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초등 국어 교과서에 실린 다문화 관련 텍스트 연구

Multiculuralism in Korean Language Textbooks:Primary School

청람어문교육
약어 : 청람어문교육
2012 no.46, pp.83 - 107
DOI : 10.26589/jockle..46.201212.83
발행기관 : 청람어문교육학회
연구분야 : 한국어와문학
Copyright © 청람어문교육학회
105 회 열람

본고에서는 다문화가 실제 개정된 초등국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이 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초등국어 중 다문화가 나타나 있는 교과서 4개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에 있어서 모든 텍스트와 이미지를 포함했으며 비평적 분석법을 사용하였다. 교과서에서 소개된 다문화 이야기는 백인과 결혼 이주여성을 묘사하는 면에서는 인종적 편견을 드러내고 있었다. 즉 백인인 제니는 대환영을 받고 학교의 모든 친구나 선생님의 보호와 관심 속에서 제니는 자신감 있게 적응해 나간다. 제니의 실수도 한국 아동들은 귀엽게 봐주고 아동들은 제니의 친구가 되고 싶어 한다. “이모의 결혼식”에서 백인 이모부에서는 이모부가 한글을 못하지만 한복을 입고 다가 올 때 주인공의 가족으로 따뜻하게 받아들이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아시안 이주 여성들을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즉 이들은 언어의 문제를 가지고 있으며 한국인이 차별하는 검은색 피부이고 김치 등의 한국 음식 문화에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묘사되고 있다. 사회적 편견과 차별적 대상이 되고 마침내 문화 적응 스트레스로 많이 힘들어 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교과서가 베트남 신부에게는 한국의 유교적 가부장적 제도에 순응하도록 요구하는 것을 볼 수 있으며 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의 문화와 언어에 적응하도록 요구받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이들이 가지고 있는 문제를 그들 자신으로 인해 생긴 인상을 주고 있다. 이것은 사실 왜곡이다 한국인과 한국사회도 이들이 잘못 적응하는데 책임이 있다. 이들에게는 백인 제니에게서처럼 한국인들이 아시안 아줌마들에게 적극적으로 다가가 친구가 되려는 모습이나 그들의 한국 문화 적응과 한국어를 도와주겠다고 말하는 사람이 없다는 점이다. 이들에 대한 묘사는 소외된 제3자로 표현되며 부정적이고 어울리지 못하고 적응에 문제를 가진 자로 표현되고 있다. 이상에서 볼 때 이러한 내용으로는 아동들이 다문화를 이해하고 세계인으로 자라기에는 부족하다. 그래서 교과서가 실제 결혼이주여성들이나 다문화 아동들이 당하는 문제점뿐 아니라 그들이 안고 있는 언어와 문화의 어려움 등을 제시하고 돕고자 하는 방안도 제시해 주어야 한다. 그래야만 아동들로 하여금 우리 다문화의 현실을 올바로 직시하고 이들을 도와서 한국에 다문화 사회로 빨리 정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xtent to how multicultural aspects are reflected/included in Korean language textbooks. To do this, this project investigated four stories from four primary school Korean language textbooks which display multiculturalism. I analysed texts and visual images using critical discourse analysis. The findings show racial prejudices and discriminations in the textbooks. They depicted white people very favorably, while Asian brides who married Koreans are depicted negatively. Jenny, a caucasian girl, is welcomed very warmly by all her classmates and protected by her teacher. Students are very tolerant to her mistakes and are eager to be her friends. One Greek man, who married a Korean lady, is also accepted warmly after he wore Korean traditional clothes. Unlike this, Asian women who married Korean husbands are marked and depicted negatively. The textbooks describe them as people having many problems such as language and cultural barriers, who cannot mingle with Koreans well, and their skins are portrayed darkly, which considered unfavourable in the Korean society. One Vietnamese lady is portrayed as having many cultural adjustment problems, being exposed to discriminations from both children and adults. Textbooks portray the Vietnamese bride as being pushed to follow Korean patriarchical Confucian tradition. In addition, the problems Asian ladies have are considered as their own innate problems. Yet this is an inaccurate portrayal, Koreans and the Korean society are also responsible for their maladjustment. No Koreans approach them, volunteer to help them or teach Korean languages and culture to better settlement. These Asian ladies are depicted as maginalised and isolated others. By considering that such contents are included in the textbooks, it is clear that they are not sufficient for Korean children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and grow into global citizens. To improve this, textbooks must not only mention the problems they face but also how to help and solve their problems. In doing so children may come to understand the realities of multiculralism in Korean society and help the maginalised people for their better adjustment into Korean society.

아시안 신부, 다문화, 국어 교과서, 인종 편견, 비평적 담론 분석
Asian brides, multiculturalism, Korean language textbooks, racial discrimination, critical discourse analysis

  • 1. [학술지] Berry, J. W. / 1997 / Immigration, Acculturation, and Adaptation / Applied International Review / 46 (1) : 5 ~ 1
  • 2. [단행본] Bennett, Chrstine I. / 2003 / Comprehensive Multicultural Education:Theory and practice. Fifth Edition / Pearson Education
  • 3. [학술지] Chapman, Thandeka K. / 2004 / Foundations of multicul turaleducation:Marcus Garveyand the United NegroImprovement Association / the Jounral of Negro Education / 73 (4) : 424 ~ 4
  • 4. [단행본] Kress, G. / 1990 / Reading images / Deakin University Press
  • 5. [학위논문] Lee, Dong-bae / 2000 / The ideological construction of culturein Korean language textbooks:A historical discourseanalysis
  • 6. [학술지] 이동배 / 2006 / Analysis of North Korean Language Textbooks / 국어교육학연구 (27) : 399 ~ 27 kci
  • 7. [학술지] Lee, Dong-bae / 2008 / Futuredirections for ethics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on the basis of surveyresult sof Korean immigrantsin Australia /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 80 : 319 ~
  • 8. [단행본] Luke, A. / 1988 / Literacy, textbooks and ideology:Postwarliter acyinstruction and themythology of Dick and Jane / Falmer Press
  • 9. [학위논문] 김지철 / 2010 / 사회적 지지가 국제결혼 이주여성의 문화적응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구
  • 10. [학위논문] 변선영 / 2008 / 코시안에 대한 개방성과 고정관념 연구
  • 11. [학위논문] 송정민 / 2012 / 다문화 교육 관점에서의 초등학교 4학년 영어교과서 분석
  • 12. [인터넷자료] 오종택 / 국내 거주 외국인 주민 140만 돌파
  • 13. [학위논문] 유영은 / 2007 / 결혼이주여성의 생활문화적응에 관한 사례연구와 지원방안 : 경기도 북부지역을 중심으로
  • 14. [단행본] 윤형숙 / 2004 / 국제 결혼 배우자의 갈등과 적응, In 한국의 소수자,실패와 전망 / 한울
  • 15. [보고서] 한국 교육 과정 평가원 / 2010 / 다문화 사회의 국어 교육 정책 방향
  • 16. [학술지] 한민 / 2011 / 문화진화론적 인종도식의 영향 한국인들의 인종에 대한 이중적 태도 / 아세아연구 / 54 (2) : 323 ~ 2 kci
  • 17. [학술지] 황규호 / 2008 / 한국 다문화교육 내용선정의 쟁점과 과제 / 교육과정연구 / 26 (2) : 57 ~ 2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