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17.235.185
18.117.235.185
close menu
KCI 등재
IPA 분석을 활용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정중심평가 지원 요소 탐색
Exploring the supporting factors to Process-Based Assessment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IPA analysis
김은주 ( Kim¸ Eunju ) , 김은라 ( Kim¸ Eunra )
초등교육연구 34권 1호 163-186(24pages)
DOI 10.29096/JEE.34.1.07
UCI I410-ECN-0102-2022-300-000357474

본 연구의 목적은 IPA 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초등교사가 인식하는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를 살펴보고, 과정중심평가 실행을 위해 우선적으로 지원해야 할 요소를 탐색하여 각 과정별 지원 전략 수립 및 내실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B지역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를 편의표집하여 최종 188부를 설문한 후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과정중심평가의 중요도와 실행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 수준을 살펴본 결과,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이 중요도의 인식 수준과 실행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교사의 변인별로 살펴본 결과, 중요도에서는 연령, 교육경력, 실행도에서는 연령, 교육경력, 연수경험에 따라 집단 간 차이가 확인되었다. 셋째, IPA 매트릭스 분석을 실시한 결과, 중요도와 실행도가 모두 높아 지속적인 지원이 필요한 항목에는 ‘과정중심평가 실시 및 채점’, ‘과정중심평가에 대한 피드백 및 결과 기록’ 영역이 분포, 중요도는 높지만 실행도가 낮아 집중적인 지원을 요구하는 영역으로는 ‘과정중심평가 과제 개발’,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가 낮은 영역은 ‘과정중심평가 채점 기준 개발’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과정중심평가 운영의 내실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교육과정 자료 개발 측면에서 학습자의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과정중심평가 과제로 활용할 수 있는 교과서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둘째, 과정중심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이 확보된 평가 기준 및 방법·절차·도구의 개발· 보급과 더불어 과정중심평가를 드러낼 수 있는 다양한 평가 용어들을 개발해야 하고, 셋째, 과정중심평가를 위한 연수 과정을 보다 촘촘히 설계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degree of process-based assessment recognized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through the IPA technique to explore the factors that should be first supported for the execution of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o establish support strategies for each evaluation process. To this end, 188 elementarcy school teac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level of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on the importance and perception on the process-based evaluation, the level of ‘feedback and result recording for process-based evaluation' was high.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each variabl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differences between groups were identified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experience, training experience. Third, as a result of conducting the IPA matrix analysis, in the first quadrant where items that need to be supported continuously due to their high importance and performance are distributed, the areas of ‘execution and scoring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and‘recording of feedback and results of process-based assessment' were distributed. However, the areas requiring intensive support due to their high importance but low level of performance were‘developmen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tasks', and areas with low importance and performance were‘development of process-oriented assessment scoring criteria'. Based on the results, strategies to establish support for each assessment process such as the development of textbook that can evaluate the learner's process, development and execution of evaluation criteria focused on ensuring the objectivity and fairness of the process-based evaluation, development of various evaluation terms that can reveal the process-based evaluation, and the execution of training courses for process-based assessment were proposed.

Ⅰ. 서론
Ⅱ. 과정중심평가 실행에 관한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