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한국농수산대학의 개편 요구 분석

Needs Analysis for Reorganization of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약어 : -
2010 vol.42, no.3, pp.81 - 108
DOI : 10.23840/agehrd.2010.42.3.81
발행기관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연구분야 : 교육학
Copyright © 한국농·산업교육학회
132 회 열람

이 연구는 국내 유일의 생산중심 농업인력 양성을 목적으로 설립된 국립한국농수산대학의 발전방향 모색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해 우리나라의 농림수산식품업 현황 및 정책의 변화를 분석하고, 한국농수산대학 내부구성원을 대상으로 개편 요구분석을 실시하였다. 우선 농림수산식품업의 인력 및 산업 현황, 미래 인력 수요, 정책동향 등은 관련 내부자료 및 보고서, 학술논문, 통계 자료 등을 통해 분석하였고, 한국농수산대학 관계자들의 개편에 대한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교수, 교직원, 재학생과 졸업생을 대상으로 대학의 방향, 학과 개편, 교수 역량 강화, 학생 선발, 교육과정 개편, 시설 및 기관, 졸업생 지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농수산대학은 인력수요와 정부정책에 부응하여 농업, 임업, 수산업, 식품업 네 분야의 생산 중심 인력 양성 기관의 역할이 요구되었다. 임업, 수산업, 식품업 관련 학과의 신설이 필요하다. 둘째, 한국농수산대학의 설립 목적과 정체성을 유지하면서 2, 3차 산업의 교육 기회 확대가 요구된다. 2, 3차 산업 분야 과목을 개설하여 부전공의 형태로 운영이 가능하다. 셋째, 장기현장실습은 전공을 고려한 기간의 탄력적 운영과 졸업생의 현장교수 임용 확대 등을 통해 내실 있는 운영이 요구된다. 넷째, 의무영농기간 동안의 관리와 증가하는 졸업생의 지원을 보다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졸업생 관리 및 지원 전담부서의 설치가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industry in Korea, the policies of MFAFF(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and the needs for reorganization of KNCAF(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which is the only national college established to cultivate agricultural labor force, for seeking development strategies of KNCAF. In advance, we analyzed the industry trend, the human resource trend, the human resource demand, reports, thesis and statistical data of MFAFF. Then, we conducted survey on the issues about the direction of KNCAF's strategy, reorganization of departments, reinforcing competency of professors, student selection, reforming curriculum, the establishment of institution and a guidance of graduates to understand the needs on reorganization. The results from this research were made as follows. First, KNCAF is asked for the role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stitution in regard to the four parts such as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to meet the demand of human resource development and the government policies. Therefore, it needs to establish the related departments of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ies. Second, it is required to expand educational opportunities for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as maintaining establishment purpose and identity of KNCAF. The subjects about the secondary and tertiary industries could be operated as minor curriculum. Third, a long-term practicum needs to be managed substantially through the flexible operation considering major, and by expanding recruitment of workplace professor among its graduates. Forth, it is asked to establish department exclusively for administration and supporting graduates. It needs to support their students efficiently during the mandatory agriculture period as the number of graduates is increasing.

한국농수산대학, 요구 분석
Korea National College of Agriculture and Fisheries, Needs Analysis

  • 1. [학술대회] 관계부처합동 / 2004 / 해양수산발전기본계획-해양한국(OCEAN KOREA)21 연동계획
  • 2. [단행본] 김병률 / 2009 / 신농업 비전과 전략 / 한국농촌경제연구원
  • 3. [단행본] 김진모 / 2006 / 농어업인 교육정책 혁신 / 농업ㆍ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 4. [학술지] 김진모 / 2009 / 농과대학 영농정착교육과정의 평가 결과 및 개선 방안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1 (4) : 21 ~ 4 kci
  • 5. [단행본] 나승일 / 2004 / 한국농업전문학교 정밀진단 및 개편방안 / 서울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 6. [단행본] 농림수산식품부 / 2008 / 2008 농림수산식품 통계연보 / 농림수산식품부
  • 7. [보고서] 농림수산식품부 / 2008 / 2008 농업농촌 및 식품산업에 대한 연차보고서
  • 8. [단행본] 농어업선진화위원회 / 2009 / 농어업 교육체계 개편(안) / 농림수산식품부
  • 9. [보고서] 산림청 / 2008 / 2008 업무계획
  • 10. [보고서] 산림청 / 2008 / 2008년도 산림과 임업 동향에 관한 연차보고서
  • 11. [학술지] 이용환 / 2008 / 농ㆍ공 복합계열 전문계 고등학교의 특성화 발전 방안- 고양고등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 /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 40 (2) : 115 ~ 2 kci
  • 12. [단행본] 정철영 / 2008 / 한국농업대학 학사학위 수여 전공심화과정 개설을 위한 연구 / 한국농업대학
  • 13. [보고서] 통계청 / 2005 / 농림어업총조사
  • 14. [단행본] 통계청 / 2008 / 연도별 국민총생산 및 농림어업 / 통계청
  • 15. [단행본] 통계청 / 2008 / 2008년 농업 및 어업 조사 결과 / 통계청
  • 16. [단행본] 한국농업대학 / 2009 / 한농대 경쟁력 강화방안 / 한국농업대학
  • 17. [보고서] 한국농업대학 교수부 / 2008 / 한국농업대학 발전방안(TF팀 보고서)
  • 18. [인터넷자료]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 / 어가소득
  • 19. [인터넷자료] 한식세계화연구단 / 농촌생활지표(식품산업 및 영양부문)
  • 20. [단행본] OECD / 2006 / New OECD activity on recognition of non-formal and informal learning guidelines for country participation / OECD
  • 21. [단행본] UNESCO / 2005 / Recognition, validation and certification of informal and non-formal learning / UNESC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