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고에서는 하근찬의 1970~80년대의 작품들이 유신이라는 체제 하에서 다양한 ‘통제 불가능한 존재’들을 ‘국민’으로 만들어내고자 하는지를 담아내고 있다는 측면에서 읽어보고자 한다. 박정희 정권이 추진한 공업화와 도시화, 그리고 베트남 전쟁의 후방이라는 조건 속에서 필연적으로 나타날 수밖에 없었던 빈농, 장발족, 통제불가능한 소녀들은 하근찬의 소설 속에서 ‘정신개조’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그러한 ‘개조’를 벗어나는 존재들이기도 하였다.
그리고 유신 체제 하에서 사회를 문란하게 하는 존재들을 ‘정신개조’를 통해 통제하고자 한 것과 함께 묻어두어야 했던 것은 식민지에 대한 기억과 반공논리를 벗어나는 전쟁과 죽음의 기억이었다. 1970년대가 되면서 TV와 라디오를 타고 전달되는 새로운 문화의 홍수 속에서 정작 개인의 신체인 두발조차도 억압당하고 빈곤과 착취의 문제가 은폐되었던 것처럼, “잘 살아보세”라는 외침 속에서 식민지와 전쟁에 대한 기억 역시도 묻어두어야 하는 것이 된다. 1965년의 한일청구협정으로 식민주의의 피해를 ‘청구’할 권리를 국가가 빼앗은 이래, 식민주의의 피해의 구제를 말하는 것은 억압되었다. 그리고 한국전쟁의 고통과 기억 역시도 반공 논리 속에서 왜곡되거나 검열되었다.
국가는 전 국민이 과거/역사를 잊고 이제 ‘새로운 마을’을 건설하여 ‘잘살아보세’를 외치며 산업역군/전사가 되어 전진하길 요구하였다. 그것을 위해서 국가는 식민지도, 아시아태평양 전쟁도, 한국전쟁도 기억하고 있는 사람들의 몸과 정신을 개조하여 ‘새마을’에 맞는 ‘새인간’으로 만들어내어야만 했다. 유신(惟新)은 인간을 바꾸는 인간 개조의 유신(惟身)이기도 했던 것이다. 이 시스템 속에서 드러나는 비틀린 인간과 관계, 사랑과 연애를 잘 드러내고 있는 것으로 1970~80년대 하근찬의 소설을 분석한다.

In this article, I would like to read Ha Geun-chan"s works in the 1970s and 1980s from the perspective of how he tried to create various ‘uncontrollable beings’ into ‘people’ under the system of Yushin. The poor peasants, long-haired people, and uncontrollable girls who inevitably appeared in the conditions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promoted by the Park Chung-hee regime and the rear of the Vietnam War became the objects of ‘mental remodeling’ in Ha Geun-chan"s novels, and such ‘reformation’ They were also escaping beings.
And under the Yushin system, what had to be buried along with the attempts to control the beings who were disturbing society through ‘mental remodeling’ were the memories of the colonies and the memories of war and death that escaped the anti-communist logic. In the 1970s, in the midst of a flood of new cultures transmitted through TV and radio, even the hair of an individual was suppressed and the problems of poverty and exploitation were concealed. Memories are also something to be buried. Talking about relief from colonialism has been suppressed since the 1965 Korea-Japan Claims Agreement took away the right to “claim” colonialism. And the pain and memories of the Korean War were also distorted or censored in anti-communist logic.
The state demanded that all the people forget the past/history and now build a ‘new village’ and move forward as an industrial soldier/warrior, shouting ‘Live a good life’. To that end, the state had to transform the bodies and minds of those who remembered the colonies, the Asia-Pacific War, and the Korean War, and make them into ‘new humans’ that fit ‘Saemaul’. The Yushin (惟新) was also the reborn (惟身) of human remodeling to change human beings. We analyze Ha Geun-chan"s novels in the 1970s and 1980s as they show the twisted relationships with humans and love and romance that are revealed in this system.

목차

국문초록
1. ‘새마을’ 건설과 새로운 몸(維新/維身) 만들기
2. 새마을운동과 농민의 정신개조: 「십오야」
3. 전쟁의 총후/후방과 장발족의 머리카락 쟁탈전 : 「낙발」, 「기울어지는 강」
4. 죽음의 기억과 통제 불가능한 소녀들 : 「보랏빛 연가」, 「여제자」
5. 유신 이후
Abstract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3-710-0002133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