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2.241.199
3.142.241.199
close menu
KCI 등재
양명학(陽明學)과 기타 학설 간의 경쟁-명사 당순지의 양명학 수용을 사례로-
陽明學與其他學說之間的競爭-以名士唐順之服膺陽明學爲例-
홍꿔치앙
중국사연구 118권 87-101(15pages)
DOI 10.24161/CHR.118.87
UCI I410-ECN-0102-2019-900-001754981

명(明) 가정(嘉靖) 시기 이학(理學)은 각종 다양한 학설과 상호 경쟁하는 형국이었다. 이러한 경쟁이 치열하던 상황에 직면하여 각급 학설을 개창하여 이끌던 사람들은 우수한 사대부와 문생들을 자신들의 학설 유파로 받아들여서 문호를 확장하고 학설의 영향력을 증강시키기를 희망했다. 당순지(唐順之)는 당시 명성을 크게 떨치고 있던 인물이었으므로 각 학문 집단 차원에서 쟁취하기 위해 노력하는 대상이었다. 여남(呂柟)ㆍ모헌(毛憲)ㆍ서문(徐問) 등은 모두 당순지가 자신들의 이론을 받아들이기를 희망하였다. 그러나 당시 당순지는 이학에 흥취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 당순지가 이학에 흥미를 가지게 된 후 위교(魏校)와 왕기(王畿) 등이 다시 경쟁적으로 그를 문하에 끌어들이고자 하였다. 비교 검토의 과정을 충분히 거친 뒤 당순지는 마침내 스스로 양명학을 자신의 학술로 선택하게 되었다. 당순지의 이와 같은 명사와 제자들을 받아들인 그들은 자신들의 학술적 영향력을 확대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학설을 개창한 명사들과 제자들과의 관계를 잘 알 수 있다. 학자들은 역시 자신의 흥취와 심신의 요구에 근거하여 주로 선택한다. 양명학이 당순지의 이와 같은 우수한 신뢰 집단을 끌어들이는 노력을 벌이게 된 것은 당시 각종 학설이 상호 경쟁하고 있던 상황이 가장 중요한 배경이 되어 나타난 상황이었다.

There were many competing Neo-Confucianism learnings between 1520s and 1540s. Each one of these learning’s masters wanted to attract brilliant young intellectuals to become his disciple, in order to expand the influence of his learning. Tang Shunzhi 唐順之had enjoyed a high reputation at that time. Therefore, those masters such as Lv Nan,呂柟 Mao Xian毛憲 and Xu Wen徐問 wished Tang could accept their own learning. It was not successful because of Tang’s lack of interest in Neo-Confucianism. When Tang began to research Neo-Confucianism, Wang Ji 王畿and Wei Xiao魏校 sermonized Tang their own learning through various ways. After comparison, Tang finally chose to accept the Yangming Learning 陽明學. Through this case, we can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asters and their listeners. Yangming School 陽明學派attracted many excellent followers like Tang Shunzhi, which was one of the important reasons why it stood out in the competition among various theories at that time.

Ⅰ. 引言
Ⅱ. 醉心詩文不應招引
Ⅲ. 面對魏校與王畿的爭取
Ⅳ. 虎丘之辯後對陽明學的服膺
Ⅴ. 結語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