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Home

이성선 시에서 이산(離散)의 아픔과 속초실향민 문학에 끼친 영향
Formation of Sokcho Displaced People's Literature by Seong-seon Lee

첫 페이지 보기
  • 발행기관
    한중인문학회 바로가기
  • 간행물
    한중인문학연구 바로가기
  • 통권
    제73집 (2021.12)바로가기
  • 페이지
    pp.269-292
  • 저자
    박승일
  • 언어
    한국어(KOR)
  • URL
    https://www.earticle.net/Article/A405699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6,100원

원문정보

초록

영어
In Korean history, the literature on displaced people in Sokcho has not been received any attention due to lack of research rather than lack of literature activities in Sokcho. Therefore, it is urgent to analyze and study the currently existing works deeply. Sung-sun Lee is the poet of Sorak, who bears the spirit of a separated family from the Korean War. After the Korean War, he provided citizens from Sokcho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the poetry. In Sokcho and Goseong, the cities of displaced people, which were the wasted land of literature, he is known for blooming literature by shaping the nature of abysses such as the sky and the land, moon and stars, water and wind, mountains and trees, flowers and birds, insects and butterflies after he passed away. The poet Sung-sun Lee did not belong to one of the displaced people, but one of the people of separated families, who separated with his parents due to the Korean War. The literature of displaced people in Sokcho has historical, social, and literary significance in terms of describing the joys and tragedies of South Korean society since the refugees from North Korea settled in Sokcho. This can be called “Valuable” since it re-examines the value of human life based on the gloomy times caused by the war.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orld of poetry pursued by poet Sung-sun Lee, who has been contributed to Seorak and the nature of the sea, which lead to the foundation of Sokcho’s displaced people’s literature, and shed new lights on how his literary achievement associated with the achievement of displaced people literature in Sokcho.
한국어
우리 문학사에서 속초지역의 실향민 문학은 주목받은 바가 없다. 이는 속초지역의 문학 활 동이 부족했다기보다는 다양한 연구가 부족한 것에서 기인한 측면도 있다. 그러므로 기존 작 품들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연구하는 작업이 시급하다고 생각된다. 이산가족의 한을 품은 이 성선 시인은 설악의 시인이다. 그는 한국전쟁 이후 이산(離散)의 상처를 안고 사는 속초 시민 들에게 시를 접할 기회를 주었다. 문학의 불모지였던 실향민의 도시 속초와 고성에서 설악산 의 하늘과 땅, 달과 별, 물과 바람, 산과 나무, 꽃과 새, 벌레와 나비 등 자연의 심연을 형상화 하면서 문학의 꽃을 피우다 세상을 떠난 시인이다. 이성선 시인은 실향민이 아니지만, 그도 한국전쟁으로 인하여 부친과 생이별을 한 이산(離散)가족이다. 속초 지역의 실향민 문학은 북 한에서 피난을 나온 주민들이 속초지역에 집단으로 정착한 이래 남한 사회에서 겪게 되는 삶 의 애환들을 기술했다는 점에서 역사적·사회사적·문학사적인 의의를 지니고 있다. 이는 전 쟁이 만들어낸 암울한 시대의 상황을 소재로 인간의 삶의 가치를 재조명한다는 점에서 그 의 미는 대단히 소중하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속초 실향민 문학의 기초가 된 문예지 􋺷갈뫼􋺸 와 함께 설악과 바다의 자연을 시로 천착해 온 이성선 시인이 추구하고자 하는 시의 세계를 살펴보고 그의 문학적 업적이 속초 실향민문학 발전에 어떻게 이바지하였는가를 새롭게 조명 하고자 했다.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속초 실향민의 형성과정
1) 속초 실향민 문학 발전에 끼친 영향
3. 이성선 시인의 이산(離散)과 실향민 문학
1) 설악산 아래에서 경험한 이산(離散)
4. 이성선의 작품에 반영된 고향 지역의 장소성
참고문헌
Abstract

저자

  • 박승일 [ Park, seungil |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평화학과 박사 수료 ]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간행물 정보

발행기관

  • 발행기관명
    한중인문학회 [The Society of Korean & Chinese Humanities]
  • 설립연도
    1996
  • 분야
    인문학>중국어와문학
  • 소개
    한중인문학회는 대우재단과 한국국제교류재단의 지원으로 중국 대학의 한국연구소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학 연구를 활성화시킬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한국에서는 서울대, 고려대, 아주대, 성균관대, 동국대, 연세대, 방송대, 과기대, 정문연, 순천향대, 남서울대, 울산대, 전남대, 충남대, 숭실대, 한남대, 경북대, 부산대, 영남대 등을 중심으로 전국의 각 대학의 인문학 전공 교수들이, 중국에서는 북경대, 남경대, 복단대, 절강대, 산동대, 요녕대, 화동사대, 중앙민족대, 북경어언문화대, 중국사회과학원, 남개대, 중앙민족대, 낙양외국어대, 서북대 등을 중심으로 중국의 각 대학의 인문학 전공 교수들이 회원으로 가입하였다. 여기에 중국과 한국의 언어문화 및 관계사에 관심이 많은 일본, 대만, 미국, 러시아의 학자들이 참여하여 동아시아의 정체성을 밝히는 작업에도 전념하고 있다. 1) 한국, 중국에서 매년 한 차례씩 한국, 중국, 대만, 일본, 미국, 러시아의 학자들이 학술 세미나를 열어서 양국의 인문과학에 편재되어 있는 보편성을 탐색한다. 2) 학술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을 중심으로 논문집을 발간하여 양국 학자들의 관심 사항을 널리 알리고, 그러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협조한다. 3) 양국의 문화 유산을 답사하는 작업이다. 중국의 항주 일대와 고려 시대의 유적과 유물, 중국의 동북 지방과 고구려의 유적과 유물, 상해와 독립 운동 등에 대한 답사를 통하여 중국과 한국의 문화의 뿌리를 직접 확인한다. 4) 양국 문화에 뿌리 내리고 있는 보편성을 추출하여 세계 문화의 한 축인 동아시아 문화의 정체성을 확인한다.

간행물

  • 간행물명
    한중인문학연구 [Studies of Korean & Chinese Humanities]
  • 간기
    계간
  • pISSN
    1598-0383
  • 수록기간
    1996~2024
  • 등재여부
    KCI 등재
  • 십진분류
    KDC 001 DDC 001

이 권호 내 다른 논문 / 한중인문학연구 제73집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이 논문을 다운로드한 분들이 이용한 다른 논문입니다.

      페이지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