ‘지 구환경(Planet)’과 관련된 세부목표와는 9회, ‘번영(Prosperity)’과 관련된 세부목표와는 2회의 직접 관 련 빈도를 보였으며, ‘인류’와 관련된 세부목표는 없었다. 넷째, ‘기술적 문제해결과 혁신’ 영역의 성취 기준은 SDGs 세부목표와의 관련성이 비교적 적었으며, 직접 관련 있는 세부목표는 7.2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지속가능한 기술과 융합’ 영역의 성취기준은 SDGs의 ‘인류’, ‘지구환경’, ‘번영’의 세부목표와 비교적 균형 있게 관련이 있으며, 이 중 가장 많은 직접 관련 빈도수를 나타낸 구성요소는 ‘지구환경’ 이었다. 여섯째, ‘디지털 사회와 인공지능’ 영역은 SDG 4의 세부목표 4.4와 간접적으로 관련이 있으며, 다른 영역과 비교하여 SDGs와의 관련성은 떨어졌다.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1. SDGs와 ESD의 이해
2. 초등 실과교육과정과 SDGs
3. 교육과정 성취기준의 개념과 중요성
Ⅲ. 연구 방법
1. 분석 대상
2. 분석 기준 설정
3. 분석 방법
Ⅳ. 연구 결과
1. SDGs와 초등 실과 성취기준 분석
2. 초등 실과 교육과정 성취기준과 SDGs 세부목표의 관련 내용 분석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

  • 김민성 [ Minseong Kim | 경기동천초등학교 ]
  • 이상원 [ Sangwon Lee | 서울교육대학교 ] 교신저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The Society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설립연도
    1989
  • 분야
    사회과학>교육학
  • 소개
    본 학회는 처음 실과 교과서에 참여한 인사를 중심으로 1989년 실과 교육 연구회로 발족하였다가 1990년에 전국 규모의 회원을 갖고 학회 활동을 본격적으로 시작하였다. 본 학회는 한국의 실과 교육의 학문적 연구 및 현장 교육의 문제를 개선하는데 기여할 목적으로 설립되었고, 현재는 전국의 관련대학의 교수와 현장 교사가 참여하여 실과의 학문적 기초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 있고, 현장의 문제해결에도 기여하면서 발전하고 있다.

간행물

  • 간행물명
    실과교육연구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 간기
    계간
  • pISSN
    1226-8658
  • 수록기간
    1995~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374 DDC 375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실과교육연구 제30권 제1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