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

나다(nāda)는 내면에서 들리는 소리로, 북을 치듯 부딪쳐서 들리는 소리가 아니라 부딪치지 않고 울리는 신비로운 소리(秘音)이다. 비음명상의 목표는 다양하고 미세한 비음을 듣는 것이 아니라, 비음마저 소멸시키는 것이고, 최종에는 비음이 소멸될 때 비음에 묶인 마음도 소멸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는 HP의 최종 목표와도 같다. 마찬가지로 고전요가에서도 마음의 작용을 멈추는 것을 요가(YS1.2)라고 하고 이것을 고전요가의 목표로 삼는다. 하지만 고전요가에서 마음작용의 멈춤은 제감, 응념, 선정으로 이어지는 심리 수행의 심화과정을 통해 삼매가 성취된다고 하는 반면 하타요가에서는 쁘라나를 소멸함으로써 쁘라나와 함께 작용하는 마음이 소멸된다고 한다. 이처럼 두 요가 체계는 마음을 소멸하는 방법론에 있어서 다소 차이가 있다. 하지만 비음명상은 하타요가가 주로 추구하는 방법론과는 다른 쁘라나의 소멸이 아닌 비음의 소멸을 마음소멸의 방편으로 삼는다. 더욱이 비음명상이 고전요가의 팔지요가와 함께 언급되는 것은 비음이라고 하는 소리에 집중하고 그 소리가 최종에는 사라지고 마음이 소멸된다고 하는 일련의 행법들이 고전요가에서 하나의 대상이 집중을 하고 집중의 상태가 길어지고 깊어지면 종국에는 그 대상마저 사라진 상태를 삼매라고 하는 것과 방법론적 측면에서 유사하다. 따라서 거친 소리에서 미세한 소리로 궁극에는 비음의 소멸까지가 고전요가의 팔지요가에서 제감부터 명상에 이르는 삼매를 성취하는 방법으로 설명이 가능하다. 물론 비음명상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먼저 결절이 뚫리고 그 내면의 소리, 즉 수슘나에서 들리는 소리를 듣고 그리고 그 너머의 소리의 소멸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아사나, 무드라, 반다 그리고 쁘라나야마는 필수적이며 선행되어야 한다.

키워드

비음, 명상. 하타요가, 고전요가, 삼매

참고문헌(15)open

  1. [기타] / HP Haṭhapradīpikā

  2. [기타] / YS Yoga Sūtra

  3. [단행본] Arjunwadkar / 2006 / Yogasūtra of Patañjali with the Bhāṣya of Vyāsa commented on by VāchaspatiMiśra / Bhandarkar Oriental Research Institute

  4. [단행본] Feuerstein, G. / 1990 / Encyclopedic Dictionary of Yoga / Unwin Paperbacks

  5. [인터넷자료] Monier Williams / A Sanskrit-English Dictionary / Bharatiya G. N.

  6. [단행본] Swami Kaivalyadharma / 1998 / Haṭhayogapradīpikā of Svātmārām / Digambaraji

  7. [기타] Swami Maheshananda / 1991 / YOGAKOŚA / Kaivalyadhama S.M.Y.M. India

  8. [단행본] Rukmani, T. / 1981 / Yogavārttika of Vijñānabhikṣu, 4Vols / Mundhiram Manoharlal Publishers Pvt.

  9. [단행본] Woods J.H / 1981 / The Yoga System of Pantañjali English translation of the Pantañjala Yoga sūtras and Vyāsa bhāsya Vāchaspati Micra / Motilal Banarsidass Publisher PVT. LTD

  10. [단행본] 문을식 / 2013 / 요가 상캬 철학의 이해 / 여래

  11. [단행본] 박영길 / 2015 / 하타의 등불 / 세창출판사

  12. [단행본] 박영길 / 2019 / 하타요가 문헌연구 성립사와 고유한 수행론 / 도서출판 여래

  13. [단행본] 비야사 / 2010 / 요가수트라 주석 / 소명출판사

  14. [단행본] 아지트무케르지 / 1998 / 쿤달리니 / 동문선

  15. [학위논문] 장소연 / 2015 / 상캬와 요가 철학의 쁘라끄리띠와 독존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