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본고에서는 불교 교리의 다양성이라는 측면에서 불교의 사상적 흐름을 소개하고자 한다. 불교 학파 중 4세기 이전부터 강한 영향력을 발휘했던 정량부와 독자부의 ‘개아(pudgala)론’과 관련한 맥락을 살펴보고, ‘개아론’이 계율 및 수행도 등과 관련한 맥락에서 비롯되어서 어떤 행위를 한 이가 그 결과를 받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한다는 점을 언급하였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논의가 불교 내 다른 학파로부터 ‘무아설’과 상충되는 고정적이고 불변하는 ‘자아’로 비판받았다는 점도 거론하였다. 그리고 정량부 출신의 진제가 동아시아에서 ‘아말라식’과 ‘여래장’, 그리고 『대승기신론』의 ‘진여’를 선양하였다는 점에서 정량부와 독자부의 ‘개아론’이 이러한 개념들과 일정 부분 연결되어 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도 논의하였다. ‘무아’의 가르침과 『팔천송반야경』에서 설한 ‘다르마(dharma)의 비실재성’이라 명명할 수 있는 ‘대승환영주의’와 중관학자가 피력하는 ‘모든 다르마의 자성이 공하다’는 가르침이 설일체유부에서 주장하는 ‘다르마에 자성이 있다’는 입장과 대비되는 입장임을 언급하였다. 그리고 『보성론』에서는 기존의 중관학자들처럼 ‘모든 다르마의 자성에는 고정적인 실체가 없다’는 것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비본질적인 번뇌가 공하다는 점’을 피력하고 있음도 밝혔다. 어쩌면 불교는 ‘무아’와 ‘개아’, ‘자성’과 ‘무자성’, ‘다르마의 공’과 ‘번뇌의 공’이 서로 긴장관계를 구축해 온 역사일지도 모른다. 끝으로 ‘ 대중의 삶을 외면한 ‘산중불교’라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대중 불교’와 ‘생활 불교’라는 당시의 시대적인 화두를 표방하고 새로운 수행공동체를 선보였던, 카리스마 있는 지도자였던 대행은 ‘주인공’과 ‘한마음’이라는 키워드로 자신의 수행법을 대중들의 눈높이에 맞춰서 널리 보급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키워드

교리의 다양성, 뿌드갈라, 공, 여래장, 한마음, 주인공, 대행

참고문헌(23)open

  1. [기타] / 南海寄歸內法傳 (T54)

  2. [기타] / 大方等大集經 (T13)

  3. [기타] / 大般涅槃經 (T374)

  4. [단행본] / 2016 / 한마음요전 / (재)한마음선원

  5. [단행본] P. L Vaidya / 1960 / Aṣṭasāhasrikā Prajñāpāramitā with haribhadra's commemtary called Aloka / The Mithila Institute of Post-Graduate studies and Research in Sanskrit Learning

  6. [단행본] Johnston, E.H. / 1950 / The Ratnagotravibhāgavyākhyā / The Bihar Research Society

  7. [단행본] 시모다 마사히로 / 2018 / 열반경 연구 : 대승경전의 연구방법시론 / 씨아이알

  8. [단행본] 안성두 / 2011 / 보성론 / 씨아이알

  9. [학술지] 우혜란 / 2011 / 젠더화된 카리스마 ― 한국의 여성 종교지도자들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종교연구 (62) : 71 ~ 110

  10. [단행본] 에띠엔 라모뜨 / 2006 / 인도불교사2 / 시공사

  11. [단행본] 이종철 / 2015 / 구사론 계품·근품·파아품 / 한국학중앙연구원

  12. [학술지] 최경아 / 2015 / 인도불교에서 개아론자의 출현과 의미 / 인도연구 20 (1) : 75 ~ 102

  13. [학술지] 최경아 / 2017 / <삼미지부론>에 나타난 개아론자의 학설 / 불교학보 (79) : 9 ~ 32

  14. [학술지] 가라시마 세이시 / 2014 / 누가 대승(mahāyāna) 경전을 창작하였는가? — 대중부(大衆部) 그리고 방등(方等, vaitulya) 경전 — / 불교학리뷰 (16) : 9 ~ 96

  15. [단행본] 폴 윌리암스 / 2009 / 인도불교사상 / 씨아이알

  16. [단행본] 船山徹 / 2012 / 眞諦三藏硏究論集 / 京都大學人文科學硏究所

  17. [학술지] Chau, Thich Thien / 1984 / The Literature of the Pudgalavadins /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ssociation of Buddhist Studies 7 (1)

  18. [학술지] Chen, Jinhua / 2004 / The Indian Buddhist missionary Dharmaksema (385-433): A New Dating of His arrival in Guzang and of His translations / T'oung Pao 90 (4)

  19. [학술지] Frauwallner, Erich / 1951 / On the date of the Buddhist Master of the Law Vasubandhu / Serie Orientale Roma Ⅲ

  20. [학술지] Harrison, Paul / 1993 / The Earliest Chinese Translations of Māhayāna Buddhist Sutras: Some Notes on the Works of Lokakṣema / Buddhist studies review 10 (2)

  21. [단행본] Gethin, Rupert / 1998 / The Foundations of Buddhism / Oxford University Press

  22. [단행본] Lüders, Heinrich / 1912 / Appendix to Epigraphia Indica and Record of the Archaeological Survey of India, Vol. X: A List of Brahmi Inscriptions from the Earliest Times to about AD 400 with the Exception of Those of Asoka / Superintendent Government Printing

  23. [학술지] Schmithausen, Lambert / 1976 / On the Problem of Relation of Spiritual Practice and Philosophical Theory in Buddhism / German Scholars on India-Contributions to Indian Studies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