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KCI 등재

732~733년 발해(渤海)와 당(唐) 전쟁의 전개 과정과 군사력

732~733 Development Process and Military Power of Balhae and Tang War

동북아역사논총
약어 : -
2023 no.80, pp.163 - 207
DOI : 10.23037/dyn.2023..80.005
발행기관 : 동북아역사재단
연구분야 : 역사학
Copyright © 동북아역사재단
인용한 논문 수 :   -  
99 회 열람

732~733년에 벌어진 발해와 당 전쟁은 신라, 돌궐, 거란 등이 참전한 국제 대전이었다. 양국의 대립은 흑수말갈 문제로 발생했고, 이는 대문예의 망명으로 더욱 심화되었다. 이후 당 현종은 「칙발해왕대무예서(勅渤海王大武藝書)」 1수를 통해 발해를 침공할 수 있음을 경고했고, 이에 무왕은 732년 9월 당의 등주를 선제공격한 것이었다. 당시 등주에는 동모수착(東牟守捉) 관병과 무기단병(武騎團兵)으로 구성된 3,853명 정도의 군사가 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위준묘지(韋俊墓誌)』를 통해 발해가 등주성(登州城)을 기습공격한 사실을 알 수 있었고, 여기에 투입된 발해군은 등주의 군사와 비슷한 4,000명 이내의 규모로 생각된다. 등주전투 이후 마도산 전투에서는 돌궐과 거란 등이 범양 지역을 공격하였고, 발해가 평로 지역을 공격한 것으로 보인다. 또 이 전투에 동원된 당의 군사는 범양군(范陽軍) 7만 900명, 평로군(平盧軍) 1만 300명 정도였고, 더욱이 흑수, 실위 기병 5,000이 당의 번병(蕃兵)으로서 평로 전선에 투입되기도 했다. 따라서 평로군과 흑수, 실위의 번병이 발해를 상대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전투에 투입된 발해의 병력은 평로군과 비슷한 1만 정도였을 것이다. 그리고 당은 함정 설치와 이이제이(以夷制夷) 전술을 주요 전략으로 발해군을 상대한 것으로 여겨진다. 733년에는 당의 요청으로 신라가 출병하여 발해 ‘南鄙(南境)’를 공격하는 일도 벌어졌다. 우선 신라군이 대설 등으로 인해 ‘無功以還’했다는 점을 볼 때, 신라가 출병하여 전투를 벌인 시기는 733년 겨울로 추정된다. 그리고 발해와 신라가 전투를 벌인 곳은 패강 북쪽이였을 것이다. 패강은 압록강 방면으로 향하는 요지였고, 압록강에는 발해가 당으로 향하는 조공도가 있었다. 따라서 당은 압록강의 길목을 차단할 목적으로 신라에게 출병을 요청한 것으로 볼 수 있겠다. 그리고 이 전투에 출병한 신라군은 대략 3만 정도였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삼국사기』와 『구·신당서』 등에는 645년과 819년 신라는 당의 요청으로 3~5만 정도의 군사를 보냈다고 한다. 이러한 사례를 통해 733년 발해와의 전투에 동원된 신라군은 3만을 넘지 않았을 것이다. 또한 발해도 이와 비슷한 병력으로 신라와 맞서 싸운 것으로 생각된다. 끝으로, 발해와 당이 전쟁 기간 중 물리적으로 충돌하였던 시간은 732년 9월부터 신라가 발해를 공격한 733년 겨울까지 대략 1년여 정도였음을 알 수 있다.

