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택견청소년교육의 미래지향적 방향

Future-oriented Directions of the Teens’ Education in Taekkyeon

무형유산학
약어 : -
2019 vol.4, no.2, pp.411 - 431
DOI : 10.23207/ihs.2019.4.2.013
발행기관 : 무형유산학회
연구분야 : 인문학
Copyright © 무형유산학회
0 회 열람

유네스코를 포함한 국제사회는 유형문화재의 보호 활동에서 벗어나 무형문화유산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있으며, 지속가능한 미래를 이룩하기 위한 도구로 지속가능한 교육과 무형유산의 역할을 기대하고 있다. 무형유산은 정체성의 고양과 문화 다양성을 진작함으로서 인류의 창조성을 촉진시키고, 근본적인 인간 삶을 개선하는 가치를 지니고 있기 때문에 무형유산의 필요성은 더욱 제기된다. 또한 무예는 단순히 힘과 기술의 우위를 겨루는 것이 아니라 예의와 도덕을 배우는 인간교육으로 인간성 회복이라는 현대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기본적인 개념이 내포되어있다. 그러므로 무예수련을 통해 평화와 인류공영에 이바지하는 것이 무예수련의 본질적인 목표라 할 수 있다. 이렇듯 무형유산과 무예는 현시대에서 필요로 하는 지속가능한 청소년교육과 평화의 매개체로 활용될 수 있는 다양한 가치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무형유산과 무예의 특성을 모두 지니고 있는 대한민국의 택견은 1983년 6월 한국의 무예 중에서 처음으로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2011년 11월 무예부문 세계최초로 인류무형유산 대표목록에 등재되었다. 현재 택견은 사단법인 국가무형문화재 택견보존회에 의해 전승 보급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여러 국가에 택견을 보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택견의 다양한 교육시스템을 살펴보고 지금까지 해외의 여러 국가에서 청소년 대상으로 실시된 택견교육의 사례를 정리하여 각 사례별 교육의 장점과 단점을 파악하여 인간과 공동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육 가치를 추구하는 관점에서 택견 청소년교육의 미래지향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택견, 청소년교육, 택견교육, 미래교육, 무형문화유산, 국가무형문화재
Taekkyeon, Teens’ Education, Taekkyeon Education, Future Educatio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s,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 1. [학위논문] 강다연 / 2018 / 융의 인격론을 통한 청소년 인성교육에 관한 연구
  • 2. [학위논문] 권순영 / 2018 / 미래사회의 교육 가치에 관한 연구
  • 3. [학술지] 김용구 / 2016 / 지속가능개발과 한국무형문화유산정책 / 문화재 / 49 (3) : 256 ~ 3 kci
  • 4. [학위논문] 김광희 / 2014 / 한국의 무형문화유산 보전과 활용
  • 5. [학술지] 신종근 / 2012 / 월간문화재사랑-몸과 마음을 단련하는 우리의 전통무예 / 문화재청 월간지
  • 6. [학술지] 장경태 / 2016 / 청소년 인성교육 프로그램으로 전통무예 택견의 가치 탐색 / 한국스포츠학회 / 14 (2) : 15 ~ 2 kci
  • 7. [학술지] 한윤이 / 2013 / 국악교육에서 인성교육의 현황과 과제 / 국악교육 / 35 (35) : 175 ~ 35 kci
  • 8. [학위논문] 홍건표 / 2011 / 우리나라의 무형문화재 제도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중요무형문화재를 중심으로
  • 9. [보고서] 문화재청 / 2016 / 2016년도 전수교육관 활성화 사업 모니터링 용역 보고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