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K-Dancecal 운영단체의 확장성을 통한 레퍼토리 확보와 창작 활성화를 위한 질적사례연구

A Study on the Qualitative Case Study for Securing Repertoire and Revitalizing Creativity through the Expansion of K-Dancecal Management Organization

한국무용학회지
약어 : KAODANCE
2022 vol.22, no.2, pp.1 - 13
DOI : 10.26743/kaod.2022.22.2.001
발행기관 : 한국무용학회
연구분야 : 기타예술체육
Copyright © 한국무용학회
4 회 열람

본 연구는 국내 민간무용단체의 댄스컬작품 제작사례를 분석하여 공연제작 현황을 파악하고 댄스컬 작품제작을 위한 자생력 확보와 운영비전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2개의 순수민간무용단체의 댄스컬 제작지원과 작품제작 과정의 내용분석을 토대로 전문가 토론과 심층리뷰를 통한 영역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민간무용단체의 활성화를 위한 선행과제로 세 가지 유형으로 제시되었다. 첫째, 민간무용단체의 지원과 제작시스템 개선을 통한 장르 레퍼토리 확장성. 둘째, 댄스컬 제작 시스템의 다변화와 안무와 연출 및 스텝 영역의 전문성과 실천적인 비전. 셋째, 한국형 댄스컬 제작과 보급을 위한 K-Dancecal의 확장성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제 수행을 통해 K-Dancecal 정착을 위한 전문가 영역의 시스템 확보와 대중적 영역의 확장성을 통한 독창성 및 자생력 확보의 기반 형성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nalyzes the production cases of dance curls by domestic private dance organization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performance production and to secure self-sustainability and present an operating vision for dance curls production. As for the research method, an area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expert discussion and in-depth review based on the dance curl production support of two pure private dance organizations and the content analysis of the work production process. As a result of the study, three types of prior tasks were presented for the revitalization of private dance organizations. First, expandability of genre repertoire through support from private dance organizations and improvement of production system. Second, the diversification of the dance curl production system and the professionalism and practical vision of choreography, directing, and step areas. Third, it is necessary to expand K-Dancecal for the production and distribution of Korean dance curls. Through the performance of these tasks, it is expected that the foundation for securing the system of experts for the settlement of K-Dancecal and securing originality and self-sustainability through the scalability of the public domain can be formed.

공연예술, K-댄스컬, 지원제도, 민간무용단체, 레퍼토리
performing arts, K-Dancecal, a support system, a private dance organization, repertoire

  • 1. [학위논문] 권소담 / 2021 / 서울예술단 창작가무극 레퍼토리 구축 양상 연구
  • 2. [학위논문] 공혜진 / 2017 / 매튜본의 잠자는 숲속의 미녀에 나타난 패러디양상 연구
  • 3. [학위논문] 김민지 / 2012 / 무용공연예술의 대중화를 위한 관객개발 방안 연구 : 국립무용단의 대표작품을 중심으로
  • 4. [학위논문] 김성원 / 2010 / 총체예술관점으로서 댄스뮤지컬 <Contact>의 해석과 현대적 수용
  • 5. [학위논문] 김주연 / 2005 / 매튜 본의 댄스뮤지컬 작품 성향에 관한 연구
  • 6. [학위논문] 안동훈 / 2017 / K-Culture 문화콘텐츠산업의 가치와 지속화방향 탐색
  • 7. [학위논문] 안호상 / 2014 / 제작극장의 레퍼토리시스템(시즌제) 도입과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 국립극장을 중심으로
  • 8. [학위논문] 이나겸 / 2014 / K-Culture 체험단지 조성 방안 : K-Pop 아레나 공연장을 중심으로
  • 9. [학위논문] 박재연 / 2017 / 비영리문화예술단체 운영 활성화 방안 연구 –민간공연단체를 중심으로-
  • 10. [학위논문] 이연수 / 2014 / 민간무용단체의 자생력 확보를 위한 경영 전략
  • 11. [학술지] 이연수 / 2017 / / 학술저널 (9) : 1656 ~ 9
  • 12. [학위논문] 이윤정 / 2020 / 국내 댄스뮤지컬 공연활성화를 위한 마케팅믹스 방안연구 <컨텍트>와 <사랑하면 춤을춰라>를 중심으로
  • 13. [학술지] 이은미 / 2017 / 공연예술 관람 활성화를 위한 연구- 공연예술관람 장애요인과 보완점을 중심으로 / 예술경영연구 (42) : 211 ~ 42 kci
  • 14. [학위논문] 이자영 / 2011 / 현대무용 대중화를 위한 직업 무용단체의 역할 및 발전방안에 관한 연구
  • 15. [학위논문] 정진우 / 2013 / 무용공연 관객개발을 위한 공연예술 성공사례 분석
  • 16. [학술지] 정태일 / 2022 / K-culture의 감성코드에 대한 탐색 : 벤담의 쾌락, 고통, 감성을 중심으로 / 한국과 세계 / 4 (1) : 63 ~ 1 kci
  • 17. [학술지] 최원자 / 2015 / 국내 댄스 뮤지컬의 등장 배경과 전개 양상 / 한국체육과학회지 / 24 (3) : 1253 ~ 3 kci
  • 18. [인터넷자료] 김보현 / 지역 공연 대중화 앞장 오해룡 포스댄스컴퍼니 대표 “상업성, 예술성, 갖춘 전북 대표콘텐츠 만들 것 / 전북일보
  • 19. [인터넷자료] 방연주 / k-댄스 지형도를 새롭게 바꾼 ʻ스우파ʼ 현상
  • 20. [인터넷자료] 얼쑤전북 / 포스댄스컴퍼니 – 문화관광에 뿌린 씨세계무대로 꽃피워요
  • 21. [인터넷자료] 손봉석 / 단양온달문화축제 댄스컬 ʻ바보온달과 평강공주 / 공연 스포츠경향
  • 22. [인터넷자료] 최정미 / (리뷰) 댄스컬 ʻ 판타스틱 엘리스ʼ / 전북도민일보
  • 23. [인터넷자료] 최윤해 / 제23 단양온달축제, 지난해 比 관광객및 경제효과 2배 ʻ판타스틱 엘리스 / 전북브레이크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