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일반계 고등학생의 논술 수행에 나타난 자료 읽기 및 통합 양상 연구

Analysis on the Aspect of Material Reading and Integration based on High school Students' Essay Writing Performance

청람어문교육
약어 : 청람어문교육
2016 no.60, pp.119 - 153
DOI : 10.26589/jockle..60.201612.119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청람어문교육학회
155 회 열람

본고는 일반계 고등학생이 다문서 읽기를 전제로 수행한 논술문을 분석하여 고등학생이 과제 표상과 자신의 관점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찾고 자료를 통합하는 양상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일반계 고등학생 3학년 126명의 논술문 쓰기 수행 자료를 바탕으로 집단별 수준의 차이를 다문서 읽기 평가 준거를 마련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논술문 쓰기 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출처 표시 및 정보 식별을 정확히 하려는 경향이 강하였으며 다문서의 정보를 오독한 사례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논술문 쓰기 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서의 관계를 파악하고, 정보의 중요도 평정 수준이 높았으며, 하 수준일수록 다문서 간의 관계를 파악하지 않고 정보를 단순 나열 및 재인용의 경향이 강했다. 셋째, 논술문 쓰기 수행 수준이 높을수록 다문서 읽기를 통해 파악한 정보를 종합하여 재구성하여 정교화하려는 경향이 강하였으나, 하 수준일수록 다문서 간의 관계를 논제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드러내기 위해 다문서의 정보를 추상적으로 재구성하는 양상을 보였다. 이를 토대로 본고에서는 다문서 읽기 양상을 집단별로 분류해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다문서 읽기 상황에 대한 평가 방안 마련 및 다문서 읽기 교육의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way high school students search for necessary information based on the task representation and their perspectives, and how they integrate the data they have found. The study searches for the way highschool students – by analyzing essay performance data from 126 highschool students 3rd graders. Moreover, the multiple text assessment criterion has been established based on the theoretical backgrounds for the analysi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difference in indicating sources and information identification according to essay performance levels, and is also a difference in misreading instances regarding the multiple texts. Second, there is a difference in comprehending the relationship among multiple texts and levels of assessments on information importance depending on the essay performance levels. Finally, there is a difference in integrating and elaborating the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multiple texts reading according to essay performance levels.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re is a need for multiple text reading education, since it suggests how students’ are assessed in multiple text reading and cultivates critical literacy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way students read multiple texts by classified groups.

다문서 읽기, 논술문 쓰기 수행, 고등학생 독자, 다문서 읽기 평가
Multiple text comprehension, essay writing performance, High school readers, methood of Multiple text comprehension assess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