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논문은 세종대왕기념관 경내에 놓인,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호로 지정된 석물 12점과 인릉 석물의 귀속에 대한 연구이다. 세종대왕기념관의 석물은 1973~4년에 헌인릉 능역 안의 세종대왕 초장지로 간주되던 장소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이곳에 놓이게 되었다. 또 어느 왕릉 석물과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뛰어난 입체감과 균형 잡인 조형미를 보여 주기 때문에 그간 별다른 의심 없이 세종대왕 구 영릉 석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지금까지 알려진 세종대왕 초장지는 구 희릉 터라는 주장이 제기되었다. 이러한 주장의 연장선에서, 본 연구는 석물의 조형적 특징과 조선왕조실록 및 의궤의 기록을 통해 세종대왕기념관 경내에 있는 석물은 구 영릉이 아닌 구 희릉 석물임을 밝혔다. 동시에 실제 구 영릉의 문ㆍ무석인을 비롯한 중요한 석물은 순조 인릉에 배치되어 있다는 사실을 석물의 조각양식 분석과 인릉 조성 관련 의궤의 기록을 통해 규명했다. 본 연구의 후속조치로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42호는 ‘구 영릉 석물’이 아닌 ‘구 희릉 석물’로 재지정 되어야 할 것이다.

키워드

구 영릉(old Yeongneung),구 희릉(old Huineung) 세종(King Sejong), 왕릉 석물(royal tomb sculpture), 인릉(llleung)

참고문헌(19)open

  1. [단행본] 정조대왕 / 1998 / 홍재전서 / 민족문화추진회

  2. [단행본] 李肯翊 / 練藜室記述 제4권

  3. [단행본] / 1971 / 국역 대동야승 3권 / 민족문화추진회

  4. [인터넷자료] / 조선왕조실록 / 국사편찬위원회

  5. [인터넷자료] / 서울대학교규장각소장 / 서울대학교규장각소장

  6. [인터넷자료] / 문화재청 홈페이지 / 문화재청 홈페이지

  7. [인터넷자료]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홈페이지 / 세종대왕기념사업회 홈페이지

  8. [인터넷자료] /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 홈페이지 / 서울특별시 서울문화재 홈페이지

  9. [기타] / 연합뉴스

  10. [학술지] 김구진 / 1975 / 구영릉 신도비와 석물에 대하여 / 역사교육 18 : 33 ~ 85

  11. [학술지] 김구진 / 1979 / 조선초기 왕릉제도: 세종대왕 구영릉 유적을 중심으로 / 백산학보 (25) : 41 ~ 84

  12. [학술지] 김이순 / 2008 / 융릉(隆陵)과 건릉(健陵)의 석물조각 / 미술사학보 31 (31) : 63 ~ 100

  13. [학위논문] 류재복 / 2005 / 구 영릉지의 위치와 풍수입지 연구

  14. [학위논문] 배윤수 / 1983 / 조선시대 왕릉 石獸에 대한 연구

  15. [학술지] 안경호 / 2008 / 세종대왕 초장지(舊 英陵)에 대한 재론(再論) / 정신문화연구 31 (2) : 151 ~ 171

  16. [단행본] 이난영 / 2008 / 후릉(厚陵)의 조성과 양식적 특징, in:가보고 싶은 왕릉과 그 기록: 풀어쓴 후릉개수도감의궤 / 국립문화재연구소 : 35 ~ 51

  17. [단행본] 이유원 / 2008 / 국역 귤산 임하필기 6 / 한국학술정보

  18. [학위논문] 이정선 / 2008 / 조선 전기 왕릉 石人ㆍ石獸 연구

  19. [단행본] 장영훈 / 2000 / 왕릉풍수와 조선의 역사 / 대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