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中国学界朝鲜语研究现状与展望 - 基于CiteSpace的科学计量分析 -
Reaearch status of Korean Language Research in China - Bibliometrics Analysis Based on CiteSpace -
중국학계조선어연구현상여전망 - 기우CiteSpace적과학계량분석 -

첫 페이지 보기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the bibliometrics method and CiteSpace tool are used to draw the knowledge map, and the literature related to Korean research collected in CNKI database from 1980 to 2020 is analyzed quantitatively and visually. By investigating the time distribution of documents, periodicals, authors and scientific research institutions, The author tries to analyze the research status, research hotspots and research trends in this field, and draw a scientific knowledge map to intuitively present the metr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language research, aiming at excavating and exploring the evolution of Korean language research from a multi-dimensional perspective and combing the knowledge structure in this field. The results show that the total literature volume of Korean language research in China presents three stages: stability-growth-cycle, in which the number of core journals tends to be stable and the number is relatively small; The core leaders of the discipline include Bi Yude, Li Dechun, Jiang Chunyu, Jin Xianghua, Jin Yongshou, Jin Guangzhu and other scholars; The core research circle is concentrated in Yanbian University, Liaodong University, Dalian Foreign Studies University, Shanghai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Sichuan International Studies University, Central University for Nationalities, PLA Foreign Languages Institute and other institutions. Journals are concentrated in 『Korean Teaching and Research』 『Journal of Yanbian University』 『Minority Languages of China』 『Dongjiang Journal』 『Chinese Language Learning』 『Korean Language in China』 and other journals. Research hotspots include "Korean language and teaching mode, Korean language and higher vocational colleges, Korean language and vocabulary, Korean language and pronunciation, Korean language and grammar, Korean language and comparative study" and other topics. Finally, it summarizes the existing problems and suggestions of Korean language research in China at present. I hope this research results can provide some reference value for Korean scholars.
한국어
본 논문에서는 문헌계량학방법을 이용하고 CiteSpace에 기반해 지식 그래프를 그려 냄으 로써 1980년-2020년의 기간 동안 CNKI 데이터베이스에 수록된 한국어 연구 관련 주제 문 헌을 측정 및 시각화했다. 저자는 문헌 시간 분포, 저널 분포, 저자 및 과학 연구 기관의 분포 를 조사하여 중국에서의 한국어(조선어) 연구 현황, 연구 이슈 및 연구 동향을 분석하고, 과 학 지식 그래프를 그려 한국어(조선어) 연구의 계량학적 특징을 직관적으로 나타내고, 다차원 적 관점에서 한국어(조선어) 연구의 진화적 맥락을 발굴 및 탐색하며, 이 분야의 지식 구조를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했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중국에서의 한국 어(조선어) 연구의 전체 문헌량은 안정-성장-순환의 3단계로 나타났는데 주요 학술지의 수 량은 안정적인 반면에 수가 적은 편이다. (2)연구분야의 주축으로 되는 학자로는 필옥덕, 이득춘, 강춘옥, 김향화, 김영수, 김광수 등의 학자들이다. (3)핵심 기관은 연변대학교, 요동학 원, 대련외국어대학교, 상해외국어대학교, 사천외국어대학교, 중앙민족대학교, 해방군 외국 어학원 등의기관에 집중되어 있다. (4)주요 학술지로는 『한국어 교수 및 연구』 , 『연변대학교 학보』 , 『민족어문』 , 『동강학간』 , 『중국어학습』 , 『중국조선어문』 등의 간행물에 집중되어 있 다. (5)연구의 관심분야로는 ‘한국어(조선어)와 교수 패턴, 한국어(조선어)와 고등직업대학교, 한국어(조선어)와 어휘, 한국어(조선어)와 음성, 한국어(조선어)와 문법, 한국어(조선어)와 비 교 연구’ 등이 있다.

목차

국문요약
1. 引言
2. 研究设计
3. 数据分析
4. 究存在的问题及建议
5. 结论
参考文献
Abstract

저자

  • 金哲俊 [ 김철준 | 延边大学朝汉文学院朝文系教授 ]
  • 赵光范 [ 조광범 | 延边大学朝汉文学院朝文系博士研究生 ] 第二作者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중인문학회 [The Society of Korean & Chinese Humanities]
  • 설립연도
    1996
  • 분야
    인문학>중국어와문학
  • 소개
    한중인문학회는 대우재단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지원으로 중국 대학의 한국연구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학 연구를 활성화시킬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한국에서는 서울대, 고려대, 아주대, 성균관대, 동국대, 연세대, 방송대, 과기대, 정문연, 순천향대, 남서울대, 울산대, 전남대, 충남대, 숭실대, 한남대, 경북대, 부산대, 영남대 등을 중심으로 전국의 각 대학의 인문학 전공 교수들이, 중국에서는 북경대, 남경대, 복단대, 절강대, 산동대, 요녕대, 화동사대, 중앙민족대, 북경어언문화대, 중국사회과학원, 남개대, 중앙민족대, 낙양외국어대, 서북대 등을 중심으로 중국의 각 대학의 인문학 전공 교수들이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여기에 중국과 한국의 언어문화 및 관계사에 관심이 많은 일본, 대만, 미국, 러시아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동아시아의 정체성을 밝히는 작업에도 전념하고 있다. 1) 한국, 중국에서 매년 한 차례씩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미국, 러시아의 학자들이 학술 세미나를 열어서 양국의 인문과학에 편재되어 있는 보편성을 탐색한다. 2) 학술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논문집을 발간하여 양국 학자들의 관심 사항을 널리 알리고, 그러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한다. 3) 양국의 문화 유산을 답사하는 작업이다. 중국의 항주 일대와 고려 시대의 유적과 유물, 중국의 동북 지방과 고구려의 유적과 유물, 상해와 독립 운동 등에 대한 답사를 통하여 중국과 한국의 문화의 뿌리를 직접 확인한다. 4) 양국 문화에 뿌리 내리고 있는 보편성을 추출하여 세계 문화의 한 축인 동아시아 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중인문학연구 [Studies of Korean & Chinese Humanities]
  • 간기
    계간
  • pISSN
    1598-0383
  • 수록기간
    1996~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001 DDC 001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중인문학연구 제79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