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메뉴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과 성향적 낙관성이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 영향: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tic Experience and Dispositional Optim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in College Students: Mediating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초록

본 연구에서는 아동기 외상 경험과 성향적 낙관성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단절 및 거절 도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지역 대학생 592명을 대상으로 아동기 외상, 성향적 낙관성, 대인관계문제, 단절 및 거절도식을 측정하였으며, 선행연구 결과들과 이론적 배경들을 바탕으로 2개의 구조 모형을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였다. 모형 1은 아동기 외상 및 성향적 낙관성이 단절 및 거절도식을 통해 대인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모형이고, 모형 2는 아동기 외상은 단절 및 거절도식을 통해 대인관계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성향적 낙관성은 대인관계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단절 및 거절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모형이다. 그 결과, 첫째, 아동기 외상은 대인관계문제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단절 및 거절 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향적 낙관성은 대인관계 문제에 직접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단절 및 거절 도식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keywords
아동기 외상, 성향적 낙관성, 단절 및 거절 도식, 대인관계 문제, 대학생, Childhood trauma, dispositional optimism,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interpersonal problems, college student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on the effects of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on interpersonal problems. Participants were 592 college students in Gyeonggi province who were surveyed on childhood trauma, dispositional optimism, interpersonal problems,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Based on existing research and theory, the investigators created two structural models. In one model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in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In the other model childhood trauma and dispositional optimism indirectly influenced interpersonal problems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and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The results indicated that childhood trauma did not directly affect interpersonal problems, but affected them indirectly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On the other hand, dispositional optimism directly affected interpersonal problems and also affected them indirectly through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keywords
아동기 외상, 성향적 낙관성, 단절 및 거절 도식, 대인관계 문제, 대학생, Childhood trauma, dispositional optimism, disconnection and rejection scheme, interpersonal problems, college students

참고문헌

1.

고나래 (2008). 아동, 청소년기 복합외상경험이 정서조절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곽영희, 정현희 (2011). 청소년의 기질과 지각된 부모양육태도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초기 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8(6), 45-64.

3.

구성희, 채규만 (2013). 초기부적응도식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배우자 지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3(2), 255- 268.

4.

권석만 (2018).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 학지사.

5.

권진희, 김혜란 (2017). 단절 및 거절도식과 대인관계 문제에서 정서표현양가성과 부적응적 정서조절 방략의 매개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5(1), 13-24.

6.

권해수 (2003). 성학대 피해 청소년의 적응유연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김계수 (2007).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8.

김숙영 (2010). 초등학생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학교생활 적응간의 관계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김순혜, 김정원 (2004). 대학생의 심리적 분리수준 및 대인관계 성향과 사회적 적응간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2), 83-97.

10.

김시연, 서영석 (2008). 부적응 도식과 일상적 스트레스가 결혼만족에 미치는 영향: 지각된 부부 지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4), 1243-1265.

11.

김은정 (2011). 초등학생의 낙관성과 학생이 지각한 교사와의 친밀도 관계. 고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은정, 김진숙 (2010). 아동기외상과 초기 성인기 우울수준과의 관계: 초기부적응도식과 정서표현양가성 및 회피대처방식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3), 605-630.

13.

김지연, 신민섭, 이영호 (2011). 대학생의 외로움 및 우울의 인지적 특성: 초기부적응도식을 중심으로. 청소년문화포럼, 27, 39- 60.

14.

김현진, 한종철 (2004). 대학생의 우울 취약성과 자의식이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77-294.

15.

김해숙 (2012). 아동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대인문제해결양식과의 관계에서 낙관성의 매개효과. 제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김홍석, 노영천 (2013). 아동의 학대경험과 공격성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 도식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0(8), 1-20.

17.

김효창 (2013). 혼자서 완성하는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18.

남윤정, 김은향 (2018). 대학생의 성인애착과 초기부적응도식 수준에 따른 집단분류.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1), 305-321.

