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후보

민주적 거버넌스는 어떻게 실현 되는가: 독일 연방정치교육원과 스웨덴 성인교육위원회 사례를중심으로

How Democratic Governance Works?: The Case of 'Federal Center for Political Education' of Germany and 'Adult Education Council' of Sweden

NGO연구
약어 : -
2017 vol.12, no.3, pp.1 - 32
DOI : 10.23193/kngos.2017.12.3.1
발행기관 : 한국NGO학회
연구분야 : 사회과학일반
Copyright © 한국NGO학회
8 회 열람

본 연구는 시민들의 실질적인 관여에 기반한 민주적 거버넌스가 실현되는 기제와 과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시민교육에 관한 업무를 수행하는 거버넌스기구인 독일 연방정치교육원과 스웨덴 성인교육위원회 등 두 가지 사례를 분석함으로써 민주적 거버넌스의 실현에 관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독일 연방정치교육원의거버넌스 구조는 시민사회의 의사를 잘 반영하는 정당민주주의와 결부돼 있다. 정당정치 기제를 통해 정권에 따른 교육의 관제화를 견제하고, 관련주체들 간의 합의하는 과정이 이루어진다. 스웨덴 성인교육위원회의 경우 시민사회의 의사가 공적의사결정으로 직접 이어진다. 광범위한 학습공동체들을 통해 시민들의 의사가 발현되고 이들이 소속된 시민교육 기관/단체들을 통해 의사가 수렴되는 결사체민주주의와 시민교육 기관/단체들의 연합체들이 파견한 대표들에 의해 성인교육위원회의공적 의사결정이 내려지는 조합주의가 거버넌스의 주요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mechanism and process which makes democraticgovernance based on effective civic engagement. I examine two cases ofgovernance institute for civic education; 'Federal center for politicaleducation'(FPE) of Germany and 'Adult education council'(AEC) of Sweden. Then Iget some insights on how works democratic governance. Governance structuresof FPE involve party democracy which represent civil society. With thismechanism of party politics, Germans control educational manipulation bygovernance and make consensus on political education. In case of AEC, adecision of civil society is regarded as a public decision on adult education. Opinions of citizen formed through study circles, and represented by variouseducation organizations and umbrella organizations; Associative democracymechanism. Then representatives from each umbrella organizations makedecisions as a public decision; Corporative mechanism.

민주적 거버넌스, 거버넌스 구조, 연방정치교육원, 성인교육위원회, 정당정치, 시민사회
Democratic governance, governance structure, Federal center for political education, Adult education council, Party politics, Civil society

