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2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2014년 주세법 시행령 개정이후 급속하게 성장하고 있는 수제맥주 시장에서 소비자들의 수제맥주 선택속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조사 연구 대상자는 수제맥주를 음용, 구매해본 경험이 있는 서울, 강원지역의 20세 이상 성인남녀로 성별로 균등할당하여 선정하였으며, 설문지는 2017년 10월 8일부터 10월 21일까지 14일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 20.0을 사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수제맥주 선택속성에 대한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제품정보요인’ ‘풍미요인’ ‘사회적 인식 요인’ 등 3개의 요인을 도출하였다. 둘째, 선택속성의 요인과 응답자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 수행도 응답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IPA matrix 도출하여 유지관리영역인 I 사분면에는 다양성, 거품, 원료, 신선도, 향, 맛, 색, 목넘김, 온도, 전용잔, 중점개선영역인 IV 사분면에는 가격과 독창성이 속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수제맥주의 선택속성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연령, 결혼여부, 직업, 소득에서는 제품정보요인, 풍미요인, 사회적 인식요인 모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수준의 경우 풍미요인만이 유의적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성별에 따른 선택속성의 차이는 3가지 요인 모두에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The study is to understand optional property of craft beer of customers in a rapidly growing craft beer market after the revision of enforcement ordinance of the Liquor Tax Law in 2014. For this, an actual analysis is carried out. The study participants are men and women over the age of twenty years old in Seoul and Gangwon who drink and buy craft beer, and are chosen by distributing them equally by gender. A survey was conducted for fourteen days from October 8th, 2017 to October 21st, 2017. Collected data is analyzed by SPSS Ver 20.0. If results of the study are arrang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y conducting a factorial analysis of optional property of craft beer, three main factors are drawn including, ‘product information factor’, ‘flavor factor’, and ‘social cognition factor’. Second, based on an analysis of the factors of optional property, and respondents’ answer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status of optional property, an IPA matrix is drawn and it is confirmed that Ⅰ quadrant, an up-keeping area, includes diversity, froth, raw material, freshness, scent, taste, color, gulping, temperature, and glass, and Ⅳ quadrant, a focused improvement area, includes price and creativity. Third, as a result of verifying a difference between optional properties of craft beer according to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ge, marriage, job, and income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duction information factor, flavor factor, and social cognition factor, and education level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flavor factor. However, a difference between optional properties by gender is not significant in the three factors.

목차

Abstract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참고문헌 (43)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23-0009081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