The Balhae and Tang Wars of 732~733 were international wars fought by Silla, Turuk, Khitan.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caused by the Heuksu-malgal problem and worsened by the exile of the gatekeeper. Later, the Tang warned Balhae that it could invade, and Balhae preemptively attacked the Deungzhou in September 732. At that time, it seems that there were about 3,853 soldiers in Deungzhou. And Balhae’s naval forces that attacked Deungzhou are thought to be within 4,000 people, similar to the military of Deungzhou. In the Battle of Mt. Mado in 733, Turuk and Khitan attacked the Beomyang area, and Balhae seems to have attacked the Pyeongro area. In addition, the party’s soldiers mobilized in this battle were 70,900 Beomyang and 10,300 Pyeongro soldiers, and moreover, they were deployed to the Pyeongro front as commanders per 5,000 Heuksu and Shilwi. In addition, Balhae’s military force in this battle was probably about 10,000, similar to the Pyeongro military, and the Tang is believed to have dealt with Balhae as its main strategy with the installation of ships and tactics using stray cars. In 733, Silla dispatched at the request of the Party and attacked the southern border of Balhae. It is estimated that Silla dispatched and fought in the winter of 733, and the place where the battle was fought was north of the Pae River. Because the Pae River was a key point toward the Amrok River, and the Amrok River had a tribute road to the Tang, so it may have been to block it. In addition, about 30,000 Silla soldiers participated in this battle, and Balhae is thought to have fought against Silla with similar forces. Finally, it can be seen that the physical conflict between Balhae and the Tang was about a year from September 732 to the winter of 733.

발해, 당, 등주, 마도산, 범양, 평로, 신라, 패강
Balhae, Tang, Deungzhou, Mt. Mado, Beomyang, Pyeongro, Silla, Pae River.

