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91.144.48
18.191.144.48
close menu
KCI 우수 SCOPUS
실제 이익조정에서 재량적 연구개발비와 재량적 판매관리비가 상이한 역할을 하는가? 한국기업의 증거
Do Discretionary RD Expense and SGA Expense Play Differential Roles in Real Earnings Management in Korea?
박종일 ( Jongil Park ) , 이윤정 ( Yun-jeong Lee )
회계학연구 47권 1호 1-45(45pages)
DOI 10.24056/KAR.2022.02.001
UCI I410-ECN-0102-2023-300-000538617

최근 연구는 실제 이익조정에서 연구개발비(RD)와 RD를 제외한 판매관리비(SGA) 간에 상이한 역할을 한다는 주장과 증거를 이익조정 유인이 강한 유상증자기업(SEO)과 감리지적기업 표본을 이용하여 제시하였다(Sun 2021). Sun(2021)의 연구는 SGA의 축소는 원가절감의 신호로서 투자자 관점에서 긍정적일 수 있는 반면, RD의 삭감은 미래 수익성 지표로 기대성장의 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한 후 실제 이익조정의 유인이 강한 상황에서 경영자는 SGA는 줄이지만, RD는 오히려 높인다는 주장과 실증적 증거를 보고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앞서의 선행연구의 주장이 국내 상장기업들의 경우에도 관찰되는 현상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는 Sun(2021)의 주장인 재량적 RD와 재량적 SGA 간에 상이한 역할을 하는지에 초점을 두고, 앞서의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예를 들어, SEO 표본 외에도 적자회피 표본을 병행하여 살펴보고, Sun(2021)에서 이용된 Gunny(2010)의 추정모형 외에도 Roychowdhury(2006)의 추정모형의 결과를 같이 비교하며, 연구모형의 설정상에 주된 관심변수의 시점을 t-1년도로 분석한 Sun(2021)의 방법 외에도 t년도의 결과도 비교하였다. 또한 Sun(2021)에서의 주식수익률 대신 기업가치 측면에서 Sun(2021)의 주장이 유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국내 자료를 이용한 본 연구결과에서는 Sun(2021)의 주장과 일치하는 증거를 발견할 수 없었다. 오히려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재량적 RD와 재량적 SGA 간에 유사한 역할 정보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재량적 SGA의 축소나 재량적 RD의 삭감 모두는 재량적 발생액과 보완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국 자료를 이용한 본 연구의 발견은 Sun(2021)과 다른 증거를 제공한다.

Recently, the question on the similarity of discretionary RD (research and development expenses) and discretionary SGA (selling, general, and administrative expenses) in real earnings management has been raised. Sun (2021) argues that a reduction in discretionary SGA w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stock prices as investors may perceive it as a sign of cost reduction. In contrast, decrease in discretionary RD may send a negative signal about future growth since investment in RD is often viewed as an indicator of future profitability. Based on this notion, Sun (2021) provides empirical evidence of the differential roles of RD and SGA in circumstances where earnings management and stock price manipulation are likely to occur simultaneously, such as seasoned equity offerings (SEOs) or receiving accounting and auditing enforcement releases (AAERs). To validate the robustness of the findings from Sun (2021) in different setting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RD and SGA of listed firms in Korea on SEOs, loss avoidance using two real earnings management models (Roychowdhury (2006) and Gunny (2010)), and firm value. We observe that discretionary RD and SGA play similar roles in real earnings management for Korean listed firms, which is inconsistent with the findings of Sun (2021). These results hold when we use different time steps in variables (lagged or contemporaneous model). We also find that reduction in RD or SGA are complementary to earnings management through discretionary accruals. Our findings can provide additional empirical evidence to the current literature.

Ⅰ. 서 론
Ⅱ. 관련연구의 검토와 가설의 제시
Ⅲ. 연구설계 및 표본의 선정
Ⅳ. 실증분석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국내 참고 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