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조현병은 인류역사에서 대표적인 미지의 영역으로서 많은 편견과 낙인을 수반해 왔으며 과학이 발달한 현대사회에서도 그 양상은 지속되고 있다. 특히 우리 사회에서 조현병은 최근 몇년 간 발생한 주요 강력사건들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범죄와 관련된 공포와 혐오로 고착화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재 우리 사회에 퍼져있는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본질과 형성 기제를 분석하고 그로 인한 문제들을 논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사회적 낙인의 개념 중 ‘사회적’이라는 의미를 재조명함으로써 조현병에 대한 낙인이 불변의 객관적 사실에 근거하기보다는 역사적이고 상황적인 조건들이 반영된 결과물이라는 점을 논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분과학문의 장벽을 넘어선 지식의 공동 연쇄고리 구성, 타자윤리학적 관점의 모색, 미디어의 윤리성 확보를 통한 사회적 인식개선, 보다 적극적 지원을 통한 당사자 활동의 활성화, 예방적 차원의 다각적 서비스 지원, 그리고 낙인과 혐오의 재전유 등을 제안하였다.

Schizophrenia is a representative unknown area in human history, with many prejudices and stigmas, and its aspects persist in modern society where science has developed. In particular, schizophrenia has been cited as the cause of major violent incidents in recent years in our society, and social stigma against schizophrenia is becoming fixed with fear and hatred associated with crime. In this study, it is analyzed the nature and formation mechanisms of social stigma against schizophrenia currently spread in our society, and discussed the problems that result. And by re-examining the meaning of “social” of social stigma, it was argued that the stigma against schizophrenia was a result of historical and social situations rather than based on scientific and objective facts. Finally, as a way to overcome the social stigma of schizophrenia, these are proposed: a knowledge community beyond the barriers of each disciplines, a search for ethics of the others, the improvement of awareness promoting media ethics, activation of movement of people concerned through more support, preventive and multi-faceted support, re-appropriation of stigma and hatred.

목차

1. 서론
2.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과 관련 현황 분석
3.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의미
4. 조현병에 대한 사회적 낙인의 극복 방안
5.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5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