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미래 한국불교를 위한 묘공대행의 생애와 사상 재조명 -탄신 100주년 전시회를 가정하여-

Illuminating Myogong Daehaeng’s Life and Philosophy for Future Korean Buddhism -Assuming an Exhibition Commemorating the 100th Anniversary of Her Birth-

한마음연구
약어 : 한마음연구
2022 vol.9, pp.353 - 392
DOI : 10.23217/jhms.9..202208.006
발행기관 : 대행선연구원
연구분야 : 불교학
Copyright © 대행선연구원
인용한 논문 수 :   -  
3 회 열람

이 글은 묘공대행(1927~2012)의 탄신 100주년을 맞아 전시회를 가정하여 생애와 사상을 재조명한 글이다. 묘공대행은 행적상 여러 가지 난점이 있으므로 연대기적으로 전시회를 구성하는 일반적인 경우와 다르게 묘공대행의 핵심적인 사상과 활동 양상으로 전시 섹션을 구성하였다. 묘공대행이 스스로 본래면목을 깨달았고, 다른 이의 몸과 마음을 치유하기 위해 일대일로 마주하는 법문 형식을 주로 하였다는 점에서 “자성불을 마주하다.”를 전시회의 대주제로 정하고 네 가지 섹션을 구성하였다. 첫째, ‘한마음과 본래성불’ 섹션은 묘공대행을 한국선의 전통 속에 자리매김하는 부분이다. 묘공대행을 대표하는 사상을 본래성불의 입장에서 해석하고 그에 따라 행적과 사상을 설명하고 관련 법어를 드러내는 것이다. 둘째, ‘오공과 보현행’ 섹션은 묘공대행의 실천 교화면을 한국불교의 전통 속에 자리매김하는 부분이다. 묘공대행의 오공의 ‘공共’을 화엄에 기반한 보현행으로 해석한다. 셋째, ‘몸의 과학 마음의 과학’ 섹션은 묘공대행이 시대의 방편으로 과학을 채용했음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넷째, ‘미디어, 소통, 신도’ 섹션은 1980년대부터 본격적으로 미디어를 활용한 묘공대행의 모습을 설명하는 부분이다. 묘공대행이 수많은 사람을 일대일로 대면하는 방식이 바로 영상이거나 지면 등의 미디어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묘공대행이 신도와 소통하는 방식 덕분에 한마음선원의 신도체계가 굳건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묘공대행의 생애와 사상을 재조명함으로써 그녀와 한마음선원을 한국불교의 흐름 속에 자리매김하는 동시에, 한마음선원의 소통 양식과 신도체계가 향후 한국불교 미래의 모델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묘공대행, 탄신 100주년 전시회, 한마음, 본래성불, 보현행, 과학, 미디어, 미래 한국불교

  • 1. [단행본] / 2016 / 한마음요전 / (재)한마음선원
  • 2. [단행본] / 2012 / 만공에 핀 꽃은 청산을 울리고 / (재)한마음선원
  • 3. [단행본] 김정빈 / 1985 / 도 : 김정빈 구도소설 / 글수레
  • 4. [단행본] 김정빈 / 1986 / 無 : 大行스님法語集 / 글수레
  • 5. [단행본] 김차리 / 1973 / 씨앗을 뿌리며 : 利生傳記 / 보련각
  • 6. [단행본] 원택 / 2012 / 성철 큰스님 행장 / 글씨미디어
  • 7. [단행본] 해주 / 1993 / 의상화엄사상사연구 / 민족사
  • 8. [단행본] 혜선 / 2013 / 한마음과 대행선 / 운주사
  • 9. [학술지] 강문선(혜원) / 2018 / 대행선에 관한 일고: “한마음요전”을 중심으로 / 한마음연구 / 1
  • 10. [학술지] 권탄준 / 2021 / 화엄사상과 대행선 사상 / 한마음연구 / 6
  • 11. [학술지] 김광식 / 2018 / 대행의 행적에 나타난 혁신불교 / 한마음연구 / 1
  • 12. [학술지] 김방룡 / 2019 / 한국 선종사에 있어서 대행선의 위상과 의의 / 한마음연구 / 3
  • 13. [학술지] 김방룡 / 2021 / 조사선의 관점에서 바라본 대행의 선사상 / 한마음연구 / 6
  • 14. [학술지] 김호귀 / 2018 / 대행선 형성의 사상적 배경: 본래성불사상과 관련하여 / 한마음연구 / 1
  • 15. [학술지] 김호귀 / 2019 / 대행선 수증관의 구조와 원리 / 한마음연구 / 2
  • 16. [학술지] 김호귀 / 2021 / 대행선과 묵조선 수행의 심리적 성격 고찰 / 한마음연구 / 7
  • 17. [학술지] 박보람 / 2021 / 여래장과 여래출현을 통해 본 대행선의 수행관 / 한마음연구 / 7
  • 18. [학술지] 박소령 / 2018 / 대행의 한마음사상에 나타난 교리적 근거 고찰 / 한마음연구 / 1
  • 19. [학술지] 박소령 / 2019 / 대행의 주인공 관법에 대한 고찰 / 한마음연구 / 2
  • 20. [학술지] 신명희(정운) / 2019 / 大行語錄에 나타난 無心思想 / 한마음연구 / 2
  • 21. [학술지] 오경후 / 2019 / 한국 선종사에서 대행선의 가치 / 한마음연구 / 3
  • 22. [학술지] 오용석 / 2020 / 대행선사의 간화와 주인공 관법에 대한 고찰 / 한마음연구 / 4
  • 23. [학술지] 이덕진 / 2018 / 대행 주인공에 대한 일고찰 / 한마음연구 / 1
  • 24. [학술지] 이평래 / 2018 / 한마음을요체로한대행선에관하여 / 한마음연구 / 1
  • 25. [학술지] 이현중 / 2021 / 나툼과 회향을 통해 본 대행의 삼공 / 한마음연구 / 7
  • 26. [학술지] 정광균(법상) / 2019 / 묘공대행의 수행체계와 자비교화에 대해서 / 한마음연구 / 2
  • 27. [학술지] 차차석 / 2018 / 대행의 오공의식에 나타난 사상적 특징과 연원 고찰 / 한마음연구 / 1
  • 28. [학술지] 최원섭 / 2017 / 방송 매개 전법을 위한 불교 콘텐츠 구성 방향 / 전법학연구 / 11
  • 29. [학술지] 최원섭 / 2019 / 퇴옹성철의 대중법어와 방편의 활용 / 불교와 사회(구 불교사상과 문화) / 11 (1) : 87 ~ 1 kci
  • 30. [학술지] 최원섭 / 2022 / 금하광덕의 도심포교와 보현행원 / 보조사상 (62) : 11 ~ 62 kci
  • 31. [학술지] 황금연 / 2019 / 대행선사의 선수행관에 관한 연구 / 한마음연구 /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