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 내서재 .. 알림
소속 기관/학교 인증
인증하면 논문, 학술자료 등을  무료로 열람할 수 있어요.
한국대학교, 누리자동차, 시립도서관 등 나의 기관을 확인해보세요
(국내 대학 90% 이상 구독 중)
로그인 회원가입 고객센터

주제분류

정기구독(개인)

소속 기관이 없으신 경우, 개인 정기구독을 하시면 저렴하게
논문을 무제한 열람 이용할 수 있어요.

회원혜택

로그인 회원이 가져갈 수 있는 혜택들을 확인하고 이용하세요.

아카루트

학술연구/단체지원/교육 등 연구자 활동을 지속하도록 DBpia가 지원하고 있어요.

영문교정

영문 논문 작성에 도움을 드리기 위해, 영문 교정 서비스를
지원하고 있어요.

고객센터 제휴문의

...

저널정보

저자정보

표지
이용수
내서재
3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내서재에 추가
되었습니다.
내서재에서
삭제되었습니다.

초록·키워드

오류제보하기
본 연구는 농촌노인의 지역사회환경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과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북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노인 중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38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구조방정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노인의 지역사회환경은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노인의 지역사회환경은 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노인의 스트레스는 심리적 안녕감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농촌노인의 지역사회환경은 스트레스를 매개하여 심리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농촌노인의 지역사회환경은 직접적으로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트레스에 부(-)적인 영향을 미쳐 심리적 안녕감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농촌노인의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실천적 개입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unity environmen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through mediation of stres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86 elderly residents living in rural areas of Chonbuk province and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munity environment of rural elderly people had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Second, the social environment of the rural elderly has a negative(-) effect on stress. Third, the stress of the rural elderly had a nega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the community environment of rural elderly affected the psychological well - being by mediating stress. This implies that the community environment of rural elderly has a positive(+) effect on psychological well-being and a positive(+) influence on psychological well-being by having a negative(-) effect on stres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actical interventions for the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for rural elderly people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Ⅳ. 고찰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참고문헌 (27)

참고문헌 신청

함께 읽어보면 좋을 논문

논문 유사도에 따라 DBpia 가 추천하는 논문입니다. 함께 보면 좋을 연관 논문을 확인해보세요!

이 논문의 저자 정보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논문

최근 본 자료

전체보기

댓글(0)

0

UCI(KEPA) : I410-ECN-0101-2018-338-001902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