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海東名迹》 석판본 연구

Stone-Carved Edition of Renowned Calligraphy of Korea

藏書閣
약어 : JSG
2016 no.36, pp.32 - 67
DOI : 10.25024/jsg.2016..36.32
발행기관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14 회 열람

역대 名書家의 글씨나 그 摹本을 나무나 돌에 새긴 뒤 搨本을 떠서 명적을 감상하거나 글씨를 익힐 목적으로 만든 책을 法帖이라 한다. 《海東名迹》은 16세기 초에 申 公濟가 간행한 法帖으로, 국내 명서가의 글씨를 모아놓은 集帖의 형태로는 효시를이룬다. 신라 말에서 조선 초기까지의 명적이 수록되어 있고, 목판본과 석판본의 다양한 판본이 남아있어 서예사와 문헌학 분야의 연구 자료로서 매우 높은 가치를 지닌다. 이 연구는 앞선 목판본 연구에 이은 후속 연구로, 현재까지 확인된 9종의 석판본을 연구대상으로 삼았다. 연구의 서두에 우선 石板本이 법첩으로서 간행되었던 연원을 살펴보았고, 석판본 간행과 관련된 용어들을 옛 문헌을 분석하여 현재 사용하고있는 용어의 유래와 그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이 연구는 《해동명적》 석판본의 간행 배경과 판본 분석에 주안점을 두었다. 이를위한 방법으로 석판본 간행사업에 주도적으로 참여했던 인물들과 《해동명적》에 수록된 작가와 작품 내용 간의 상관성을 면밀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들이 인척간 또는 관직의 선후배간으로 매우 유기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사육신의 핵심 인물인성삼문과 박팽년에 대한 추숭 의지가 《해동명적》 석판본의 편집 과정에 반영되었음을 밝혔다. 또한 판본을 분석한 결과 3종의 석판을 사용하여 《해동명적》을 인출하였음을 확인했으며, 최초로 새긴 원판을 제외한 나머지 2종은 훼손 또는 분실로 인해원래의 석판을 부분 補刻하고, 부분 보각한 석판이 없을 경우 재차 보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9종의 석판본 가운데 경주 독락당 소장본, 임창순 구장본, 경주 서백당본이가장 앞선 先本이자 善本임을 밝혔다

A model calligraphy album (法帖) is a book that is produced by rubbing the wood or stone engravings of past master calligraphers’ original works or copies thereof for the purpose of appreciating the masterpieces or learning their calligraphy style. Haedong myeongjeok (海東名迹, Renowned Calligraphy of Korea) is the first collected album of famous Korean calligraphers’ masterpieces and was published by Shin Gongje (申公濟, 1469-1536) in the early sixteenth century. This book is a very valuable research material in the study of calligraphy and philology, because it contains calligraphic samples from master calligraphers of late Silla to early Joseon periods, and diverse editions of it are extant today in woodblock or stone-carved forms. As a continuation of the preceding research on their woodblock editions, this paper examines 9 stone-carved books of Haedong myeongjeok that have been verified to date by starting a discussion in its preface of the fact that the stonecarved books are different from its lithographed books, which are products of modern printing technique, and then later by investigating the origin and validity of the term “stone-carved books,” which, based on ancient documents, originally meant “books printed directly from calligraphy masterpieces engraved on stone.” This study focuses on illuminating the publication background and analysis of the various books of the stone-carved Haedong myeongjeok. Various 67 海東名迹 석판본 연구 《 》 records are referred to in order to investigate the human network of a few specific participants who played important roles in the publication of the stonecarved books and, as a result, it has been found that the public sphere of the model calligraphy album publication efforts were conducted through private connections insofar as the key players involved were intimates, i.e., relatives or senior/junior officials.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book, the nine books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original edition and supplementary edition, the latter’s damaged parts appearing to have been partially repaired or substituted with newly engraved blocks. Three books-including the book stored in Dongnakdang, Gyeongju-are the better edition and created before all others.

海東名迹, 申公濟, 成三問, 朴彭年, 法帖, 集帖, 목판본, 석판본.
Renowned Calligraphy of Korea, Haedong myeongjeok, Shin Gongje, Seong Sammun, Park Paengnyeon, model calligraphy album, collected album, woodblock edition, stone-carved edition.

  • 1. [기타] 南公轍 / 金陵集
  • 2. [기타] 朴彭年 / 朴先生遺稿
  • 3. [기타] 成三問 / 成謹甫集
  • 4. [기타] 成海應 / 硏經齋全集, 續集
  • 5. [기타] 蘇世讓 / 陽谷集
  • 6. [기타] 宋時烈 / 宋子大全, 부록
  • 7. [기타] 李瀷 / 星湖僿說
  • 8. [기타] 洪敬謨 / 冠巖全書
  • 9. [기타] / 2008 / 이창용교수 기증유물도록 / 강릉시오죽헌·시립박물관
  • 10. [기타] / 2011 / 조선왕실의 각석刻石 / 국립고궁박물관
  • 11. [단행본] 容庚 / 1980 / 叢帖目 / 中華書局
  • 12. [학술지] 정만조 / 2010 / 肅宗朝의 死六臣 追崇과 書院祭享 / 한국학논총 / 33 : 299 ~ kci
  • 13. [학술지] 유지복 / 2008 / 明代 法帖의 국내 전래와 수용 양상 / 藏書閣 (20) : 145 ~ 20 kci
  • 14. [학술지] 유지복 / 2016 / 『海東名迹』 목판본 연구 / 서지학연구 (65) : 213 ~ 65 kci
  • 15. [학술지] 임세권 / 2002 / 조선시대 금석학 연구의 실태 / 국학연구 (창간)
  • 16. [학술지] 任昌淳 / 1970 / 海東名迹 2冊 / 圖協月報 / 11 (12)
  • 17. [학술지] 이완우 / 2005 / 安平大君 李瑢의 文藝活動과 書藝 / 미술사학연구 (246) : 73 ~ 246 kci
  • 18. [학술지] 黃晶淵 / 2004 / 朝鮮後期 宮中 御筆 收藏과 印刊-1725년 『乙巳列聖御筆刊進及景宗大王御筆屛風謄錄』 의 분석 / 藏書閣 / 12
  • 19. [학술지] 푸선 / 1999 / 法書의 複本과 僞作 / 美術史論壇 / 8
  • 20. [단행본] Shen C. Y. Fu / 1977 / Traces of the Brush: Studies in Chinese Calligraphy , Exhib. Cat / Yale University Art Gallery
  • 21. [인터넷자료] / 朝鮮王朝實錄 / 국사편찬위원회
  • 22. [인터넷자료] / 承政院日記 / 국사편찬위원회
  • 23. [기타] / 海東名迹, 경주 여주이씨 옥산문중 소장; 임창순 구장(임세권 소장); 양동 경주손씨 서백당 기탁(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소장); 영주 소수박물관 소장; 안동 고성이씨 임청각 기탁(한국학중앙연구 서각 소장); 동국대학교도서관 소장;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소장;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예술의전당 서예박물관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