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대학 태권도 엘리트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성향과 선수만족의 병렬다중매개효과

How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thlete Satisfaction impact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of Coaches as perceived by Elite College Taekwondo Athletes

국기원 태권도연구
약어 : TJK
2022 vol.13, no.1, pp.1 - 12
DOI : 10.24881/tjk.2022.13.1.1
발행기관 : 국기원
연구분야 : 체육
Copyright © 국기원
16 회 열람

목적: 대학 태권도 엘리트 선수들이 지각한 지도자의 변혁적 리더십과 경기력의 관계에서 성취목표성향과 선수만족의 병렬다중매개효과를 검증하며 이를 통해 선수들에게 경기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대한태권도협회에 선수로 등록된 대학 엘리트 선수를 모집단으로 선정하여 비확률표본추출법 중 편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해 총 241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SPSS 25.0 ver와 AMOS 24.0 ver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병렬다중매개모형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첫째, 변혁적 리더십은 성취목표성향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취목표성향은 경기력에 유의한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변혁적 리더십은 선수만족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선수만족은 경기력에 유의한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변혁적 리더십은 경기력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성취목표성향은 변혁적 리더십과 경기력 간의 관계에서 부(-)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일곱째, 선수만족은 변혁적 리더십과 경기력 간의 관계에서 정(+)적인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 대학 엘리트 태권도 지도자가 선수들에게 카리스마적인 지도와 신뢰감의 전이, 더 나아가 개별적인 배려와 새로운 문제 해결 방안을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경기력을 높일 수 없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변인들의 관계와 더불어 동시에 선수들의 성취욕구를 자극하여 만족도를 높이는 것이 경기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Purpose: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provide basic data capable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elite college Taekwondo athletes by verifying how the parallel multiple medi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athlete satisfaction impacts the relationship between performance and the transformational leadership of coaches, as perceived by elite college Taekwondo athletes. Method: By selecting a population out of elite college athletes registered to the Korea Taekwondo Association and using convenience sampling out of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the study arrived at a total of 241 surveys for the analysis. The SPSS 25.0 version and the AMOS 24.0 version were used to carry out frequency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parallel multiple mediation model analysis. Results: First,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positive(+) impact o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Seco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ve negative(-) impact on performance. Third,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positive(+) impact on athlete satisfaction. Fourth, athlete satisfaction have positive(+) impact on performance. Fifth, transformational leadership have no impact on performance. Sixt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ve negativ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Seventh, athlete satisfaction have positive(+) mediation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performance. Conclusion: Taekwondo coaches are offering individualized consideration and problem-solving plans while instructing their athletes with charisma. In addition to these variables, the present study determines improving satisfaction by stimulating desire for achievement in elite college Taekwondo athletes will have positive impact on their performance.

태권도, 변혁적 리더십, 성취목표성향, 선수만족, 경기력
Taekwondo,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thlete satisfaction, perform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