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19(COVID)로 인하여 학습자 간 교류가 줄어들면서 고립적으로 학습하는 경향을 보인 학습자들에게 학습용 영상제작을 통한 관계학습(학습자 간 상호 교류 학습) 방법을 제시하였다. OTT 서비스 소비의 익숙한 학습자들에게 학습과의 연계성과 관계학습을 위하여 학습용 영상물을 제작하게 한 결과, 영상제작 과정 중 학습한 내용에 대하여 의견 교환하며 ‘문법적 기능(문법적 정확성)’을 강조한 브레인스토밍과 영상제작 시청 후 질문과 답변을 통한 ‘사회언어학적 기능(말하기의 유창성)’을 강조한 하브루타 학습을 도입하였다. 학습자들은 학습용 영상물을 제작하며 브레인스토밍과 하브루타 학습 과정을 거치며 ‘문법적인 기능 면’에서 체계적인 생각을 하였다는 학습자가 전체 90%(n=28)이고, 논리적인 글쓰기가 가능하였다는 학습자는 80%(n=25)이다. ‘사회언어학적 기능 면’에서는 학습자 간 의견 나누기가 좋았다는 학습자가 전체 90%(n=28)이고, 부족한 면을 조언하며 상호 보완이 되었다는 의견은 90%(n=28)이다. ‘학습효과 면’에서는 복습과 이해도 상승 반복 학습이 좋았다는 반응이 전체 100%(n=31)의 반응을 보였다. 학습용 영상물 제작을 통하여 학습자 간 관계학습이 가능하게 되면서 관련 학습 내용의 재이해가 상승하였다고 볼 수 있다. 학습자들은 OTT 시대에 영상을 소비하는 입장에서 학습용 영상을 제작하는 주체자가 되는 과정에서의 도전과 동시에 창의성을 발휘하며 관계학습과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지향하는 것은 일본어 교육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해 주리라 본다.

키워드

관계 학습, 브레인스토밍, 하브루타 학습, 사회언어학적 기능, 학습의 재이해

참고문헌(22)open

  1. [학위논문] 강유경 / 2017 / 인터넷 영어사전과 하브루타 대화 기법을 활용한 초등 영어 듣기 말하기 교육의 효과

  2. [학위논문] 김영주 / 2018 / 하브루타 기법을 적용한 수업이 학생의 학업 성취도와 학습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초등학교 6학년 국어·수학 수업을 중심으로

  3. [학위논문] 김현주 / 2012 / 영상자료를 활용한 독일어 문화 수업모형

  4. [학위논문] 권영조 / 2013 / 이야기영상자료를 활용한 수학 교수-학습 방법 연구 : 고등학교 1학년 함수단원을 중심으로

  5. [학위논문] 배영희 / 2010 / 쓰기 전 단계 브레인스토밍이 대학생 학습자의 영어 쓰기 능력, 태도 및 전략에 미치는 영향

  6. [학위논문] 안재영 / 2018 / 일본 대중문화 영상콘텐츠를 활용한 의사소통 중심 일본어 교육: 2009개정 『고등학교 일본어Ⅰ』 교과서보조교재로서의 활용을 중심으로

  7. [학위논문] 이승아 / 2011 / 하브루타 학습법을 활용한 중학교 미술감상 수업지도안 연구

  8. [단행본] H. Douglas Brown / 2007 / 외국어 학습 ·교수의 원리 / ㈜피어슨에듀케이션코리아 : 27 ~ 36

  9. [학위논문] 임현준 / 2011 /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영상자료와 그 활용 방안

  10. [학위논문] 오정 / 2011 / 영상미디어를 활용한 중학교 수학수업 자료 개발 및 활용방안 연구

  11. [학위논문] 유봉현 / 2001 / 브레인스토밍 기법이 창의적 사고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12. [학위논문] 윤성지 / 2013 / 브레인스토밍이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3. [학위논문] 조은영 / 2018 / 하브루타 토론이 영재의 학습유형에 따라 비판적 사고력과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14. [학술지] 최정희 / 2020 / 학습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실시간 원격수업 교육 방안 / 日本語敎育 (93) : 31 ~ 47

  15. [단행본]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교육원 / 2008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학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 4 ~ 8

  16. [학술지] 池田和浩 / 2015 / カードゲームを用いたブレインストーミング法による心理的ストレス低減効果の検証 / 山形大学紀要(人文科学) 17 : 21 ~ 33

  17. [학위논문] 高部拓人 / 2015 / アイデア発散を促進するブレインストーミング支援システムの開発

  18. [학술지] 沼尻正之 / 2014 / 教材としての映画―授業における映像資料の活用をめぐって / 追手門学院大学教育研究所紀要 32 : 75 ~ 84

  19. [학술지] 辻義人 / 2008 / 視聴覚メディア教材を用いた教育活動の展望-教材の運営·管理と著作権 / 小樽商科大学人文研究 115 : 175 ~ 194

  20. [학술지] 小高良友 / 2012 / ブレインストーミングの効用-臨床社会学や文章作成方法との関連で- / 東海学院大学紀要 5 : 41 ~ 44

  21. [학술지] Dana. R. Ferris / 1995 / Student Reactions to Teacher Response in Multiple-Draft Composition Classrooms / TESOL Quarterly 29 (1) : 33 ~ 53

  22. [학술지] Joy M. Reid / 1987 / The learning style preferences of ESL students / TESOL Quarterly 21 : 87 ~ 1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