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0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이 연구는 산재근로자의 경제활동 변화 유형과 미충족의료 경험과의 관계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경제활동 변화 유형은 산재보험패널데이터를 활용하여 2018년과 2019년의 경제활동 상태에 따라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미충족의료 경험 여부는 2019년의 조사결과를 활용하였으며, 경제활동변화 유형과 미충족의료 경험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산재근로자의 미충족의료 경험률은 7.7%로 한국의료패널에서 조사한 한국 성인의 미충족의료 경험률(10.7%)보다 낮았고, 취업상태를 유지하고 있는 산재근로자에 비해 취업-미취업 상태인 산재근로자의 미충족의료 경험률이 1.58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산재근로자의 미충족의료 해소를 위해서는 산재근로자의 직장복귀 및 고용유지를 위한 제도를 활성화하고, 경제활동을 할 수 없는 산재근로자의 미충족의료 해소를 위한 산재보험 보장성이 강화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conomic participatory change and unmet needs by using the data from 2018 and 2019 of the PSWCI. A total of 2,519 subjects,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4 types according to the type of economic activity change, and the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he results showed 7.7% of people had the unmet needs experience of industrial accidents, and this rate was lower than that of Korean adults found by the Korea Medical Panel (10.7%). The experience rate of unmet needs also is 1.58 times higher for employed-unemployed workers than that for those who remain employed. Findings from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ctivation of the return to work and employment retention system help to solve the unmet needs of industrial accident workers, and furthermore it is vital to strengthen the protection of industrial accident insurance.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0)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