19.

노영천, 유순화 (2012). 한국인용 낙관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상담학회상담학연구, 13(5), 2175-2202.

20.

노현숙 (2006). 낙관성과 스트레스지각이 갈등해결양식 및 이성 관계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1.

박시현 (2014). 지각된 아동․청소년기 외상경험이 대학생의 대인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검증. 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박은미 (1999). 아동기 학대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가 성인기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박은혜, 정남운 (2014). 우울취약성과 대인관계문제에서 분노표현양식의 매개효과. 학생생활연구, 34, 385-405.

24.

박준호, 서영석 (2009). 남자 대학생들의 성역할갈등과 상담 의도와의 관계: 사회적 낙인, 자기 낙인, 상담에 대한 태도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1), 25-48.

25.

배미향, 조영아 (2014). 대학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낙관성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5(5), 1849- 1870.

26.

배병렬 (2014). Amos 21 구조방정식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27.

백승아, 구본용 (2018).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들의 내면아이 발달에 미치는 영향: 초기부적응도식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된 매개효과 분석. 청소년상담연구, 26(1), 125-146.

28.

백혜영, 신희천 (2008). 애정관계에서 낙관성이 관계만족에 미치는 영향: 긍정적 평가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3), 1-14.

29.

안하얀, 서영석 (2011). 성인애착과 Young의 단절 및 거절도식에 따른 집단 분류와 우울, 불안 및 대인관계문제에 대한 집단 간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4), 943-969.

30.

연세대학교 학생생활상담소 (2012). 신입생 실태조사.

31.

유미영, 하정희 (2019). 여대생의 거절민감성과 성적 자기주장의 관계에서 단절 및 거절도식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4(1), 47-66.

32.

유성진, 권석만 (2008). 심리치료에서 도식과 양식 개념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1), 91-117.

33.

유아진, 서영석 (2017). 단절 및 거절 도식과 정서적 단절의 관계에서 거부민감성과 친밀함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8(5), 41-60.

34.

유현하 (2012). 아동의 낙관성과 우울증상의 관계에서 또래관계 질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5.

이민선, 채규만 (2012). 대학생의 자아존중감이 대인관계능력에 미치는 영향: 정서조절방략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2(1), 63- 75.

36.

이유경 (2006). 여대생의 아동기 외상경험이 심리적 증상과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이태영, 노영천 (2014). 초등학생의 낙관성과 정서인식 및 표현 부족이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초등상담연구, 13(3), 297-312.

38.

이태영, 심혜숙 (2011). 아동기 외상경험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2(6), 2273-2291.

39.

이현정, 장희순 (2014). 청소년의 복합 및 다중외상 경험과 대인관계문제 사이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4(1), 39-59.

40.

조은정 (2004). 아동기의 정서적 학대 경험이 대인관계 문제해결능력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통제소재를 매개변인으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1.

조하나 (2003). 낙관성 수준에 따른 우호/적대상황에서의 대인관계도식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2.

진하영, 권은정, 권지은, 황순택 (2010). 성격장애성향의 대인관계 문제: 저가-타인지각 비교. 인간이해, 31(2), 211-230.

43.

진효정 (2013). 아동의 낙관성과 학교 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지각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4.

차미영 (2010). 아동기 외상과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 간의 관계에서 초기부적응도식의 매개효과. 경북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5.

최나윤, 이영호 (2018). 아동기 외상이 초기 성인기 대인관계 문제에 미치는영향: 초기부적응도식과 자기개념 및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2), 137- 166.

46.

최은영, 안현의 (2011). 여대생의 아동 청소년기 대인간 외상 경험과 자기역량 손상의 관계에서 내면화된 수치심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285-302.

47.

최임정, 심혜숙 (2010). 대학생의 내면화된 수치심과 분노표현양식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479-492.

48.

한수경, 정남운 (2014). 대인간 외상경험이 대인관계문제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기체계손상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5(1), 149- 168

49.