  • 1. [학술대회] 가레펠트 / 2010 / 스웨덴의 시민교육과 민주주의 / 2010 선거연수원 민주시민교육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 113 ~
  • 2. [학술지] 김선혁 / 2011 / 정부의 질과 시민사회: 비판적 검토와 지표 개발을 위한 시론 / 정부학연구 / 17 (3) : 49 ~ 3 kci
  • 3. [학술지] 김의영 / 2012 / 포스트 신자유주의 시대의 한국 정치: 거버넌스의 정치에 대한 소고 / 한국과 국제정치 / 28 (1) : 185 ~ 1 kci
  • 4. [학술대회] 노르드발 / 2008 / 세계 정의의 동향과 스웨덴 국립 시민교육 간의 상호작용 / 2008 선거연수원 민주시민교육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 181 ~
  • 5. [학술대회] 리세 / 2015 / 스웨덴 시민교육에 관한 발표 및 토론 / 2015 서울 민주주의 포럼 시민교육 세션
  • 6. [학술대회] 망누손 / 2010 / 메드보르가스콜란의 성인교육에 관한 간략한 설명 / 2010 선거연수원 민주시민교육 국제심포지엄 자료집 : 77 ~
  • 7. [단행본] 선학태 / 2011 / 사회적 합의제와 합의제 정치 / 전남대학교출판부
  • 8. [학술지] 송경재 / 2007 / 한국의 정치적 기회구조 변동과 시민주도 거버넌스에 관한 소고 /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12) : 270 ~ 12 kci
  • 9. [단행본] 쉴레 / 2009 / 보이텔스바흐 협약은 충분한가? /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 10. [학술지] 신두철 / 2005 / 독일의 정치사회화와 정치교육 / 한독사회과학논총 / 15 (1) : 41 ~ 1 kci
  • 11. [학술지] 신희영 / 2005 / 민주적 로컬 거버넌스 구성과 지방정부 /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 16 (3) : 1 ~ 3 kci
  • 12. [학술지] 이명석 / 2006 / 거버넌스 이론의 모색: 민주행정이론의 재조명 / 국정관리연구 / 1 (1) : 36 ~ 1
  • 13. [학술지] 이헌근 / 2010 / 스웨덴 정치발전의 경험과 가치 공유: 평등, 여성, 시민교육 그리고 ‘건강한 사회’의 상관성을 중심으로 / 국제지역학논총 / 3 (1) : 51 ~ 1
  • 14. [학술대회] 임지순 / 2017 / 서울민주시민교육네트워크 2017년 활동의 성과와 과제 / 시민교육 활동가 2차 워크숍 자료집
  • 15. [학술대회] 장수찬 / 2016 / 한국 민관협치의 현재 : 민관협치의 생태계와 수준을 중심으로 / 2016년 한국NGO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문
  • 16. [학술지] 주성수 / 2008 / 민주적' 거버넌스와 시민사회: 시민사회 파트너십을 중심으로 / 시민사회와 NGO / 6 (1) : 5 ~ 1 kci
  • 17. [학술지] 차동욱 / 2008 / 의회민주주의, 법치주의, 그리고 거버넌스 참여 / 현대사회와정치평론 / 2 : 51 ~
  • 18. [학술지] 최영돈 / 2014 / 독일통일과 장기적 과정으로서의 사회통합: 독일 연방정치교육원의 역할을 중심으로 / 기업경영리뷰 / 5 (2) : 89 ~ 2 kci
  • 19. [학술지] 하승우 / 2011 / 생활정치와 로컬 거버넌스의 민주적 재구성 / 경제와 사회 (90) : 12 ~ 90 kci
  • 20. [보고서] 한숭희 / 2005 / 북유럽 평생학습정책 추진 사례분석을통한 한국의 평생학습추진 전략 수립 연구
  • 21. [학술지] 홍성태 / 2007 / 한국 시민사회의 정치사회적 거버넌스와 정부-NGO 관계-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의 사례를 중심으로 - / 사회연구 / 8 (1) : 73 ~ 1 kci
  • 22. [단행본] 후쿠야마 / 1996 / 트러스트 / 한국경제신문사
  • 23. [학술지] Ansell, C. / 2007 /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 and Practice / JPART / 18 (4) : 543 ~ 4
  • 24. [단행본] Aucoin, P. / 2000 / Governan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Revitalizing the Public Service /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 244 ~
  • 25. [단행본] Brinkerhoff, D. / 1998 / Democratic Governance and Sectoral Policy Reform / USAID
  • 26. [학술대회] Cheema, G. Shabbir / 2007 / Linking Governments and citizens through democratic governance / UN. Public Administration and Democratic Governance: Governments Serving Citizens. 7th Global Forum on Reinventing Government Building Trust in Government : 29 ~
  • 27. [학술지] Coston, Jennifer. M. / 1998 / Administrative avenues to democratic governacne:the balance of supply and demand / Public Administration and Devolopment / 18 (0) : 479 ~ 0
  • 28. [인터넷자료] Court, Julius. / World Governance Survey Discussion Paper 3: Governacne Performance: The Aggregate Picture
  • 29. [인터넷자료] Diamond, Larry / Advancing Democratic Governance: A Global Perspective on the Status of Democracy and Directions for International Assistance
  • 30. [학술대회] Fukuda-Parr, Sakiko / 2002 / Governance: Past, Present, Future:Setting the governance agenda for the Millennium Declaration / Draft paper for Fourth Global Forum: Dialogue and Partnerships for the Promotion of Democracy and Development
  • 31. [기타] Gill, Mel / 2009 / Seven pillars of democratic governance / Charity channel &Canadian fundraiser
  • 32. [단행본] Kooiman, J. / 1993 / Debating governace / Oxford University Press
  • 33. [학술지] Rhodes, R. A. W. / 1997 / The new governance: Governing without government / Political Studies / ⅩLⅠⅤ : 652 ~
  • 34. [학술대회] Rondinelli, Dennis A. / 2007 / Governments Serving People: The Changing Roles of Public Administration in Democratic Governance / UN. Public Administration and Democratic Governance: Governments Serving Citizens. 7th Global Forum on Reinventing Government Building Trust in Government : 1 ~
  • 35. [단행본] Sabel, Charles F. / 2001 / A Quiet Revolution of Democratic Governance:Towards Democratic Experimentalism / OECD. Governance in the 21st Century : 121 ~
  • 36. [보고서] Tjip Walker, S. / 1995 / Democratic governance and sectoral work: Toward programmatic integration
  • 37. [인터넷자료] UNESCAP / What is Good Govern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