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이 연구는 서울시교육청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습부진학생 전담강사의 지도효과를 지도 유형에 따라 비교해 본 것이다. 주요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담강사들은 본인의 의사와는 달리 수업 중 지도보다는 방과후지도를 훨씬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지도유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의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수학의 경우에는 3학년과 4학년에서 방과후지도만을 받는 학생이 더 나은 성취를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어의 경우에는 3학년은 수업 중에만 지도를 받는 학생이 수업 중 지도와 방과후지도를 같이 받는 학생에 비해 더 나은 성취를 거두는 데 비해 4학년의 경우에는 수업 중에만 지도를 받는 학생이 수업 중 지도와 방과후지도를 같이 받는 학생에 비해 더 나쁜 성적을 거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5학년의 경우에는 수학과 국어 과목 모두에서 지도 유형에 따른 효과를 확인할 수가 없었다. 전술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전담강사의 수업 중 지도를 활성화시킬 필요가 있다는 것과 학습부진학생에 대한 조기 개입의 필요성이 있음을 제언하였다.

키워드

학습부진학생, 보조교사, 공동수업

참고문헌(32)open

  1. [학술지] 고재천 / 2006 / 학습부진아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모형 구안 / 초등교육학연구 13 (2) : 25 ~ 42

  2. [보고서] 교육과학기술부 / 2008 / 2008학년도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 기본 계획

  3. [학술지] 김경년 / 2011 / 가정환경 결손의 보상 측면에서 학습부진아 구제 프로그램 효과 연구 / 교육사회학연구 21 (2) : 1 ~ 31

  4. [학술대회] 김진우 / 2010 / 학습부진아 살리기 방안 연구 / 학습부진아 살리기 운동 정책 토론회 자료집

  5. [학술지] 박성혁 / 2008 / 학습 부진아의 교육받을 권리 보장 -기초학력 책임지도제를 중심으로- / 시민교육연구 40 (1) : 29 ~ 46

  6. [보고서] 백병부 / 2011 / 학습부진학생지도 전담강사 운영 실태 및 성과 분석 연구

  7. [학술지] 백병부 / 2010 / 학습부진 극복 여부에 대한 수준별 하반 편성 및 특별보충수업의 효과 / 교육사회학연구 20 (4) : 83 ~ 110

  8. [학술지] 백병부 / 2009 / 학습부진 학생들의 학업 자아개념 결정요인 및 학습부진 지도수업의 조절효과 검증 / 교육사회학연구 19 (1) : 125 ~ 149

  9. [보고서] 서울시교육청 / 2011 / 2011학년도 학습부진학생 책임지도 계획

  10. [기타] 서울시교육청 / 2011 / 2011년 학습부진학생지도 실효성 제고를 위한 학습부진학생 지도교사 연수 자료집

  11. [보고서] 서울시교육청 / 2011 / 11년 초등 학습부진학생 지도 전담강사 채용 계획

  12. [기타] 서울시교육청 / 2011 / 2011학년도 초·중등 학습부진학생 지도 전담강사 사전연수 자료집

  13. [기타] 서울시교육청 / 2011 / 2011 학습부진학생 지도 전담강사 및 담당 교사 연수 자료집

  14. [학술지] 오영재 / 2010 / 한국 초등학교 교사문화의 특성과 교육 행정적 함의 / 한국교육논단 9 (2) : 111 ~ 136

  15. [학술지] 이명학 / 2005 / 기초학력부진학생 지도의 실태, 문제점, 개선방안에 관한 초등교사들의 인식 조사 / 한국교원교육연구 22 (1) : 109 ~ 124

  16. [보고서] 이화진 / 2009 / 학습부진학생 지도·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 학습부진학생 지도·지원 종합 계획(안) 제안을 중심으로

  17. [단행본] 조난심 / 2009 / 기초학력 증진을 위한 정책 개발 기초 연구 / 교육과정평가원

  18. [학술대회] 허유성 / 2009 / 저성취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자기조절학습능력 변화양상에 있어서 학습지원 프로그램의 영향 / 제3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 543 ~ 581

  19. [학위논문] 黃起牛 / 1992 / 韓國 初等學校의 敎師文化에 관한 解析的 分析

  20. [학술지] Borman, G.D / 1996 / Title Ⅰ and student achievement: A meta-analysis of federal evaluation results / Educational E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8 : 309 ~ 326

  21. [학술지] Carter, L.F. / 1984 / The sustaining effects study of compensatory and elementary education / Educational Researcher 13 (7) : 4 ~ 13

  22. [단행본] Farkas, G / 2007 / Role of tutoring in standard-based reform, In Standard-based reform and poverty gap: Lessons for No Child Left Behind / Brookings Institution Press

  23. [학술지] McDill, E.L / 1998 / The effectiveness of the Title Ⅰ compensatory education program: 1965-1997 / Journal of Education for Placed at Risk 3 (4) : 317 ~ 335

  24. [학술지] Mullin, S.P / 1983 / Is more better? The effectiveness of spending on compensatory education / Phi Delta Kappan 64 : 330 ~ 343

  25. [학술지] Muñoz, M.A. / 2008 /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as a consequence of the NCLB legislation: Evaluating its impact on student achievement in a large urban district / Journal of Education for Students Placed at Risk 13 : 1 ~ 25

  26. [학술대회] Pribesh, S. / 2007 / Effectiveness of supplementary education services providers: A matched samples approach to ass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S provision and student achievement data / Paper presented at American Sociological Association's 2007 annual meeting

  27. [학술지] Slavin, R.E / 1989 / What works for students at risk: A research synthesis / Educational Leadership 46 (5) : 4 ~ 13

  28. [단행본] Stringfield, S / 1992 / Toward a model of elementary grades Chapter 1 effectiveness, In Students at risk in at-risk schools / Corwin Press

  29. [학술지] Stringfield, S / 1991 / Chapter 1 program improvement: Cause for cautious optimism and a call for much more research / Educational Evaluation and Policy Analysis 13 (4) : 399 ~ 406

  30. [학술지] Sunderman, G.L / 2006 / Do supplemental educational services increases opportunities for minority students? / Phi Delta Kappan 88 : 117 ~ 122

  31. [단행본] Wang, M.C. / 1981 / Report 10: Compensatory services and educational development in the school year / System Development Corporation

  32. [단행본] 福田誠治 / 2008 / 핀란드 교육의 성공: 경쟁에서 벗어나 세계 최고의 학력으로〔競爭やめたら學力世界一 : フィンランド敎育の成功〕 / 북스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