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전자산업 글로벌 가치사슬의 변화와 주요국의 참여 구조 분석

Analysis of Changes in the Global Value Chain of the Electronics Industry and Participation Structure of Major Countries

한국경제지리학회지
약어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2022 vol.25, no.1, pp.23 - 40
DOI : 10.23841/egsk.2022.25.1.23
발행기관 : 한국경제지리학회
연구분야 : 지리학
Copyright © 한국경제지리학회
24 회 열람

세계 경제체제 하에서 생산활동은 국제적 분업을 이루고 있으며, 이로 인해 미⋅중 무역전쟁, 신보호무역주의 등의 글로벌 이슈들에 의해 개별 국가의 산업은 큰 영향을 받게 되었다. 특히 코로나19로 인하여 발생 된반도체 가치사슬의 단절 위험과 변화는 글로벌 전자산업 가치사슬에 참여하는 모든 국가들에 위기와 기회를 동시에 제공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에 전자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에 대한 면밀한 분석이 필요한 시점으로본 연구는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TiVA)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자산업의 글로벌가치사슬은 점차 확대⋅강화되고 있으며, 다양한 국가가 글로벌 가치사슬의 주요 행위자로 부상함을 확인하였다. 미국과 일본은 상대적으로 고부가가치 활동을 담당하는 반면 한국, 대만, 중국은 규모는 크지만 상대적으로 저부가가치 활동을 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만과 중국은 점차 글로벌 가치사슬 내 위치가 상향되고 있어 한국도 글로벌 가치사슬 내 경쟁력 강화 방안 마련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Under the global economic system, production activities has formed an international division of labor, which has greatly affected industries in individual countries by global issues such as the U.S-China trade war and neo-protectionism. In particular the risk and change of disconnection of semiconductor value chain caused by COVID-19 are evaluated as offering the crisis and opportunity at the same time to all countries participating in the global electronics industry value chain.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OECD Trade in Value Added(TiVA) based on the time when a detailed analysis of the global chain of the electronic industry is need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the global value chain of the electronics industry is gradually expanding and strengthening, and that various countries are emerging as major actors in the global value chain. It was found that the U.S. and Japan are in charge of relatively high value-added activities, while Korea, Taiwan and China are in charge of low value-added activities, although they are large scale.

글로벌 가치사슬, 전자산업,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 부가가치
Global Value Chain, Electronics Industry, OECD TiVA, Value Added

  • 1. [학술지] 고나영 / 2020 / 한국 석유화학산업의 특성과 글로벌가치사슬 참여 구조 변화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23 (3) : 349 ~ 3 kci
  • 2. [학술지] 구양미 / 2020 / 코로나19와 한국의 글로벌가치사슬(GVC) 변화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23 (3) : 209 ~ 3 kci
  • 3. [보고서] 구지영 / 2019 / OECD TiVA 자료를 활용한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 한국 전자산업을 사례로
  • 4. [학술지] 김기섭 / 2020 / 포스트 코로나와 반도체 산업 : 코로나19로 촉발된 반도체 밸류체인 분리 위험과 한국 반도체 산업의 대응전략 / 기술혁신연구 / 28 (4) : 125 ~ 4 kci
  • 5. [보고서] 김재덕 / 2014 / 국제가치사슬 구조에서 본 산업별 경쟁력 분석 및 정책과제
  • 6. [보고서] 김주권 / 2016 / 한국 중소기업의 글로벌 가치사슬 진입전략 및 정책적 시사점 연구
  • 7. [학위논문] 김지연 / 2018 / 글로벌 가치사슬 분석을 통한 식품산업의 수출구조 분석
  • 8. [학술지] 이정협 / 2005 / 동아시아 글로벌 생산네트워크의 변화와 혁신 클러스터의 대응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8 (3) : 383 ~ 3 kci
  • 9. [보고서] 이준호 / 2007 / 글로벌 가치사슬(global value chain)과 중소기업의 국제화 과제
  • 10. [기타] 임원혁 / 2016 / 한국 전자산업의 발전 (The Development of Korea’s Electronics Industry during Its Formative Years) 기반 형성기를 중심으로, Knowledge Sharing Program: 경제발전경험 모듈화 사업
  • 11. [학술지] 정준호 / 2016 / OECD 부가가치 기준 교역자료를 이용한 자동차산업글로벌 생산 네트워크의 특성 분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9 (3) : 491 ~ 3 kci
  • 12. [학술지] 최기산 / 2018 / 글로벌 가치사슬의 현황 및 시사점 / 국제경제리뷰 / 2018 (11)
  • 13. [보고서] 최충규 / 2009 / 대규모 기업집단의 출자 연결망 분석-중앙성, 응집성 및 위세를 중심으로
  • 14. [학술지] 현기순 / 2016 / 세계무역 네트워크와 주요국 산업의 역할: 부가가치 교역 자료를 이용한 사회연결망 분석 기법을 중심으로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19 (4) : 677 ~ 4 kci
  • 15. [인터넷자료] 한국경제 / 日 ‘화이트리스트 폭탄’ 83개 품목에 치명타
  • 16. [인터넷자료] / e-나라지표
  • 17. [단행본] Arndt, S. W. / 2001 / Fragmentation:New production patterns in the world economy / OUP Oxford
  • 18. [단행본] Dicken, P. / 2015 / Global Shift Seventh Edition Mapping the Changing Contours of the World Economy / SAGE Publications Ltd
  • 19. [학술지] Gereffi, G. / 2005 / The governance of global value chains / Review of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 12 (1) : 78 ~ 1
  • 20. [학술지] Gereffi, G. / 2012 / Why the world suddenly cares about global supply chains / Journal of Supply Chain Management / 48 (3) : 24 ~ 3
  • 21. [보고서] Gereffi, G. / 1994 / Commodity chains and global capitalism, No. 149
  • 22. [학술지] Hopkins, T. K. / 1986 / Commodity chains in the world-economy prior to 1800 / Review(Fernand Braudel Center) / 10 (1) : 157 ~ 1
  • 23. [학술지] Koopman, R. / 2014 / Tracing value-added and double counting in gross exports / American Economic Review / 104 (2) : 459 ~ 2
  • 24. [학술지] Mudambi, R. / 2008 / Location, control and innovation in knowledge-intensive industries / Journal of Economic Geography / 8 (5) : 699 ~ 5
  • 25. [기타] OECD / 2018 / TiVA 2018 geographical coverage
  • 26. [인터넷자료] OECD / OECD TiVA 2018
  • 27. [보고서]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 2018 / Brief discussion of some of the reasons for differences between TiVA 2018 and TiVA 2016
  • 28. [기타]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 2018 / TiVA 2018 geographical coverage
  • 29. [기타]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 2018 / TiVA 2018 Indicatiors guide
  • 30. [인터넷자료]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 TiVA 2018
  • 31. [단행본] Porter, M. E. / 1985 / Competitive Advantage : Creating and Sustaining Superior Performance / The Fre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