  • 1. [기타] / 謝不許北國居上表
  • 2. [기타] / 三國史記
  • 3. [기타] / 東文選
  • 4. [기타] / 後漢書
  • 5. [기타] / 隋書
  • 6. [기타] / 北史
  • 7. [기타] / 昌黎先生集
  • 8. [기타] / 韓愈集
  • 9. [기타] / 元和郡縣圖志
  • 10. [기타] / 舊唐書
  • 11. [기타] / 唐會要
  • 12. [기타] / 冊府元龜
  • 13. [기타] / 新唐書
  • 14. [기타] / 資治通鑑
  • 15. [기타] / 遼東行部志
  • 16. [기타] / 全唐文
  • 17. [기타] / 續日本紀
  • 18. [기타] / 高元珪墓誌
  • 19. [기타] / 韋俊墓誌
  • 20. [기타] / 烏氏廟碑銘
  • 21. [기타] / 張建章墓誌
  • 22. [기타] / 빌개가한비문
  • 23. [단행본] 김진광 / 2012 / 발해 문왕대의 지배체제 연구 / 박문사
  • 24. [단행본] 윤선태 / 2018 / 삼국통일과 화성지역 사람들 삶의 변화 / 화성시
  • 25. [단행본] 임상선 / 1990 / 渤海史의 理解 / 신서원
  • 26. [단행본] Talat Telkin / 2008 / 돌궐 비문 연구 / 제이앤씨
  • 27. [단행본] 韓圭哲 / 1994 / 渤海의 對外關係史-南北國의 形成과 展開 / 신서원
  • 28. [단행본] 毛阳光 / 2013 / 洛阳流散唐代墓誌彙编 / 国家圖書館出版社
  • 29. [단행본] 周紹良 / 1992 / 唐代墓誌彙編 / 上海古籍出版社
  • 30. [단행본] 周紹良 / 2001 / 唐代墓誌彙編續集 / 上海古籍出版社
  • 31. [단행본] 酒寄雅志 / 2001 / 渤海と古代の日本 / 校倉書房
  • 32. [학술지] 권은주 / 2009 / 靺鞨 7部의 實體와 渤海와의 關係 / 고구려발해연구 / 35 : 43 ~ kci
  • 33. [학술지] 권은주 / 2012 / 渤海武王代영역확장과 북방정세 변동 / 고구려발해연구 / 43 : 103 ~ kci
  • 34. [학위논문] 권은주 / 2012 / 渤海 前期 北方民族 關係史
  • 35. [학술지] 권은주 / 2013 / 발해의 등주공격을 통해 본국제동맹과 외교 / 역사와 세계 / 44 : 121 ~ kci
  • 36. [학술지] 김종복 / 1997 / 新羅 聖德王代의 浿江지역 진출 배경 / 成大史林 / 12·13合
  • 37. [학술지] 김종복 / 2010 / 발해와 당의 사신 파견을 통해 본 大門藝 亡命 사건의 추이 / 역사와경계 (76) : 1 ~ 76 kci
  • 38. [학술지] 김진한 / 2017 / 張行岌의 使行記事로 본 渤海의 對唐 및 突厥關係 / 대동문화연구 (97) : 145 ~ 97 kci
  • 39. [학술지] 문윤수 / 2022 / 10세기 渤海의 滅亡과 그 원인 - 契丹의 군사전략과 鐵利府·東平府 공격을 중심으로 - / 한국고대사연구 (105) : 277 ~ 105 kci
  • 40. [학술지] 박남수 / 2013 / 신라 聖德王代 浿江鎭 설치 배경 / 사학연구 (110) : 1 ~ 110 kci
  • 41. [학술지] 박원길 / 2019 / 돌궐 빌개 카간(Bilgä Qaγan) 비문 속의 한국고대사 관련기록 검토 : 특히 발해의 登州, 都山 전투를 중심으로 / 몽골학 (56) : 1 ~ 56 kci
  • 42. [학술지] 송기호 / 2022 / 渤海 武王代 對唐紛爭의 경과 검토-玄宗 勅書 4首와 馬都山 전투자료를 중심으로- / 韓國史論 / 68
  • 43. [학술지] 신범규 / 2021 / 8세기 전반 발해의 해양교통로와 제해권 범위 / 한국고대사탐구 (38) : 171 ~ 38 kci
  • 44. [학술지] 沈勝求 / 1995 / 渤海 武王의 政治的 課題와 登州攻擊 / 軍史 / 31
  • 45. [단행본] 윤선태 / 2018 / 삼국통일과 화성지역사람들 삶의 변화 / 화성시
  • 46. [학술지] 이영호 / 2010 / 金思蘭 : 唐을 선택한 망명자 / 복현사림 / 28
  • 47. [학술지] 임상선 / 2008 / 渤海國과 契丹의 교섭관계 재검토 / 고구려발해연구 / 32 : 145 ~ kci
  • 48. [학술지] 임상선 / 2020 / 732년 渤海와 唐의 戰爭 과정 재검토 / 동국사학 (69) : 149 ~ 69 kci
  • 49. [학술지] 임상선 / 2022 / 군사력·전략 측면에서 살펴본 732년 발해와 당의 전쟁 / 군사사연구총서 / 10
  • 50. [학술지] 조이옥 / 2000 / 8世紀 前半 新羅의 對渤海 攻擊과 浿江 / 東洋古典硏究 / 14
  • 51. [학술지] 辛时代 / 2018 / 韦俊墓志与渤海寇登州事件始末 / 北方文物 / 2018 (2)
  • 52. [학술지] 魏國忠 / 1985 / 大祚榮“遣子”侍唐時間考 / 北方文物 / 1985 (4)
  • 53. [학술지] 馮曉曉 / 2017 / 唐代登州刺史韋俊墓志銘考析 / 鄂州大學學報 / 24 (2)
  • 54. [학술지] 古畑徹 / 1984 / 大門芸の亡命年時について-唐渤紛争に至る渤海の情勢- / 集刊東洋學 / 51
  • 55. [학술지] 古畑徹 / 1986 / 唐渤紛爭の展開と國際情勢 / 集刊東洋學 / 55
  • 56. [학술지] 古畑徹 / 1988 / 張九齢作「勅渤海王大武芸書」第一首の作成年時について-大門芸の亡命年時について-」 補遺 / 集刊東洋學 / 59
  • 57. [학술지] 末松保和 / 1975 / 新羅の郡縣制, 特に完成期の二三の問題 / 學習院大學 文學部硏究年報 / 21
  • 58. [단행본] 三上次男 / 1959 / 圖說世界文化史 19 / 角川書店
  • 59. [단행본] 石井正敏 / 2001 / 日本渤海関係史の研究 / 吉川弘文館