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잠재계층분석(Latent Class Analysis)을 활용하여 일반 노인의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과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이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추가로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과 인구 사회학적 요인 및 임상적 특성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2015년도 한국복지패널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총 4,823명의 만 65세 이상의 노인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잠재계층분석을 통하여 (1) 우울 증상을 경험하지 않은 집단(42.2%), (2) 신체화 증상을 경험하는 집단(20.3%), (3) 슬픈 정서와 신체화 증상을 동반 경험하는 집단(14.1%), (4) 대인관계 관련 증상을 제외한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집단(17.3%), (5) 모든 우울 증상 경험하는 집단
(6.1%)의 다섯 가지의 하위유형이 나타났다. 둘째, 성별에 따른 우울 증상 하위유형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성별에 따라 우울 증상 하위유형별 비율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지만, 우울 증상별 조건부 확률은 크게 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일반적으로 여성 노인이 남성 노인보다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집단에 속할 가능성이 높았지만, 극심한 우울 증상을 경험하는 집단의 경우에는 성별에 따른 차이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우울 증상의 하위유형과의 인구 사회학적 요인과 임상적 특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으며,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실천에 있어서 함의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 identify the underlying subgroups of Korean older adults who had similar patterns of depressive symptoms, (b) explore the gender differences in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c)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dentified underlying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and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Using the 2010 Korean Welfare Panel Study, a total of 4,823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Latent Class Analysis(LCA)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Results indicate five distinct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1) no depressive symptoms (42.2%), (2) somatic symptoms only (20.3%), (3) depressive affect and somatic symptoms (14.1%), (4) most depressive symptoms without interpersonal symptoms (17.3%), and (5) severe depressive symptoms (6.1%). In addition, a multigroup-LCA showed that measurement invariance holds across gender. However, the prevalence of latent class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gender, indicating female older adults are less likely to belong to the group without depressive symptoms. Furthermore, socio-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e.g., levels of self-esteem, a satisfaction of social relations and leisure activities) were associated with identified subtypes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older adults. Findings highlight the heterogeneity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older adults. Findings, also, indicate the need for tailored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by gender.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연구방법
4. 연구결과
5.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참고문헌 (64)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38-0035609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