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인터넷을 이용한 범죄선동행위의 처벌가능성

Possibility of punishment of illegal activity request using the Internet

비교형사법연구
약어 : KJCCL
2018 vol.19, no.4, pp.633 - 654
DOI : 10.23894/kjccl.2018.19.4.026
발행기관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연구분야 : 법학
Copyright © 한국비교형사법학회
118 회 열람

인터넷과 소셜 네트워크가 일상화된 오늘날 사이버공간은 불특정다수를대상으로한 범죄행위에의 선동수단으로 사용될 위험이 크지만 인터넷을 활용한 범죄선동행위를 제어하기 위한 적절한 구성요건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대표적인 세 가지 사건, 즉 2011년의 美아리조나 총격사건 및 獨폭탄제조인터넷포럼 운영사건, 그리고 2009년의 美대통령 살인 설문조사 사건에 있어 과격 인터넷사이트 운영자에 대한 처벌가능성을 검토해 보면 총칙상의교사 또는 방조범도 성립할 수 없다. 불특정 다수에 대한 일반적 추상적 범행선동에 머무는 한 피교사 방조자와 교사 방조한 행위가 특정될 것을 요구하는 우리 형법의 교사 방조개념에 포섭될 수 없기 때문이다. 인터넷 상의범죄선동행위에 대한 형법적 대응으로서 이러한 행위유형을 구성요건화한개별 입법을 고려하지 않을 수 없다. 독일형법은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공연히 위법행위를 선동한 자를 처벌하는 구성요건(제111조)을 두고 있다. 하지만 해당 조항은 선동행위가 사회일반에 객관적으로 진지한 의도로 이루어졌다는 인상을 남길 것을 요구함으로써 사실상 결과범과 같이 취급하여 그 성립범위를 지나치게 제한하고 있다. 동 규정은 집회에서 또는 공연한 서면의 배포를 통한 오프라인의 선동행위를 전제하며 오늘날과 같은 인터넷 상의 범죄선동에 대처하기 위해 만들어진 구성요건이 아니다. 따라서 우리의 입법은 독일형법 제111조를 참조하되 온라인의 다양한 선동행위를 포섭하면서도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도록탄력적인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인터넷 상의 범죄선동행위는 흔히 일어나고 결과발생에 이르지 않은 경우도 많지만 특유의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그 행위만으로 처벌이 가능하도록 거동범으로 정의하여 그 적용대상을 대폭 확대해야 한다. 동시에 확고한 정범의 고의를 가지고 특정인의범행결의를 일으키는 교사의 형보다는 감경하여야 한다. 범죄의 성립요건을완화하되 그 형량은 낮추는 방향으로 입법이 추진되어야만 일반예방효과와불법의 크기에 비례한 형벌의 부과라는 책임주의의 요청을 동시에 충족시킬수 있을 것이다.

Today, the Internet and social networks have become commonplace. Cyber space has a high risk of being used to incite criminal acts targeting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However, there is no clause to penalize the use of the Internet for crime. We examined the possibility of penalties for Internet site operators in three representative cases. It is a case of “arizona shooting”in the US in 2011, the“making bombs Internet Forum case” in Germany in 2011, and“survey about killing the US President”in 2009. In these cases, site operators can not be punished as incitement or subsid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make the clause to punish these types of conduct. The German Criminal Code has a provision that punishes the act of inciting illegal activities in public in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This provision, however, requires that the act of incitement be made with an objectively serious intention. Therefore, the scope of its establishment is very limited. This provision also presupposes offline offensive activities such as assembly or written distribution. It is not intended to punish criminal offenders on the Internet. Therefore, our criminal law should refer to the German Criminal Law and legislate to cope with various incitement acts on-line. Punishment should be broadened. In other words, punishment should be possible only by action without occurrence of specific results. It should also be prescribed lower punishment than incitement. The requirements for the establishment of a crime should be relaxed and legislated to reduce the amount of punishment so that general preventive effects and accountability can be met at the same time.

아리조나 총격사건, 공연범죄선동죄, 사이버 범죄, 폭탄제조사이트, 교사범
Arizona Shooting Case, Public Request for Criminal Offenses, Cyber Crime, Making Bombs Internet Forum, Incitement of the Crime

  • 1. [기타] 김성룡 / 2017 / 뇌・신경과학의 발달과 마음에 대한 범죄의 도입가능성과 필요성, 형사법의 최근 쟁점(세미나 자료집) / 경북대학교 형사법센터
  • 2. [단행본] Fischer, Thomas / 2013 / Strafgesetzbuch und Nebengsetze – Kommentar, 60. Aufl.
  • 3. [단행본] Jescheck, Hans-Heinrich / 1996 / Lehrbuch des Strafrechts – Allgemeiner Teil, 5. Aufl
  • 4. [단행본] Joecks, Wolfgang / 2012 / Münchner Kommentar zum Strafgesetzbuch, Band 1: §§ 1-37(2. Aufl., München 2011), Band 3: §§ 80-184g(2. Aufl., München 2012), Band 8: Nebenstrafrecht III (2. Aufl., München 2013)
  • 5. [단행본] Kindhäuser, Urs / 2013 / Strafgesetzbuch – Lehr- und Praxiskommentar, 5. Aufl. / LPK
  • 6. [단행본] Kindhäuser, Urs / 2013 / Nomos Kommentar zum Strafgesetzbuch, 4. Aufl / NK-Bearbe
  • 7. [단행본] Laufhütte, Heinrich Wilhelm / 2006 / Leipziger Kommentar zum Strafgesetzbuch, 12. Aufl. / LḰ-Bearbeiter
  • 8. [단행본] Maurach, Reinhart / 1989 / Strafrecht Allgemeiner Teil – Teilband 2: Erscheinungsformen des Verbrechens und Rechtsfolgen der Tat, 7. Aufl
  • 9. [단행본] Roxin, Klaus / 2003 / Strafrecht Allgemeiner Teil – Band II: Besondere Erscheinungsformen der Straftat 1. Aufl
  • 10. [단행본] Satzger, Helmut / 2009 / Strafgesetzbuch – Kommentar, 1. Aufl
  • 11. [단행본] Schönke, Adolf / 2010 / Strafgesetzbuch – Kommentar, 28. Aufl.
  • 12. [단행본] Schünemann, Bernd / 1975 / Moderne Tendenzen in der Dogmatik der Fahrlässigkeitsund Gefährdungsdelikte / JA
  • 13. [단행본] Wessels, Johannes / 2012 / Strafrecht Allgemeiner Teil, 42. Auf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