한지숙 (2004). 피학대아동의 가정 복귀 후 심리 행동적 적응 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0.

홍상황, 박은영, 김영환, 권정혜, 조용래, 진유경 (2002). 한국형 대인관계문제 검사 원형척도의 단축형(KIIP-SC) 구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4), 923-940.

51.

황정미, 김민정 (2018). 고등학생의 지속성 기질과 지각된 부모양육행동이 분노표출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5(6), 275- 300.

52.

Assad, K. K., Donnellan, M. B., & Conger, R. D. (2007). Optimism: An enduring resource for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93, 285-297.

53.

Baranoff, J., Oei, T. P., Cho, S. H.., & Kwon., S. M. (2006). Factor structure and internal consistency of the Young Schema Questionnaire (Short Form) in Korean and Australian samples.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93, 133-140.

54.

Beck, A. T. (2000). Prisoner of hate: The cognitive basis of anger, hostility, and violence. New York: Perennial.

55.

Bernstein, D. P., & Fink, L. (1998).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A retrospective self-report manual San Antonio, TX: The Psychological Corporation.

56.

Bostock, L., Sheikh, A. I., & Barton, S. (2009). Posttraumatic growth and optimism in health-related trauma: A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in Medical Settings, 16(4), 281-296.

57.

Brissette, I., Scheier, M. F., & Carver, C. S. (2002). The role of optimism in social network development, coping, and psychological adjustment during a life transi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2(1), 102-111.

58.

Chang, E. C., Maydeu-Olivares, A., & D’Zurilla, T. J. (1997). Optimism and pessimism as partially independent constructs: Relationship to positive and negative affectivity and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23(3), 433-440.

59.

Crawford, E., & Wright, M. O. (2007). The impact of childhood psychological maltreatment on interpersonal schemas and subsequent experiences of relationship aggression. Journal of Emotional Abuse, 7, 93-116.

60.

Erickson, E. H. (1994). Identity: Youth and Crisis.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61.

Gibb, B., Alloy, L., Abramson, L., Rose, D., Whitehouse, W., Donovan, P., et al. (2001). History of childhood maltreatment, negative cognitive styles, and episodes of depression in adulthood.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5(4), 425-446.

62.

Hamamci, Z., & Esen-Coban, A. (2010). Dysfunctional relationship beliefs of late adolescence in adjustment to university. Procedia-Social and Behavioral Sciences, 2(2), 300-304.

63.

Harris, A. E., & Curtin, L. (2002). Parental perceptions,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depressive symptoms in young adul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6(3), 405-416.

64.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B. A., Ureño, G., & Villaseñor, V. S. (1988).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6), 885-892.

65.

Hu, L., & Bentler, P. (1999).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6(1), 1-55.

66.

John, J. C, Mark, B., & Tracy, P. (2008). Exploring the relationships among early maladaptive schemas, psychological mindedness and self-reported college adjustment.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81(1), 105-118.

67.

Kagan, J., Reznick, J. S., & Snidman, N. (1988). Biological bases of childhood shyness. Science, 240, 167-171.

68.

Kline, R. B. (1998).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Guilford press.

69.

Krause, E., Mendelson, T., & Lynch, T. (2003). Childhood emotional invalidation and adult psychological distress: The mediating role emotional inhibition. Child & Abuse Neglect, 27(2), 199-213.

70.

Luxenberg, T., Spinazzola, J., & van der Kolk, B. (2001). Complex trauma and disorders of extreme stress (DESNOS) Diagnosis, part one: Assessment. Directions in Psychiatry, 21, 373-392.

71.

Lumley, M. N., & Harkness, K. L. (2007). Specificity in the relations among childhood adversity,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symptom profiles in adolescent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31, 639-657.

72.

Martens, M. (2005). The us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counseling psychology research.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3(3), 269-298.

73.

