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대 상해 이주 한국 문인의 상해 인식과 상해 지역대학의 영향

The Perceptions toward Shanghai of Korean Writers who Moved to Shanghai in Modern and the Influence of Shanghai Regional University

한국연구
약어 : 한국연구
2019 no.1, pp.187 - 214
DOI : 10.23073/riks.2019..1.006
발행기관 : (재)한국연구원
연구분야 : 기타인문학
Copyright © (재)한국연구원
인용한 논문 수 :   -  
8 회 열람

본 연구는 식민지 시대 한국 근대문학을 일국적 차원을 넘어서 동아시아적 지형 위에서총체적으로 살펴보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즉 국가나 민족 단위에 한정된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대상과 관점을 확대하여 근대 한국 문인들의 상해 이주 경험을 주목함으로써한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한 동아시아의 역사적 문제를 이해하고, 이를 토대로 당시 한국문인들이 상해에 머무르면서 어떠한 사상적 지점과 문학적 지향성을 형성했는지를 총체적으로 살펴보려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방향은 식민지 시대 한국 근대문학 연구의 외연을 확장하는 것일 뿐만 아니라, 급변하는 동아시아의 역사적 상황 속에서 한국 근대문인들의 대외 활동과 그에 따른 문학 활동의 국제주의적 시각을 이해하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식민지 시기 망명 혹은 독립 운동의 차원에서 상해로 이주했던 한국 근대 문인들의 이산(離散)의 경험을 실증적으로 규명함으로써, 서구적 근대정신과 문명적 세계 인식으로 표상된 상해의 도시문화적 성격이 당시 한국 근대문학 속으로 어떻게 유입되었는지를 이해하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식민지 한국 근대문학을 중국 상해에 거주했던 내부자 혹은 외부자의시선으로 바라보면서, 자발적이든 강제적이든 제국주의의 억압을 넘어서 조선인의 이주가 활발히 이루어졌던 상해의 역사적 장소성에 주목하여 식민지 시기 한국 문인들의상해 인식을 논의하였다. 또한 1920∼30년대 상해한인사회의 역사적 형성과 한국 문인들의 창작 활동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해서 독립운동사의 맥락에서 식민지 시기 상해 이주 한국 문인의 근대 인식과 상해한인사회의 디아스포라적 의미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당시 상해를 중심으로 형성된 대학과 한국 문인들의 교류와 영향 관계를 논의하기위해, 호강대학, 지강대학을 비롯한 화동(華東) 지역 대학의 역사와 교육 방침, 그리고상해 지역 유학생회 조직의 활동 등을 개괄적으로 정리하였다. 본 논문은 식민지 시기 상해 지역 한인사회사(韓人社會史)와 상해를 중심으로 전개된 중국 근대 역사의 변천에 대한 이해를 토대로 근대 상해 이주 한국 문인들의 정치사회적활동과 상해를 중심으로 한 중국의 근대에 대한 인식을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데 초점을두었다. 그리고 상해를 중심으로 한 근대 중국에 대한 인식이 상해로 이주한 한국 문인들의 문학 활동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이해함으로써, 근대 상해이주 한국 문인의 상해 인식과 상해 배경 문학 작품의 사회역사적 의미를 총체적으로 밝혀내는 것을 궁극적인 연구과제로 설정하였다.

상해, 동아시아, 중국, 호강대학, 지강대학, 주요한, 주요섭, 심훈, 김광주, 상해한인사회, 디아스포라
Shanghai, East Asia, China, Hujiang University, Zhigang University, Ju Yo-han, Ju Yo-seop, Shim Hun, Kim Kwang-ju, the Korean society, Diaspora

  • 1. [학술지] 김광주 / 1965 / 상해시절 회상기 (상) / 世代
  • 2. [기타] / 1920 / 上海大韓人居留民團의 過去及現在狀況 / 獨立新聞
  • 3. [기타] / 1926 / 동아일보
  • 4. [단행본] / 2000 / 심훈문학전집 ① 그날이 오면 / 차림
  • 5. [학술지] 국사편찬위원회 / 『韓國獨立運動史』 자료3(臨政篇)
  • 6. [학술지] 김성 / 1924 / 上海의 여름 / 개벽
  • 7. [학술지] 上海寓客 / 1920 / 上海의 解剖 / 개벽
  • 8. [학술지] 주요섭 / 1958 / 내가 배운 滬江大學 / 사조 / 1 (6)
  • 9. [학술지] 滬上居人 / 1935 / 上海印象記 / 新人文學
  • 10. [학술지] 홍양명 / 1931 / 上海風景, 누-란 事件 / 삼천리
  • 11. [학술지] 김해응 / 2009 / 한국 여행자 문학에 비친 중국 이미지 연구–한국 근대 여행자들의 상해 체험 / 조선-한국학연구론문집 / 19 : 180 ~
  • 12. [학술지] 니웨이(倪偉) / 2012 / ‘마도(魔都)’ 모던 / ASIA / 25 (여름) : 26 ~ 여름
  • 13. [단행본] 隊克勛(Clarence Burton Day) / 1999 / 之江大學 / 珠海出版社
  • 14. [학술지] 박경수 / 2014 / 주요한의 상해시절 시와 이중적 글쓰기의 문제 / 한국문학논총 (68) : 443 ~ 68 kci
  • 15. [단행본] 손과지 / 2011 / 上海韓人社會史 1910∼1945 / 한울
  • 16. [학위논문] 王立誠 / 1995 / 美國文化浸透與近代中國敎育–􇋧江大學的歷史
  • 17. [단행본] 張立程 / 2015 / 之江大學史 / 杭州出版社
  • 18. [학술지] 張文昌 / 1985 / 之江大學 / 浙江文史資料選輯 / 29
  • 19. [단행본] 정문상 / 2004 / 중국의 국민혁명과 상해학생운동 / 혜안
  • 20. [학술지] 조성환 / 2007 / 韓國 近代 知識人의 上海 體驗 / 중국학 (29) : 157 ~ 29 kci
  • 21. [학술대회] 하상일 / 2014 / 심훈과 중국 / 中韓日 文化交流 擴大를 위한 韓國語文學 및 外國語敎育硏究 國制學術會議 발표논문집 : 55 ~
  • 22. [학술지] 한기형 / 2007 / 백랑(白浪)의 잠행 혹은 만유-중국에서의 심훈 / 민족문학사연구 (35) : 438 ~ 35 kc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