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조직에서의 성격강점에 초점을 맞춰, 개인 수준과 팀 수준에서의 성격강점 강도가 세 가지 행복(즐거운 삶, 몰입하는 삶, 의미로운 삶)에 미치는 영향을 다층모형을 통해 검증하고자 하였다. 개인 수준에서의 성격강점 강도는 대표강점 수로 측정하였으며, 개인의 대표 강점 수가 많아질수록 개인의 행복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였다. 팀 수준의 성격강점 강도는 팀 수준의 성격강점 평균으로 측정하였으며, 이것이 개인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국내 IT 기업의 40개 팀, 195명의 자료를 바탕으로 다층분석을 실시한 결과, 조직 구성원 개인의 대표강점 수는 삶의 만족과 긍정정서(즐거운 삶), 일 몰입(몰입하는 삶), 삶의 의미(의미로운 삶)에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가져 개인이 대표강점을 많이 가지고 있을수록 다양한 측면에서 행복함을 경험함을 보여주었다. 팀 수준에서는 다층분석 결과 구성원들의 행복은 긍정 정서와 일 몰입에 유의한 집단 간 차이를 나타낸 반면 삶의 만족과 삶의 의미는 유의한 집단 간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개인 수준의 대표강점 수를 통제한 후 팀 수준의 성격강점 강도를 투입한 결과, 팀 수준의 성격강점 평균은 긍정 정서와 일 몰입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보여 개인 수준의 강점 강도를 통제하고도 팀 수준의 성격강점 강도가 구성원의 긍정 정서와 일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기존에 개인 수준의 심리학적 측면으로만 연구되어 왔던 성격강점을 조직 구성원에게 적용하여 개인 수준과 팀 수준으로 구별하여 성격강점을 연구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특히, 성격강점 연구를 팀 수준으로 확장하여 조직에 적용했다는 점에 있어 이론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자세한 결과에 대한 시사점, 한계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은 마지막 논의에 제시하였다.

Although there are much inter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 strengths and happiness, most studies have dealt with it at the individual level. Reflecting on this limitation, the present study empirically examined the effects of both individual level and team-level character strength on the team members’ happiness through multi-level analysis. Results of a multi-level study among 195 employees in 40 teams showed that in a null model, there were team differences of team members’ positive affect and work engagement. On the other hands, there were no team differences of team members’ life satisfaction and meaningful life. Individual level the number of character strength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all of the happiness variables such as positive affect, life satisfaction, work engagement and meaningful life. Team-level average character strength had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s on both positive affect and work engagement after individual level character strength.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tribute to theoretically expand the scarce knowledge regarding to the impact of team-level character strength on the employees’ happiness. In addition, it offers practical implications on human resource development by exploring directly what lead to employees’happiness.

목차

〈요약〉
1. 서론
2. 이론적 배경 및 가설 설정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72)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9-325-0008660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