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 개발

The Development of a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약어 : -
2012 vol.44, no.2, pp.129 - 147
DOI : 10.23840/agehrd.2012.44.2.129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121 회 열람

이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을 개발하는 데 있으며,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문헌고찰과 심층면접을 통해 대학입학사정관 역량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여 대학입학사정관 잠정적 역량모델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대학입학사정관 잠정적 역량모델은 포커스 그룹 인터뷰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2차례 수정되었고, 수정된 잠정적 역량모델의 타당성 검증을 위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대학입학사정관 역량모델을 개발하였다. 대학입학사정관의 역량모델은 공통역량과 직무역량의 2개 영역으로 구분되는데, 공통역량은 윤리성, 전문가 의식, 자기관리, 의사소통, 팀워크, 리더십 등 6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직무역량은 지원자의 입학여부를 결정하는 평가자, 대입전형 및 제도에 대한 연구자, 대입전형 일정을 수립하는 기획가, 대학입학사정관제에 대한 안내자 등 4개 역할에 따라서 청소년 이해, 고등학교 교육현장 이해, 전형 평가자료 이해, 전형 과정 이해, 전형자료의 신뢰성 검증, 평가기준 및 지침 이해, 전형자료의 분석 및 평가, 지원자 합격 판단, 전형 결과 분석과 전형 결과 활용, 국내외 대입정책 및 전형 분석, 평가준거 요소ㆍ추출, 평가지침 개발, 인터뷰 문항 개발, 전형 일정 수립과 전형 평가 일정 수립, 대학 행정 이해, 홍보 프로그램 기획, 홍보 전략 수립, 홍보 자료 구성, 홍보 자료 전달, 전형 상담을 위해 상담 수행 등 22개 역량으로 구성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in Korea. To pursue this goal, literature review and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for data collection about college admissions officers' competencies. Focus group interview and 4 SMEs review were implemented to revised the draft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A survey with 109 college admissions officers of 21 university were conducted to validate a draft competency model. As a result of the survey, the final competency model for college admissions officers was constructed with two competency areas, four roles, six common competencies and twenty-two task competencies. The competency areas were common competency and task competency and the roles were evaluator, researcher, planner, guider. The six common competencies were ethicality, professionalism, self-management, communication, teamwork, leadership. The twenty-three task competencies were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context, the understanding of high school context, the applicants’ documents of college entrance exam, the process of college entrance exam, verifying the reliability of applicants’ documents, understanding of assessment criteria and guidelines, analysis and assessment of applicants’ documents, judgement of the successful candidates, analysis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results, utilization of the college entrance exam results, the understanding of admissions officers policy,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ollege entrance exam policy, deriving the assessment criteria and elements, developing the assessment guidelines, developing the interview questions, scheduling the college entrance exam, scheduling the assessment of college entrance exam, the understanding of college administration, planning the public-relations programs, developing the promotional strategy, making the promotional material presentation, consulting.

대학입학사정관, 역량, 역량모델, 역량모델링
college admissions officers, competency, competency model, competency modeling

  • 1. [학술지] 강태중 / 2009 / 입학사정관제도의 정착을 위한 연구: 미국의 사례를 중심으로 / 아시아교육연구 / 10 (4) : 151 ~ 4 kci
  • 2. [보고서] 교육인적자원부 / 2007 / 대입전형 선진화를 위한 입학사정관제 지원계획(안)
  • 3. [학술대회] 김수연 / 2008 / 입학사정관으로서의 도전과 과제 / 2008 신임 입학사정관 직무 워크숍 자료
  • 4. [학술지] 김용기 / 2008 / 입학사정관제도의 운영상 문제점 및 발전방안 / 한국교육논단 / 7 (2) : 127 ~ 2 kci
  • 5. [보고서] 김용범 / 2011 / 입학사정관제의 직무역량과 미래 운영 비전에 관한 연구
  • 6. [학술지] 김진화 / 2003 / 평생교육사의 직업적 전문성과 직무의 탐구 / 평생교육학연구 / 9 (2) : 219 ~ 2 kci
  • 7. [보고서] 김현철 / 2006 / 입학사정관제 도입 및 지원방안 연구
  • 8. [학술대회] 남보우 / 2008 / 대입전형 자율화 시대의 입학사정관제 정착 방향 / 제38차 KEDI 교육정책포럼: 자율화 시대의 대입전형제도 발전 방향 : 71 ~
  • 9. [보고서] 문흥완 / 2009 / 입학사정관 교육훈련 발전방안 연구
  • 10. [보고서] 박제남 / 2008 / 대학 입학사정관 정착모형 개발 연구
  • 11. [학술지] 박혜림 / 2009 / 대학입학사정관제도의 현황과 발전 방안 / 교육방법연구 / 21 (1) : 21 ~ 1 kci
  • 12. [학술지] 반재천 / 2009 / 학사정관제에서 의사결정의 정확률 및 성공비율 추정을 위한 로지스틱 회귀분석의 적용 / 교육평가연구 / 22 (2) : 429 ~ 2 kci
  • 13. [단행본] 신원동 / 2008 / 입학사정관의 기능과 역할 / 대학교육 : 12 ~
  • 14. [학술지] 양성관 / 2009 / 대학입학사정관제의 특징 및 개선방안 분석 -Cooper 등의 4차원 정책분석모형을 사용하여 / 교육정치학연구 / 16 (3) : 125 ~ 3 kci
  • 15. [학술지] 이성철 / 2008 / 홀리스틱 교육의 관점에서 본 배려 차원의 교육정책 / 홀리스틱교육연구 / 12 (2) : 67 ~ 2 kci
  • 16. [보고서] 이지연 / 2010 / 이종범
  • 17. [단행본] 정광희 / 2009 / 일본사례를 통해 본 입학사정관제 운영방향과 과제 / KEDI Position Paper : 1 ~
  • 18. [학술대회] 정광희 / 2009 / 입학사정관제의 성공적 정착을 위한 정책 방안 탐색 / 제3회 청람교육포럼 : 1 ~
  • 19. [보고서] 정일환 / 2008 / 입학사정관제도의 활성화를 위한 법적 제도적 방안 탐색
  • 20. [보고서]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2009 / 2009년 입학사정관제 지원 사업 실행계획
  • 21. [기타]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2010 / 대학의 자율적 입학사정관제 운영방안 발표 / 한국대학교육협의회
  • 22. [단행본] Bernthal, P. / 2004 / ASTD competency study: Mapping the future / ASTD Press
  • 23. [학술대회] Henderson, S. E / 1998 / Competencies and training, In Handbook for the college admissions profession / Greenwood Press : 37 ~
  • 24. [보고서] Johnston, K / 2008 / How U. S. Institutions of higher education select undergraduate students: Focusing on medium sized but specialized university : 33 ~
  • 25. [단행본] Klein / 2004 / Instructor competencies: standards for face-to-face, online, and blended settings / IAP
  • 26. [단행본] Swann. C. C / 1998 / Handbook for the college admissions profession / Greenwood Press
  • 27. [단행본] Swanson, R. A / 1994 / Analysis for improving performance: Tools for diagnosing organizations and documenting workplace expertise / Berrett-Koehl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