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44.109.75
3.144.109.75
close menu
KCI 등재
<괴화긔록(槐花記錄)> 연구
A study on the Korean classical novel Goe-Hwa-Gi-Rok(槐花記錄)
김유진 ( Kim Yu-jin )
고소설연구 46권 349-378(30pages)
DOI 10.23836/kornov.2018.46.349
UCI I410-ECN-0102-2019-800-001774808

본고를 통해 제2책만 전한다고 알려졌던 <괴화긔록>의 제1권의 소재를 파악하게 됨으로써 작품의 서사를 전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되었다. <괴화긔록>은 평안도 향산동의 만송당 한만헌에 의해 1925년에 필사된 작품인데 고소설의 외양을 보여주고 있으나 근대에 창작된 구소설 계열의 작품으로 분류할 수 있다. 서사의 대략은 악한 자에 의해 선한 자가 위기에 처하게 되나 천지신명의 도움으로 악한 자가 징치되고 가문이 만년향복을 누린다는 것이다. <괴화긔록>은 야담의 편폭을 확장하는 방식으로 창작되었으며 신소설과 구소설의 혼성적 문체를 보여주고 있다. 남성은 충효를, 여성은 효열을 겸전해야 한다고 강조하는 점은 작품의 의고적 면모를 보여주는 것이고, 선과 악의 대립과 갈등이 천지신명에 의해 선의 승리로 귀결된다고 주장하는 점은 작품의 낙관주의를 보여주는 것이다.

Through this study, we can identify the location of the first volume of the Goe-Hwa-Gi-Rok(槐花記錄) known to exist only the second volume, so that can understand the whole story of text. In 1925, this novel was transcribed at the northwestern region of Korea. It has the characteristics of a classic novel of the Chosun Dynasty, but can be categorized as a pseudo-classical novel. It is based on the ancient short stories of the Chosun Dynasty, that was expanded. Its style is a case of imitative archaism, this novel teaches the good always wins with the help of Heaven in the conflict between the good and the evil. By this work, we can recognize the novels in the 1920’s has the character of imitative archaism and optimism to those days reality.

1. 서론
2. 서사 경개와 창작 의식
3. 서사의 구축 방식
4. 소설사적 위상
5. 결론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