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우리나라 산불 발생 빈도는 봄철과 겨울철에 높게 나타나는 반면, 피해면적에 있어서는 봄철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인다. 봄철과 겨울철에 발생하는 산불의 누적 건수 상위 25%는 수도권과 주요 광역시를 중심으로 분포하며, 산불 피해면적의 상위 50%는 동해안 일원에 집중 분포한다. 계절별로 볼 때, 봄철의 산불 피해는 상대적으로 전국에 분산되어 나타나는 반면, 겨울철에는 동해안과 남해안 일원, 경상 내륙 지역으로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다. 건조도는 강수량에 비해 산불 피해와 더 밀접한 연관성을 갖는데, 상대습도와 건조일수는 산불 발생 빈도에 비해 피해면적과 더 강한 상관관계를 일관되게 보여주었다. 또, 가을철에서 봄철까지의 강수량 대비 강설량 비율 감소에 따라 지역적으로 건조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다.

While the frequency of wildfires is high from winter to spring, most burnt area tends to occur in spring in Korea. Top 25% of the cumulative number of wildfires was concentrat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and the major metropolitan cities in spring and winter, but top 50% of cumulative fire-burnt area was spatially restricted to eastern coastal regions. Seasonally, wildfire damage was relatively dispersed across the country in spring, but it became aggregated to the eastern coast, southern coast, and inland area of Kyungsang Province. Compared to precipitation, surface dryness was more closely related to wildfire damage. For instance, both relative humidity and the number of dry days consistently showed a stronger correlation with the fire-burnt area than the wildfire frequency. In addition, the regional dryness increased as the snowfall-to-precipitation ratio decreased during the dry season from autumn to spring.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 방법
3. 연구결과 및 고찰
4. 요약 및 결론
문헌

참고문헌 (4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1-981-0000664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