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세월호 재난 개입 경험을 중심으로 한 재난과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정체성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1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이 논문의 연구 히스토리 (2)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에서는 자문화기술지를 적용하여 연구자의 세월호 심리지원 자원봉사 경험과 문헌연구를 중심으로 “나의 세월호 재난에 대한 개입 경험은 어떠했는가?” 그리고 “재난 시 사회복지사의 역할 및 정체성은 무엇인가?”라고 하는 연구 질문에 대한 답을 찾고자 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동화 속의 새끼오리와 같이 자신을 초라하고 열등하게 느끼는 것에서 벗어나 현실과 자신을 더 잘 이해하고 통합하여 자기 소리를 내며 타인과 소통하고 공감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것을 깨달았다. 또한 재난 속의 사회복지사는 우리 사회 속에서 발생하는 투사현상 및 부적절감과 좌절감을 극복하여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이러한 역동으로 인해 고통 받고 있는 클라이언트들과 집단을 돕기 위해 역과업에 휘말리지 않고 일차적 과업에 집중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사회복지사는 직접적 서비스 제공자의 역할과, 체계연결자의 역할, 체계유지자의 역할, 연구자의 역할, 그리고 체계개발자의 역할을 감당해야 한다. 그 중에서도 특히 Bion이 설명한 담는 자/위로자의 역할을 감당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I wanted to find some answers to the questions which are “How was my intervention experience for the Sewol Ferry disaster?”, and “What are the roles and identity of social workers during a disaster?” concentrating on the literature research and my volunteer experience for the psychological support by applying autoethnography.
I have acknowledged that I need to do my best to voice myself out and to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others. Also, I needed to understand and integrate myself and the reality escaping from feeling inferior and shabby just like the duckling from the fairy tale through this process.
Moreover, I have concluded that social workers during the disaster should play roles such as direct service supplier, system connecter, system keeper, researcher, system developer, and especially, container by focusing on the primary tasks without distracted by unnecessary tasks to help the clients and groups that are suffering as we overcome the transference, the feeling of inappropriateness, and frustration occurring in our society.

목차

1. 들어가며 : 증가하는 재난, 그리고 위기 속의 사회복지사
2. 연구방법 : 자문화기술지 적용하기
3. 문헌 연구 : 재난과 사회복지사역할 그리고 집단무의식
4. 새끼오리 이야기 : 재난 속의 사회복지사
5.한 뼘 성장한 새끼오리 : 사회복지사로서의 나를 돌아보며
참고문헌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38-003560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