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5.199.19
3.145.199.19
close menu
KCI 등재
해명공시와 자기자본비용의 관련성
The Relationship between Clarification Disclosure and Cost of Equity Capital
김정택 ( Jeong Taek Kim ) , 이상혁 ( Sang Hyuk Lee )
회계저널 30권 5호 103-125(23pages)
DOI 10.24056/KAJ.2021.08.007
UCI I410-ECN-0102-2022-300-000907534

본 연구는 2015년에 우리나라에 도입된 해명공시제도의 효과를 투자자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이를 위해 투자자가 평가하는 기업의 정보불균형 수준의 대용치인 자기자본비용을 사용하여 해명공시 여부(횟수)와 자기자본비용 간의 관계를 조사하고, 추가적으로 해명공시와 대체관계에 있는 조회공시나 또 다른 자율공시인 공정공시를 고려했을 때 그 결과가 영향을 받는지도 조사한다. 2015년부터 2018년까지의 표본기간 동안 국내 상장기업을 대상으로 한 본 연구의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해명공시를 한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자기자본비용이 높고, 해명공시 횟수가 많은 기업일수록 자기자본비용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회공시 및 공정공시 횟수를 통제한 이후에도 해명공시 횟수와 자기자본비용 사이의 양(+)의 관계는 유지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해명공시제도의 도입 취지와 달리 실제로 해명공시를 활용하는 기업에 대해 시장은 부정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해명공시가 도입된 이후 이를 다룬 최초의 연구로서 해명공시제도가 기업을 둘러싼 정보환경의 개선이라는 본래의 취지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공시 유인의 제공 등 전반적인 정비가 필요함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clarification disclosure from the perspective of investors. Specifically, we analyze how the clarification disclosure affects the cost of equity capital, which represents the level of information asymmetry of a company evaluated by investors. Further, we investigate whether the results are affected when the inquiry disclosure, an alternative to the clarification disclosure, or the fair disclosure, another voluntary disclosure, is taken into account. Findings of this study using listed companies on KOSPI and KOSDAQ market during 2015-2018 are as follows. First, we find that firms that have executed the clarification disclosure exhibit a higher cost of equity capital than those that have never done it, and the more frequent clarification disclosures, the higher the cost of equity capital. Second,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clarification disclosures and the cost of equity capital remains unchanged even after controlling for the inquiry disclosure and fair disclosure. These results can be interpreted as that the market reacts negatively to companies that utilize the clarification disclosure, contrary to the purpose of its introduction.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empirical study to examine the effect of clarification disclosures on a firm’s cost of equity capital. Our findings imply that in order to achieve the original purpose of the clarification disclosure, more sophisticated policy supports such as desirable incentive design are required.

I. 서 론
Ⅱ. 선행연구 검토 및 가설 설정
Ⅲ. 표본선정 및 연구모형
IV. 실증분석 결과
Ⅴ. 결 론
REFERENCES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