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Top 10%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16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최근 인기를 끌고 있는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의 판타지적 요소와 젠더가 구성하는 이데올로기의 관계를 체계적이고 심층적으로 밝혀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윤식당> 시즌1과 시즌2를 채트먼의 서사구조이론과 토도로프의 서사진행구조를 분석틀로 삼아 서사분석을 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윤식당>은 가부장적 젠더 이데올로기를 충실히 재생산하고 있었다. 특히 <윤식당>은 가부장적 젠더 규범을 기반으로 하는 이항대립적 서사구조를 견고하게 함유하고 있었다. 인물과 인물간의 관계를 재현하는데 있어서 여성들은 의존적, 순종적, 수동적, 감성적이며 의사결정의 주변부적 존재로, 남성들은 능동적, 적극적, 진취적, 이성적이며 의사결정의 주체적 존재로 재현하였다. 또한 주요 임무와 활동 공간을 재현하는데 있어서 여성들은 가사 및 사적영역에 한정짓고, 남성들은 사업경영 및 공적영역에 배치하였다. 둘째, 텔레비전 예능 프로그램으로서 <윤식당>이 지니는 텍스트적 특징인 판타지적 요소는 프로그램에서 지속적이고 반복적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특히 스토리 진행의 주요 구성요소로서 역할을 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중요한 위치와 역할을 차지한 판타지적 요소는 <윤식당>에서 가부장적 젠더 규범에 따른 이항대립으로 (서사구조적) 긴장과 갈등이 발생할 때마다 이를 희석하고 무화하는 역할을 하였다. 즉 <윤식당>의 판타지적 요소는 <윤식당>의 가부장적 젠더 이데올로기 재현으로 발생할 수 있는 시청자들의 불쾌한 느낌이나 비판적 생각을 희석하고 방지하는 장치로서 역할을 하고 있다.

This research exams the relations between TV fantasy entertainment shows and gender ideology. Then, it executes a narrative analysis on Yun’s Kitchen. The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ly, Yun’s Kitchen fully reproduces the patriarchical gender ideology. In representing the characters and the relations among them, Yun’s Kitchen describes women as dependent, submissive, passive, emotional and marginal and contrarily men as active, positive, progressive, rational and central. In representing major jobs and main activity space, it restricts women within housework and private space but distributes business and public space for men. Secondly, the fantasy elements of Yun’s Kitchen constantly and repeatedly appear in the show and are one of its major components. Then, they play a role as diluting and removing the tensions and conflicts that are produced by the dual oppositional narrative structure based on patriarchical gender norms that Yun’s Kitchen has. In other words, the fantasy elements of Yun’s Kitchen play a role as diluting and blocking audience’s uncomfortable feelings and critical thinking that can be taken place by its representations of patriarchical gender ideology.

목차

Ⅰ.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문헌 연구: 한국 텔레비전 프로그램, 젠더 이데올로기 그리고 판타지
Ⅲ.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Ⅳ. 분석 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20-068-000898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