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FULL TEXT XML

국어활동 ‘생활 속에서’의 학습활동 원리 탐색 - 초등학교 1~4학년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Principles for Learning Activity of the ‘In Life’ from “Korean Language Activity”

청람어문교육
약어 : 청람어문교육
2014 no.52, pp.31 - 55
DOI : 10.26589/jockle..52.201412.31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청람어문교육학회
162 회 열람

이 글에서는 이번 개정 교과서에서 새롭게 도입되는 “국어활동”에서 실천학습으로 구성된 ‘생활 속에서’의 학습 활동 구성 원리를 분석하였다. “국어활동”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실천학습의 유형을 ‘놀이형, 조작형, 발표형’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첫째, 놀이형은 단원 목표와 관련된 언어 사용 활동으로 놀이로 만들어 학습자가 친근하게 접근하도록 한 형태이다. 둘째, 조작형은 책 만들기, 신문 만들기와 같이 학습자의 언어 사용 결과물을 여러 가지 표현물로 만들어 전시하거나 서로 공유하는 형태이다. 셋째, 발표형은 역할놀이, 인형극 등 단원 학습과 관련된 목표를 학습자의 실연이나 공적 발표를 통해 이루게 하는 형태이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놀이형은 줄어들고 발표형이 증가하는 편이었다. 또, 조작형은 학년별로 고르게 분포하였으나 1학년에는 적은 편이었다. 보조교과서를 통해 학습자의 생활과 국어 학습을 연관 짓고자 하는 생태학적 접근은 앞으로도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이에 단원목표의 실천적 분석을 통한 차시 목표 설정, 학습자간 소통 촉진, 학습자의 일상을 소재로 활용, 실천학습의 다양한 유형 개발 등을 과제로 제시하였다.

In this paper, I did to analysis principles for learning activity of the ‘In Life’ from Korean Language Activity. It was found to classify ‘Game Type, Operation Type, Presentation Type’ activity of the ‘In life’ corner. Firstly, the game type is to play the game related learning to the unit. So, this type is familiar with learner. Secondly, the operation type is to make relevant results of learning to unit such as making book and newspaper. Thirdly, the presentation type is to share or display such as role play, puppet show. The game type has increased in low grade but the presentation type decreased under high grade. Also, the operation type is evenly spread across the whole grade. In the future, the Korean Language Activity should be Ecological Approaches of the elementary school learner. So, I proposed a list of challenges ‘setting the more practical goal through analysis of unit, promoting inter-learner communication, using the learner’s life activities, developing the different type of the practice learning’.

국어활동, 실천학습, 놀이형, 조작형, 발표형
Korean Langague Activity, practice learning, game type, operation type, presentation typ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