Meevissen, Y. M. C., Peters, M. L., & Alberts, H. J. E. M. (2011). Become more optimistic by imagining a best possible self: Effects of a two week intervention. Journal of Behavior Therapy and Experimental Psychiatry, 42(3), 371-378.

74.

Messman-Moore, T. L., & Coates, A. A. (2007). The impact of childhood psychological abuse on adult interpersonal conflict: The role of early maladaptive schemas and patterns of interpersonal behavior. Journal of Emotional Abuse, 7(2), 75-92.

75.

Morgan, C., & Fisher, H. (2007). Environmental factors in schizophrenia: Childhood trauma-a critical review. Schizophrenia Bulletin, 33(1), 3-10.

76.

Nordahl, H. M., Holthe, H., & Haugum, J. A. (2005). Early maladaptive schemas in patients with or without personality disorder: Does schemas modification predict symptomatic relief?. Clinical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12(2), 142-149.

77.

Peterson, C. (2000). The future of optimism. American Psychologist, 55(1), 44-55.

78.

Russell, D. W., Kahn, J. H., Spoth, R., & Altmaier, E. M. (1998). Analyzing data from experimental studies: a latent variabl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1), 18-29.

79.

Santos, O., Miguel, P., Teresa, F., T., & Teresa, R. (2012). Optimism in adolescence: Across-sectional study of the influence of family and peer group variables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52(7), 812-817.

80.

Scheier, M. F., & Carver, C. S. (1985). Optimism, coping and health: Assessment and implications of generalized outcome expectancies. Health Psychology, 4(3), 219-247.

81.

Seligman, M. E. P. (1991). Learned optimism. New York: Knopf.

82.

Shrout, P., & Bolger, N. (2002). Mediation in experimental and nonexperimental studies: New procedures and recommendations. Psychological Methods, 7(4), 422-445.

83.

Spertus, I. L., Yehuda, R., Wong, C. M., Halligan, S., & Seremetis, S. V. (2003). Childhood emotional abuse and neglect as predictors of psychological and physical symptoms in women presenting to a primary care practice. Child Abuse & Neglect, 27, 1247-1258

84.

Srivastava, S., McGonagal, K. M., Richards, J. M., Butler, E. A., & Gross, J. J. (2006). Optimism in close relationships: How seeing things in a positive light makes them so.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1(1), 143-153.

85.

Vaillant, G. E. (2003). A 60‐year follow‐up of alcoholic men. Addiction, 98, 1043-1051

86.

Vollmann, M., Antoniw, K., Hartung. F., & Renner, B. (2011). Social support as mediator of the stress buffering effect of optimism: the importance of differentiating the recipients' and providers' perspective. European Journal of Personality, 25, 146-154.

87.

West, S., Finch, J., & Curran, P. (1995).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oyle (E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pp. 56-75). Thousand Oaks, CA, US: Sage Publications, Inc.

88.

Wright, M. O. D., Crawford, E., & Del Castillo, D. (2009). Childhood emotional maltreatment and later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college students: The mediating role of maladaptive schemas. Child Abuse & Neglect, 33, 59-68.

89.

Young, J. E. (1990, 1994). Cognitive therapy for personality disorders: A schema-focused approach. Sarasota, FL: Professional Resource Press.

90.

Young, J. E. (1993). The Schema diary. New York: Cognitive Therapy center of New York.

91.

Young, J. E., Klosoko, J. S., & Weishaar, M. E. (2003). 심리도식치료 (권석만, 서수균 역.). 서울: 학지사.

92.

Young, J. E., Wattenmaker, D., & Wattenmaker, R. (1996). Schema therapy flashcard. New York: Cognitive therapy center of New York.

93.

Wei, M, Vogel, D. L., Ku, T. Y., & Zakalik, R. A. (2005). Adult attachment, affect regulation, negative mood, and interpersonal problems: The mediating roles of emotional reactivity and emotional cutoff.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52, 14-24.

lo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