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9.253.239
3.149.253.239
close menu
KCI 등재
LQ지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한 충청권 사회혁신기업의 입지분포 특성 분석
The Location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alysis of Social Innovation Enterprise by Using Location Quot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Chungcheong Region
윤혜연 ( Hye-yeon Yoon ) , 장석인 ( Sug-in Chang ) , 장동호 ( Dong-ho Jang )
DOI 10.25202/JAKG.8.1.8
UCI I410-ECN-0102-2019-900-001739768

1997년 외환위기 이후, 한국은 실업률 증가와 인구 노령화로 인해 일자리 및 사회서비스를 제공해 줄 수 있는 사회혁신기업에 대한 중요성이 대두되었다. 이에 본 연구는 LQ(Location Quotient)지수와 다중회귀분석을 활용하여 충청권 사회혁신기업의 입지분포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사회적기업의 주요 입지분포 지역은 인구밀도가 높고, 사회서비스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많으며 교통이 발달한 지역에 입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회적기업은 농촌지역과 같이 취약계층인 노인인구가 많은 지역에 일자리제공 등을 목적으로 입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협동조합의 주요 입지분포 지역은 구도심을 중심으로 인구감소로 인해 경제활동이 침체된 지역에 입지하였다. 또한 사회적협동조합은 농촌지역이고 취약계층이 많은 지역에 일자리 창출 및 소득 증대를 위해 입지한 것으로 파악된다. 마을기업의 주요 입지분포 지역은 2010년 자립형지역공동체 시범사업에 선정되거나, 주로 농촌 기반의 마을기업의 특성을 보이고, 주민들 간의 협력을 중요시하는 지역에 입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은 사회혁신기업과 관련된 육성이나 입지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Since the 1997 financial crisis, Korea has become more important to social innovation companies that can provide jobs and social services due to the rising unemployment rate and the aging population. This study analyzed the positional distribution of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in the Chungcheong region by using the location quot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location distribution areas of social enterprises are high population density, high number of consumers and suppliers of social services, as well as high traffic levels. Furthermore, it was found that social enterprises were located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jobs to areas with a large number of elderly people, such as agricultural regions. The main distribution areas of social cooperatives are located in areas where economic activity has stagnated due to population reduction focus on saving the region. In addition, social cooperative finances are found in agricultural regions and regions with many minorities in order to create employment and increase income. The main location distribution of community enterprises were selected self-supporting regional community demonstrative project in 2010 or were found to be considered the cooperation among the residents, generally agricultural-based community enterpris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could provide the implications for nurturing and positional policies related to social innovation enterprises.

I. 서론
II. 연구지역 및 연구방법
III. 사회혁신기업의 분포 특성
IV.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