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는 17~19세기에 연경을 읊은 조・청 죽지사의 대표작인 김진수의 「연경잡영」과 득여의 「도문죽지사」・「경도죽지사」를 비교 고찰한 연구이다. 김진수는 조선의 중인계층의 문인으로 1832년 수행원의 신분으로 연경에 다녀왔다. 그는 청의 풍물과 실정을 깊이 있게 통찰하여 북경의 번화함과 장려함을 314수의 연작시 「연경잡영」 속에 핍진하고 생생하게 담아내었다. 득여는 북경 출신의 문인으로서 북경의 풍토와 습속을 기록하려는 의도에서 1814년쯤에 「도문죽지사」를 창작하였고, 1817년쯤에는 「경도죽지사」를 창작하였다. 2장에서는 두 시인의 연경 죽지사의 창작 동기와 소재적 특징을 살펴보았고, 3장에서는 표현수법과 운율미의 특징을 중심으로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행하였다. 「연경잡영」은 표현수법에 있어서 난해한 시어, 다양한 전고와 수사법을 활용하여 서곤체의 특징을 지니고 있고, 운율미에 있어서 한유의 독특한 용운법을 본떠서 방운과 험운을 활용하는 기이함을 추구하였다. 이에 비해 「도문죽지사」와 「경도죽지사」는 표현수법에 있어서 이해하기 쉬운 구어체, 북경 방언의 얼화음과 직설법을 사용하고 있고, 운율미에 있어서 첩어와 반복법을 애용함으로써 특유의 리듬감으로 민간가요의 음악적인 성격을 부각시키고 있음이 특징적이다. 4장에서는 맺음말을 대신하여 두 시인 작품의 죽지사적 특징을 비교 검토하고, 문학사적 의미를 간략히 살펴보았다. 「연경잡영」은 소재와 형식면에서 죽지사적 면모를 지니고 있으면서도 시법에 있어서는 전통 문인시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광의적 죽지사에 가까운 것으로 보인다. 이에 비해 「도문죽지사」와 「경도죽지사」는 소재와 형식면에서 죽지사의 전통을 분명히 계승하면서 민간 친화적 성격과 통속성을 띄고 있기에 협의적 죽지사의 면모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 「연경잡영」은 죽지사류 작품의 특징적인 면모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조선 죽지사의 독자성을 보여주고 있고, 「도문죽지사」와 「경도죽지사」는 죽지사와 지방지의 성격을 겸하고 있다는 데에서 특징을 찾을 수 있다. 주제어: 죽지사, 연경, 소재, 표현수법, 운율미

키워드

죽지사, 연경, 소재, 표현수법, 운율미

참고문헌(24)open

  1. [기타] 김진수 / 碧蘆集 / 서울대학교 규장각 소장본

  2. [기타] 김진수 / 碧蘆集 / 영남대본

  3. [기타] 김진수 / 西社漫錄 /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본

  4. [단행본] 임기중 / 2001 / 燕行錄全集 / 동국대학교출판부

  5. [단행본] 임기중 / 2016 / 燕行錄叢刊 / 한국의 지식콘텐츠

  6. [단행본] 임기중 / 2008 / 燕行錄續集 / 尙書院

  7. [단행본] 丘良壬 / 2007 / 中華竹枝詞全編 / 北京出版社

  8. [단행본] 王利器 / 2003 / 歷代竹枝詞 / 陝西人民出版社

  9. [기타] 歐陽修 / 六一詩話, 欽定四庫全書 / 集部九

  10. [학술지] 김영죽 / 2020 / 韓國 竹枝詞 資料 集成의 필요성과 의미-그 방법론을 겸하여 / 漢文古典硏究 40 (1) : 147 ~ 171

  11. [학술지] 김영죽 / 2011 / 19세기 中人層 知識人의 海外體驗 一考 -碧蘆齋 金進洙의 燕行과 「燕京雜詠」을 중심으로- / 한국한문학연구 (48) : 501 ~ 536

  12. [학위논문] 김현녀 / 2012 / 金進洙의 「燕京雜詠」 연구

  13. [단행본] 孫傑 / 2014 / 竹枝詞發展史 / 上海人民出版社

  14. [단행본] 신익철 / 2020 / 到全臺詩-國際學術研討會論文集 / 國立臺灣文學館

  15. [학술지] 임기중 / 1999 / 연행록(燕行錄)의 환희기(幻戲記) / 韓國民俗學 31

  16. [학술지] 황재문 / 1996 / 김진수의 「연경잡영」에 대한 연구 / 韓國漢詩硏究 4

  17. [학술지] 郭道平 / 2009 / 從‘南北交融’到‘西風東漸’-竹枝詞裏的淸代北京 / 南京師範大學文學院學報

  18. [학술지] 段天順 / 1996 / 竹枝詞與北京民俗 / 北京社會科學

  19. [학위논문] 孫杰 / 2012 / 竹枝詞發展史

  20. [학술지] 孫冬虎 / 2007 / 淸代竹枝詞裏的北京民俗與社會風尙 / 北京曆史文化研究

  21. [학위논문] 王富盛 / 2015 / 竹枝詞的社會史解讀-以近代北京爲例

  22. [학술지] 岑大利 / 2001 / 從淸代竹枝詞看京城文化時尙 / 首都師範大學學報(社會科學版) 2

  23. [학술지] 张菊玲 / 1989 / 時尙土風朝暮改-《草珠一串》所記淸代后期嬗變中的滿族習俗 / 中央民族學院學報

  24. [학술지] 張靜文 / 2008 / 淸代北京竹枝詞評析 / 北京政法職業學院學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